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 반기문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담.txt

ㅇㅇ 조회수 : 2,574
작성일 : 2017-01-14 00:18:21
2009년 금융위기가 심한 시기에 대학원생 시절에 유엔본부(뉴욕)에서 약 6개월간 인턴을 하였습니다. 
당시 유엔 사무총장은 반기문이었고 나름대로 한국인 사무총장이라는 것에 대한
큰 자부심도 있었고 동료 인턴들에게도 '저사람은 내 사촌이다'라는 우스운 
농담을 할 정도로 매우 뿌듯했습니다. 

인턴을 하는 동안 유엔 직원들 사이에서는 그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이 많이 있었으나
그래도 어느 조직이나 불만을 가진 사람들은 있었기 때문에 그리고 이제 갓 2년밖에
되지 않은 사무총장이었기 때문에 후에는 좋은 평가를 받을 것을 것이라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를 바꾸게 된 계기가 있다면 인턴이 거의 끝날 때 쯤의 일이었습니다.
인턴이 끝날 때쯤 당시 제가 소속되어 있던 팀(정무국 동남아팀)에서는 저의 후임을 뽑아야했고
여름 인턴으로 인도네시아에서 대학원생이 오기로 결정이 되어 있던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제가 그만두기 2일전에 후임이 못온다고 하였으며, 당시 저의 감독관이자 팀장은
"2달간 뉴욕에서의 생활비를 충당하지 못해 결국 인턴이 오지 못한다"라고 매우 아쉬워 했습니다.

사실, 오기로 했던 인턴뿐만 아니라 같이 함께한 인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을 때도
어떤 인턴은 집세 때문에 뉴욕에서 못살고 편도 3시간 거리인 곳에서 통근을 하고 있고
어떤 인턴은 물가 땜에 원래 계약된 기간보다 짧은 기간에 인턴을 끝맞춰야 하는등 
힘든 상황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들의 공통적인 의견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유엔에서의 인턴 경험은 다른 것을 주고도 없을 수 없는 엄청난 가치가 있는 것이다.
다만, 뉴욕이라는 곳에서 무급으로 최소 2달간 인턴을 해야 한다는 것은 
매우 리스크가 크고 유엔이 인턴을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다
특히 물가 등의 제약으로 인해 인턴이 되고서도 그 기회를 버려야 하는 학생들이 많다.
따라서, 무급을 유급을 바꾸는 것이 당장 된다는 것은 아니지만 전부를 위해서는 아니겠지만
최소한 기회가 박탈될 수 있는 다음의 인턴들을 위해서라도 유엔에서는 
숙박시설 만큼은 적은 비용으로 제공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에 대해 많은 인턴들이 공감을 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저희의 목소리를 내고자
제가 대표로 사무총장 앞으로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메일을 보냈습니다. 
혹시나 영어에 대한 압박?이 있지 않을까 싶어 친절히 한국어로도 별도 메일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제가 인턴이 끝나는 그 순간까지 보낸 메일에 대한 답변은 오지 않았습니다.
심지어는 사무총장실로 정중히 면담 요청까지 하였지만 까였습니다. 
겉으로는 소수자에 대한 보호에 많은 신경을 쓰면서 정작 내부 인턴들의 처우에는 
아예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그 사람을 보면서 유엔을 떠나는 순간 전 다시는 
저사람이 하는 말을 믿지 않겠다고 다짐했고 지금 그 사람이 대통령을 하겠다는 말에 
어이가 없어서 이런 이야기를 꺼내 봅니다.


p.s 방금 아래 기사 보고 어이가 없었습니다.

http://v.media.daum.net/v/20170113082102859

반 전 총장은 유엔 직원들의 무사안일과 복지부동을 뿌리 뽑기 위한 개혁 등을 열심히 했다고 강조하면서 
“그렇게 했더니 직원들이 자신들을 못살게 군다고 ‘최악의 사무총장’이라고 퍼뜨렸다”고 해명했다.

이렇게 말하는데 정말 자신이 10년동안 있었던 조직을 
이렇게 디스하는 사람을 보면 정말 정나미가 뚝 떨어집니다. 

http://pgr21.com/?b=8&n=69987
IP : 130.83.xxx.17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7.1.14 1:09 AM (121.188.xxx.237)

    인턴도 결국 사익 추구하다 안되니까


    분풀이하는 건데...?

  • 2. ㅇㅇ
    '17.1.14 1:10 AM (45.64.xxx.96)

    오늘 청년인턴 발언했지요? 믿고거르는인물이 되었습니다. 한때는 뭣도 모르고 대단한 사람이다 자랑스러워했는데 말이죠.

  • 3. ........
    '17.1.14 1:46 AM (96.246.xxx.6)

    인상이 그래요.

  • 4. ..
    '17.1.14 2:09 AM (183.96.xxx.221) - 삭제된댓글

    그냥 권력자에 빌붙어 쓰는 감투가 좋을뿐 소수자, 사회적약자, 세계평화따위에 애초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어요..
    노통이 사람 제대로 잘못 본거죠.

  • 5. 글씨
    '17.1.14 2:58 AM (173.68.xxx.202)

    유엔에서 인턴을 무급으로 하는군요...저런 권력에 빌붙어 먹는 인간들이 인턴의 이멜에 답잡 안하겠죠..전 학생일때 뉴욕시장에 이멜 몇번 보냈는데도..답장은 꼬박 꼬박오던데..물론 사무보는사람들이 쓴거겠지만

  • 6. 결국
    '17.1.14 3:19 AM (178.191.xxx.220)

    유엔 인턴도 금수저들의 그들만의 리그인거죠.
    반장어도 개천 시절 다 잊고 지가 태생부터 용이라 착각하는거고.

  • 7. 금수저가
    '17.1.14 4:12 AM (73.110.xxx.32)

    노욕에 서민 서민 갑자기 찾으니 실소만 나올 뿐입니다

  • 8. 55
    '17.1.14 7:52 AM (73.109.xxx.62)

    청년인턴이란 시대에 뒤떨어지는 소릴 해대던데...어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9449 홍콩공항에서 8 .. 2017/03/10 2,072
659448 초계탕 먹고 싶은데 ㅠㅠ 5 야미 2017/03/10 1,122
659447 담배 냄새때문에 이사가는건 오바일까요 6 .. 2017/03/10 1,814
659446 목동5억전세 vs 인근 5억중반자가 어딜 선택하시나요(학령기아이.. 3 ㅇㅇ 2017/03/10 1,983
659445 연금 수령방법 선택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 2017/03/10 1,817
659444 아직 못주무시는 분들 뭐때문인가요?? 18 닥대가리 파.. 2017/03/10 2,283
659443 다른날은 몰라도 내일은 태극기 꺼내지 마세요 4 샬랄라 2017/03/10 776
659442 친문패권주의 실체 30 좋은글 2017/03/10 1,164
659441 paraphrasing&단어선택 잘하고 싶은데, .. 2 qweras.. 2017/03/10 470
659440 제사 음식은 무조건 며느리가 하는건가요? 41 ... 2017/03/10 6,772
659439 중국인들은 정말 강자에 약하고 약자에 강해요 13 ㅣㅣ 2017/03/10 2,162
659438 갑자기 찾아온 얼굴 피부병 때문에 17 카르마 2017/03/10 5,842
659437 탄핵인용시 태극기를 걸겠어요. 5 ..... 2017/03/10 727
659436 지금 팩트TV 보는데 9일 저녁에도 엄청 모이셨군요. 2 .. 2017/03/10 801
659435 또 음주운전..가중처벌 대신 감형? 2 샬랄라 2017/03/10 819
659434 이웃종교 배려한 죄(우상숭배 행위)로 파면된 손원영교수 1 자가당착개신.. 2017/03/10 811
659433 영어문법 공부법 문의드립니다 4 영문법 2017/03/10 1,744
659432 이 사람의 유투브 영상들 정말 문제가 있네요. 관심을 부탁합니다.. 2 꼭꼭 2017/03/10 1,094
659431 애 낳고 나서 대부분 남편이랑 마니 싸우지 않나요? 11 ㅇㅇ 2017/03/10 2,707
659430 아이가 밤에만 등을 너무 가려워해요 49 엄마 2017/03/10 2,231
659429 상대방의 말을 알아듣고, 대답도 가능한 대통령을 원해요. 48 ... 2017/03/10 2,502
659428 흰쌀밥에 젓갈먹으면 스트레스가 풀려요 14 동글 2017/03/10 2,886
659427 너무 게을러서 살이 안쪄요.. 20 2017/03/10 5,471
659426 중국 사는데 너무 무서워요 41 ... 2017/03/10 24,672
659425 헬조선에 대한 고찰이 담긴 글들 내용 중에 김09 2017/03/10 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