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 교과서를 학교에 놓고 다닌다고 하는데요

초등 어머님들 조회수 : 1,513
작성일 : 2017-01-01 14:38:52
요즘에 공립 초등학교에서는 교과서를 학교에 놓고 다닌다고 하던데요 (사립은 어떻게 하는지를 잘 몰라요)

그런데 그렇게 되면

매일매일 학교에서 어떤 부분을 수업했고

아이가 어떻게 수업에 잘 참여했는지 여부를

어떤 식으로 확인하나요??

저 어릴때 기억에는 부모님이 교과서 꺼내서
매일이다시피 같이 점검을 했었는데

그게 어려울거 같아서요..

뭘 배우고 왔는지.. 어떤 단원을 배웠는지.
아이가 수업시간에 교과서 나온 내용에 잘 참여하고
딴짓은 안했는지 어떻게 확인할까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IP : 223.33.xxx.76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래서 교과서를 두개산데요
    '17.1.1 2:51 PM (211.36.xxx.19)

    하난 집에두고
    책값이 얼만지 모르겠어서 돈g랄인지
    실용적인건진 모르겠지만요

  • 2. 직접 보시면
    '17.1.1 3:01 PM (122.34.xxx.43) - 삭제된댓글

    우리어렸을때랑 많이 틀린거 느끼실거예요.
    책도 무지 크고 무거워요.
    그래서 초등 아이들 교과서 들고 집 학교 왔다갔다 하면
    어저다 가방 몇번 들어주는 엄마 어깨도 휠 지경이구요
    교과서 자체가 스토리텔링이다 뭐다 해서
    딱 요점은 이거 중요한건 이거 이런식이 아니라 두리뭉실한 스타일이라고나 할까요.

    어떤 학부모는 일부러 교과서를 더 구입하는분도 있어요-따로 팔아요
    저는 전과류를 사서 그거보게하는 편이었고요

    진도는 학급 홈페이지에 선생님이 전달사항 자세히 써주시는 분도 있고
    애들 한테 물어보고 그러죠.
    사실 4,5 학년 되어도 필기도 제대로 안해요.
    예전처럼 칠판에 쓰고 받아적어라 하는게 아니라
    선생님들이 모니터에 내용을 띄워주십니다 ㅠㅠㅠ

  • 3. ....
    '17.1.1 3:02 PM (39.7.xxx.156) - 삭제된댓글

    교과서가 무거워서 애들이 숙제 있는 날 빼고는 두고 다녀요.

    그리고 첫댓글, 딴것도 아니고 아이들 공부하는 책 사는걸
    돈지랄이라고 표현하는게 참 못 배운 티가 나네요

  • 4. ...
    '17.1.1 3:02 PM (116.120.xxx.216)

    그래서 저도 교과서 서점가서 한 질 샀어요.
    하지만 단 한 번도 꺼내본 적이 없어요.
    올해는 안 살 거예요.

  • 5. 직접 보시면
    '17.1.1 3:02 PM (122.34.xxx.43)

    우리어렸을때랑 많이 틀린거 느끼실거예요.
    책도 무지 크고 무거워요.
    그래서 초등 아이들 교과서 들고 집 학교 왔다갔다 하면
    어쩌다 가방 몇번 들어주는 엄마 어깨도 휠 지경이구요
    교과서 자체가 스토리텔링이다 뭐다 해서
    딱 요점은 이거 중요한건 이거 이런식이 아니라 두리뭉실한 스타일이라고나 할까요.

    어떤 학부모는 일부러 교과서를 더 구입하는분도 있어요-따로 팔아요
    저는 전과류를 사서 그거보게하는 편이었고요

    진도는 학급 홈페이지에 선생님이 전달사항 자세히 써주시는 분도 있고
    애들 한테 물어보고 그러죠.
    사실 4,5 학년 되어도 필기도 제대로 안해요.
    예전처럼 칠판에 쓰고 받아적어라 하는게 아니라
    선생님들이 모니터에 내용을 띄워주십니다 ㅠㅠㅠ

  • 6. ....
    '17.1.1 3:03 PM (39.7.xxx.156) - 삭제된댓글

    그리고 원글님 질문에 다시 답 하자면 전과를 사기도 하고
    교과서는 권당 2천원이라 전과 가격보다는 저렴하고요
    저는 애들 그냥 문제집 푸는 선에서 그쳐서 진도 꼼꼼히 체크 안하는데
    꼼꼼한 엄마들은 전과(자습서)나 교과서 사기는 해요

  • 7. ..
    '17.1.1 3:09 PM (121.141.xxx.230)

    1-2학년은 전과보단 교과서 하나더 사는게 나아요 전권말고 수학,수학익힘책 국어정도? 단원평가는 교과서 위주로 나오니 한번 보는게 좋긴해요 3학년부터는 교과서보다는 전과사시면 교과서 그대로나오고 부연 설명도 잘돼어있으니 전과사심 좋아요~~~~

  • 8. ㅇㅇ
    '17.1.1 3:12 PM (39.114.xxx.116)

    책이 많아지기도하고 국어가,국어나,국어활동.수학,수학익힘등등...굉장히 다양해졌어요.
    그리고 e교과서를 다운받아놓기때문에 굳이 안가지고와도 확인가능하구요.문제집으로 볼 수 있어서 아이들이 가져오지 않아도 불편한지 모르겠어요

  • 9. 요즘
    '17.1.1 3:30 PM (223.62.xxx.88) - 삭제된댓글

    학교는 예전의 공책이 필요없이
    바로 책에다 다 필기하고 워크북 형태라 두껍고 무겁더라고요
    e북 추천해요

  • 10. 플럼스카페
    '17.1.1 3:56 PM (182.221.xxx.232) - 삭제된댓글

    진도는 주간계획표대로 하시니까 그거 참고하시면 준비물 준비 등등 가능하고요. 요즘은 종이로 안 주시고 학교홈피나 아이엠스쿨같은 앱에 뜹니다. 저는 그거보고 준비물 챙겨줘요.
    교과서는 무거워서 들고다니란 말씀 못 하실겁니다 보시면요. 국어같은 경우는 두꺼워서 가,나로 분했고 국어활동까지 모두 4권이에요.
    저는 수학만 따로 더 사서 집에서 봤어요.

  • 11. ..
    '17.1.1 5:15 PM (222.109.xxx.62) - 삭제된댓글

    가지고 다녀도 됩니다
    아이가 무거워 해서 중단했습니다

  • 12. ^^
    '17.1.1 5:19 PM (125.181.xxx.81)

    제 경우에는, 교과서나 전과는 별로 잘 안 보게되고요, 문제집은 많이 봤어요. 전과나오는 출판사에서 문제집도 같이 나오잖아요. 문제집의 예문이 교과서에 나오는 지문이 다 나오거든요. 1학년 1학기때는 전과와 문제집을 구입했는데, 2학기때문터는 문제집만 구입하고, 전과는 안 사고있어요.
    이제 아이가 3학년이 되는데, 위의 덧글을 보니, 3학년부터는 전과가 좋다니... 갈등... 문제집과 전과 다 구입해야하나....

  • 13. ^^
    '17.1.1 5:22 PM (125.181.xxx.81)

    e교과서는 어디서 다운 받을 수 있나요?

  • 14. 교과서
    '17.1.1 5:56 PM (116.37.xxx.157)

    전과목은 아니어도 집에 구비해 두세요
    전 중학까지 그렇게 했어요

    특히 초등은 숙제나 단원평가 들 집에서 봐야 할 때가 있어요
    아이들은 깜빡하고 평소 습관대로 교과서를 사물함에 두고 오기도 하구요.

  • 15.
    '17.1.1 10:25 PM (180.64.xxx.35)

    주관학습 안내라고 일주일치 배우는 내용 페이지 준비물 적은거 금요일마다 베포해요. 일이학년까지는 굳이 교과서 볼일 없었던것 같구요. 숙제있는날은 선생님이 교과서 집에 가져가라고 미리 챙깁니다. 삼학년부터는 사회과학 교과서 가끔식 가져와라해서 한번씩 읽어주고 했어요. 수학은 수학문제집 풀어서 교과서 활용 안했구요. 교과서 따로 사시는분들도 있구요.제경우 위에 조카가 교과서 물려주는데 크게볼일없어 결국 버리게 되더라구요. 고학년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6539 사주를 봤는데요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7 ?? 2017/01/03 3,589
636538 인강하는데 노트북과 테블릿pc중 어느걸 더많이 1 고딩아이 2017/01/03 1,023
636537 결국 야당의원들이 속았네요 2 moony2.. 2017/01/03 1,985
636536 정치인과 정부도 좀 수입하기로 해요~~ 1월 2017/01/03 162
636535 박사모를 어떻게 하면 없애버릴수 있나요?? 18 기도 2017/01/03 1,693
636534 안오는 전화기다리다 화병나 말라죽어감 7 김민희 2017/01/03 2,033
636533 어려서, 혹은 여자라서 직장에서 무시당한 경험 있으세요? 3 oo 2017/01/03 659
636532 쌀에서 화장품냄새 4 serend.. 2017/01/03 4,279
636531 이사) 안산 알려주세요 1 Vcx 2017/01/03 372
636530 아파트 베란다 천장 누수 질문입니다 8 질문이요 2017/01/03 7,004
636529 2개월동안 놀게 됬는데요 뭘 하는게 좋을까요? 5 ... 2017/01/03 1,171
636528 현대홈쇼핑에서 파는 더덕구이 드셔보신분 계세요? 더덕 2017/01/03 499
636527 한국인들 정신 못 차렸다. 15 개헌반대 2017/01/03 3,176
636526 배추를 절이면 더 무거워지죠? 3 절임배추 2017/01/03 742
636525 (페북)와..손혜원님... 22 ㅇㅇ 2017/01/03 4,042
636524 음식물 분쇄기 쓰면 안 되는 거 아녜요??? 25 .. 2017/01/03 13,599
636523 육영수가 박근혜 친 어머니가 아니라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15 ? 2017/01/03 5,820
636522 서울 회전초밥집 최고급으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돌고도는 2017/01/03 4,280
636521 꿈 해몽 부탁드려요. 1 궁금 2017/01/03 584
636520 ㅎㅎ 전화 안했대요. 16 ..... 2017/01/03 6,081
636519 병원 컴플레인 .. 유방암진단관련 2 .... 2017/01/03 1,456
636518 학습지 선생님 계시나요? 9 ㅇㅇ 2017/01/03 1,471
636517 낙타가 바늘구멍 들어가는것만큼어렵다..영어로.. 7 2017/01/03 1,546
636516 (이혼후)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요? 8 71돼지 2017/01/03 2,224
636515 결국 증인위증 채택되었네요. 24 박뿜계의원 .. 2017/01/03 5,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