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임신중 커리어 관리. 워킹맘도 성공할 수 있나요?

욕심만땅 조회수 : 1,192
작성일 : 2016-12-10 12:57:21
예를 들자면 변호사나 공인회계사처럼 실적 민감한 전문직이나 대기업 외국계 기업처럼 가시적인 성과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직종에 계신 분들요. 결혼해서 아기 낳고 커리어 관리 어떻게 하세요?

저는 최근에 임신을 하면서 컨디션 난조로 많이 힘들었는데요. 어떤 때는 뱃속의 아기가 최고라고 믿으면서 스트레스 안 받으려 설렁설렁 일하는데 어느 순간 제가 조직의 낙오자가 되있는 것 같더라고요. 아직 아기도 안 태어났는데 이정도면. 나중에 아기 태어나면 이대로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커리어는 포기하면서 사는 게 맞는지. 아니면 아득바득 몸이 부서져라 최선을 다하는 게 맞는지 잘 모르겠어요.
IP : 223.33.xxx.168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alsa2
    '16.12.10 1:02 PM (219.248.xxx.168)

    임신해서 아이가 어느 정도 클 때까지는
    거의 눈물콧물 다 흘려야죠.
    그런데 아이가 사춘기에 들어서면 엄마를 무지 자랑스러워해요.
    아이에게 롤 모델도 되구요.
    중요한 건 님이 커리어를 유지하기 위해
    주위사람들에게 당당히 도움을 요구하세요 특히 남편,
    시댁에도 대놓고 원하는 건 말씀하세요.
    아무도 알아서 도와주는 사람은 없어요.

  • 2. 사실
    '16.12.10 1:07 PM (39.117.xxx.187)

    사실은 둘 다 100% 할 수 없어요. 회사일은 한 70% 아이는 할머니나 시터에게 맡기고 내가 50% 한다쳐도 그전보다 120%이상 오바해서 일하게 돼요. 아이에게 50% 이하로는 저는 못하겠더라구요. 아이한테 자꾸 뭔가 더 하고 싶고 그러다보면 회사일에서 밀려나요. 어느 순간 선택을 하게 됩니다.

    해결책은 남편이 좀 더 도와주는 수 밖에 없어요. 혼자 하려고 하지 마시고 아이 어린이집 등원이든 뭐든 남편에게 육아에서 큰 부분을 일임하세요. 그리고 할머니나 시터의 도움을 받으셔야 해요. 맞벌이하는 엄마는 혼자서는 못해요. 최소 3사람 이상의 도움을 받아야 아이 키울 수 있습니다. 아빠 20% 엄마 30% 시터나 할머니 50% 이정도만 돼도 커리어 유지하실 수 있을 거에요

  • 3. 맞아요
    '16.12.10 1:07 PM (223.33.xxx.168) - 삭제된댓글

    그런데 시댁 식구들 대놓고 말씀은 안하시지만 분위기는 그래요. 니가 니 일하고 니가 돈 버는데 고생하는 건 당연하지. 우리가 도와줄 의무가 있느냐 이런 거요. 자꾸 눈물이 나네요.

  • 4. 사실
    '16.12.10 1:09 PM (39.117.xxx.187)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본인의 정신과 신체 건강 소홀히 하시면 안 됩니다. 자기 시간 꼭 하루에 한시간이라도 확보하셔서 하루는 운동하시고 하루는 책이나 드라마 보시고 하셔요. 낮에 맘맞는 사람들하고 회사에서 커피마시는 시간도 꼭 확보하시고. 그렇지 않으면 너무 힘들어서 길게 가지 못합니다. 특히 운동이나 취미생활 뭐라도 꼭 하시길

  • 5. ...
    '16.12.10 1:09 PM (112.219.xxx.252)

    시댁 식구들도 의무는 없긴하죠.
    님 남편은 뭐하세요?
    남편이 도와야죠
    시댁에 기대려고 하면 서운함만 커져요
    애초에 기대를 말아야..
    이상 경험자의 말입니다.

  • 6. ...
    '16.12.10 2:12 PM (58.146.xxx.73)

    초등학교졸업하고
    중학교가면 힘든거죠.
    그렇다고 애중학교안보내나요?

    마찬가지아닐까요?
    본인에게 지나친연민이 자신을 망칠수도...

  • 7. 경헙자
    '16.12.10 4:13 PM (211.177.xxx.125)

    원글님같은 상황에 있었던 사람이예요.
    아이가 뱃속에 있을 때가 그나마 제일 편한 시기예요.

    저는 남편, 친정, 시댁 모두 발벗고 도와주셨어요.
    그런데 시댁과 친정은 멀어서 주말만 아이를 볼 수 있었기 때문에 너무 힘들었구요. 그래서 아이 둘을 다
    어린이집에 보내기에는 좀 이른 나이에 데려와 어린이집을 보냈는데, 이 어린이집도 너무 좋은
    어린이집으로 대기자가 엄청난 곳이었어요. 그런데도 어린애들을 종일반 보내는 게 정말 힘들었었구요.

    남편도 엄청나게 도와줬지만 남자는 한계가 있어요. 남에게 맡기는 것보다 마음이 편하다 뿐이지
    베이비시터와는 다른 엉뚱한 일을 하기 일쑤예요. 나름 열심히 본다고 봤으니 화를 낼수도 없지만 엄마
    마음에는 전혀 만족스럽지 못한거죠.

    이렇게 눈물 콧물 빼며 1여년 정도를 버티다 결국은 자의반 타의반 일을 완전히 그만뒀어요.
    그때부터 어찌나 마음이 안정되던지요. 이럴걸 내가 왜그렇게 오랜시간 공부했나 하는 자괴감도 들었고요^^

    지금은 아이들이 고딩, 중딩인데 저는 아주 만족해요. 집도 안정감이 있고, 가족들 먹을 것에 집중하고 있죠.
    단점은 남편이 월급이 많은 직업이 아니예요. 양쪽 부모님께 물려받은 것도, 받을 것도 없구요.
    그래서 돈걱정을 좀 하고 사는 편이예요.
    그리고 제가 일을 안하니 자꾸 시야가 좁아지고, 남편 그늘로 자꾸 숨으려고 하는 것 같아 좀 걱정이 되요.

    본인을 잘 살펴보세요. 이건 자신의 성향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요. 일과 아이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이 좋아요.
    두 개를 다 잘할 수는 정말 없거든요.
    능력보다는 자신이 아이와 일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를 먼저 파악해야해요.

    그리고 일 그만두고 아이만 키워도 공부했던 것이 무용지물은 아니예요. 어떤 면으로든 지적인 엄마의
    영향을 받는답니다. 문과쪽이시라면 더 그렇고요.

  • 8. 힘내요
    '16.12.10 4:44 PM (49.196.xxx.255)

    애들 잘때 공부하고 일하고 그래요
    영양제 몇알씩 먹으면서 하면 할만 하더군요
    집중력 강화에 도움되는 거 먹어요

  • 9. 불가능한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16.12.10 10:57 PM (61.101.xxx.208)

    저는 딱 같은 직종은 아니라 뭐라 말씀은 못드리겠지만
    불가능한 건 아니고요.

    다만 엄마가 너무 자식에 대한 애정이 끓으면 (뭐라고 표현해야할지..)
    자기 커리어에 대해 손을 놓게 되기 쉬운거 같아요.

    약간 뭐랄까 무심한듯 쿨하게 -_- 말이 쉽지 이게 쉽나요,
    그런데 좀 무심한 스타일인 엄마들 있어요.
    예를 들어서 애가 아프거나 해도 좀 아프다 말겠지 이런식으로..
    아픈데 막 발 동동구르고 어떡하나 어떡하나 하면
    아무래도 자기 커리어 뒷전으로 미루기 쉽구요.

    좀 무심한 스타일들이 자기 커리어 안놓치고 그나마 살아남는거 같아요.

    하지만 그러려면 시댁이든 친정이든 믿을만한
    주양육자 한분은 있어야 하고요 (시터나 집안일 도우미 쓰더라도)
    거기에 자식일에도 조금은 무심하고 집안일에도 내 한몸 부숴져라 일하느니
    도우미 쓰고 돈쓰고 말지 이런 식이어야 하고요.
    또 남편도 다정한 편이어서 엄마가 일하도록 주말이나 이럴때
    자식과 잘 놀아주는 편이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애는 하나여야 하더라고요.
    둘 셋 낳으면 낳을수록 엄마가 자기 직업을 뒤로 놓게 되는거 같아요.

    여튼 제 주변 엄마 디맨딩한 직장인 인 경우는 그랬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7880 아이가 독감으로 열이 39도인데 추가 해열제를 뭘로 할까요? 8 *** 2016/12/11 1,549
627879 연근조림은 대체 얼마나 조려야 부드러워지나요 8 밑반찬 2016/12/11 1,818
627878 새누리,언론 ㅁㅂ ㄹㅎ해도 해도 너무 하네요. 13 .. 2016/12/11 1,904
627877 5월19일 김진태 법안통과..ㄹ혜발목 4 ..... 2016/12/11 1,498
627876 도종환 의원께서 링크한 국정교과서 폐기 (서명부탁드립니다|).. 7 국정교과서 2016/12/11 516
627875 정치인들이 새누리당에서 출마하는 이유 6 타산지석 2016/12/11 909
627874 이번 김장을 통해 깨달은점 두가지 8 김치좋아 2016/12/11 3,132
627873 [급질] 반포래미안 중심상가에 괜찮은 식당 있나요? 점심 2016/12/11 409
627872 유엔 결의 11호 1 샬랄라 2016/12/11 600
627871 양말 꿰매어 신는분 계신가요 29 혹시 2016/12/11 3,866
627870 승마꿈나무 정유라 4 정유라어릴적.. 2016/12/11 1,360
627869 남편은 아들과 모임에가고.. 10 ... 2016/12/11 2,173
627868 세월호는 7시간이 본질이 아니라 왜 구조를 막았나 11 lush 2016/12/11 1,476
627867 70대 엄마 겨울외투 사기 좋은곳 어딜까요? 8 월동준비 2016/12/11 1,733
627866 세월호 화물칸 핵심은 철근이 아니라 다른 물질 ... 2016/12/11 1,455
627865 탄핵 부결되면 더불어민주당에서 하려고 했던 게 고작 이거? - .. 5 getabe.. 2016/12/11 1,312
627864 가스레인지 그릴 사용에 대해서 6 피의화요일 2016/12/11 1,566
627863 (질문)서문여고나 동덕여고 보내시는 어머니들이 계신가요 10 ... 2016/12/11 6,527
627862 남편과 살자니 미래가 안보이네요 19 베네 2016/12/11 6,963
627861 세월호는 국정원, 김기춘의 작품이예요? 15 하늘 2016/12/11 2,116
627860 헌법재판소 응원게시글 탄핵찬성 부탁드립니다. 13 맹ㅇㅇ 2016/12/11 566
627859 반기문 생가 기념관!! 김일성 기념관 같으네요 ㅠㅠ 23 ㄷㄷ 2016/12/11 1,716
627858 12.10 광화문 82쿡 자원봉사 보고 드립니다 30 ciel 2016/12/11 1,866
627857 조국 교수님 인터뷰 5 .... 2016/12/11 1,714
627856 독립하려고 방 알아보고 있는데 자꾸 주저하게되네요. 9 독립하자 2016/12/11 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