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밑에 법인 약국 글에 댓글로 적었던 글 글 펑 예비해서 따로 남깁니다.

밑에 조회수 : 474
작성일 : 2016-12-08 19:41:40
(그러니까)
기존의 동네 약국들을 흡수해 대기업화, 대형마트화 하겠다는 거군요.

원글님.
약사들의 조제권은 의료분업 이후 없어졌기 때문에 거의 20여년 가까이 약사들은 처방전대로 조제-정확히는 약을 찾아 넣어 주는 단순 노동-후 약사들 성향에 따라 환자들에게 복약지도를 자세히도 하고 간단히도 하는 식으로 일면 단순화 된 시스템에서 일하는 중 입니다.

약값은 위에서 얘기한대로 자율경쟁에 따르고 있구요.

이 상황에서 대형화 된 약국에 환자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주장의 근거를 찾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원글님이 댓글 중 하나에서 대기업이 동네 약국에 눈독을 들이지 않는다라고 했는데
전 그 멘트가 왠지 "자백" 같네요.

우리나라 대기업들-좀 더 정확히 "재벌"들은 돈만 된다면 동네 카페(삼0의 아티제 등), 동네슈퍼 (임0트 에브리데이 등)...더 나아가 호프집까지도 (이태원의 000에서 세운 유럽형 브로이 하우스) 운영하는 곳들 아니었나요? ㅎㅎ

모 대기업을 필두로 기를쓰고 의료민영화를 하자고 주장하는 이유는 최근에 꽤 많은 사람들이 알게됐듯 민간의료보험의 영역을 넓히는 것. 다시말해, 현재 국민건강보험의 포션을 다 먹는 것 입니다.

이 경우 의료서비스의 질이 높아질거라구요? 의료서비스 소비에서의 양극화 심화 속도가 더 빠르겠죠. 미국처럼 진료 한 번에 10만원씩 내게끔 하는게 그들 목표일테니까요.

원글님이 주장하는 법인 약국이 이와 무관할까요?
의료쪽에서 돈을 제일 많이 버는 쪽은 "약" 입니다.
"재벌"이 의료 시장을 장악하게되면, "원가절감" "수익최대화"보다 의료서비스의 공공성, 공익성 등 도덕적인 부분을 돈 앞에 둘거라고 믿으시나요?


IP : 121.162.xxx.198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2.8 7:58 PM (121.162.xxx.198) - 삭제된댓글

    저는 윗 댓글을 단 원글에 언급된 "법인약국"이 결국 곧 어떤식의 변화든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들 얘기하는 한국의료보험과 관련되겠구나싶어 속이 갑자기 갑갑해져 댓글을 달았고, 글 펑에 대비해 윗 댓글을 옮겨왔습니다.
    (처음에는 법인 약국이 단순히 온누리약국 같은 프렌차이즈 약국인 줄 알았습니다.)

    윗 글에서 느끼셨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의료서비스의 민영화를 피할 수 없다면 그 속도는 최대한 완만하게 늦춰 소위 말하는 "soft landing"이 되게끔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고,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위에 적은 것과 같습니다.

    여러가지 의견이 있겠지만, 최소한의 건강 관리조차 어려워질-건강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될 사람들이 최대한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그들에 대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한다는 생각 때문에 그렇습니다. 적어도 건강문제에 있어서만은 모든걸 시장 자율과 자본의 논리에 맡겨선 안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 2. ...
    '16.12.8 8:00 PM (121.162.xxx.198)

    저는 윗 댓글을 단 원글에 언급된 "법인약국"이 결국 곧 어떤식의 변화든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들 얘기하는 한국의료보험과 관련되겠구나싶어 속이 갑자기 갑갑해져 댓글을 달았고, 글 펑에 대비해 윗 댓글을 옮겨왔습니다.
    (처음에는 원글이 긍정적으로 보는 법인약국이 단순히 온누리약국 같은 프렌차이즈 약국인 줄 알았습니다.)

    윗 글에서 느끼셨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의료서비스의 민영화를 피할 수 없다면 그 속도는 최대한 완만하게 늦춰 소위 말하는 "soft landing"이 되게끔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고,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위에 적은 것과 같습니다.

    여러가지 의견이 있겠지만,
    최소한의 건강 관리조차 어려워질-건강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될 사람들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아야되며, 변화가 불가피하다면 사회적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변화해야한다는 생각 때문에 그렇습니다. 적어도 건강문제에 있어서만은 모든걸 시장 자율과 자본의 논리에 맡겨선 안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6750 2016년 12월 9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5 세우실 2016/12/09 684
626749 김치택배를 보내고나니. 7 2016/12/09 2,794
626748 ㄷㄷㄷ주진우 기자 김어준과 인터뷰 6 린다김 2016/12/09 4,227
626747 새누리당은 탄핵부결시 야당만 타격받을거라 착각하네요 6 ㅇㅇ 2016/12/09 1,055
626746 오늘 어디로 갈까요? 8 휴가에요 2016/12/09 614
626745 이거 노안 증상 인가요? 아이고.... 7 ... 2016/12/09 2,441
626744 장제원 대단해요. 19 새눌 박살 2016/12/09 6,402
626743 이혜훈의원님 도착하셨네요. 12 똑똑 2016/12/09 4,208
626742 저희집 강아지가 저한테만 짖어서 속상해요 11 ㅈㄷㄱ 2016/12/09 2,337
626741 청와대, ‘사라진 7시간 관련’ 뉴스프로도 사찰 4 light7.. 2016/12/09 1,415
626740 (탄핵가결. 그네와 기추니 체포) 미역국이요! 4 그리운날 2016/12/09 614
626739 주기적으로 아랫배에 가스찬 것 같은 팽창감을 느끼는데.. 3 ... 2016/12/09 1,949
626738 "연말후원금 누구한테 낼까?" 고민되시는 분들.. 19 윤소하 2016/12/09 2,312
626737 이제 맹박이도 잡나요 9 또잉 2016/12/09 1,705
626736 이제 더 이상 속지말자(이재명) 16 moony2.. 2016/12/09 2,900
626735 예은아빠 유경근 님 페북에 글 올리셨네요 35 새벽이다 2016/12/09 4,834
626734 이재명,꼬투리 전원책 1 moony2.. 2016/12/09 751
626733 부산 4선도전끝에 성공하신 전재수의원님 후원 5 전재수 2016/12/09 586
626732 우병우가 누구랑 연락을 취하고 있지 않을까요? 기추니 2016/12/09 562
626731 엄마와 멀어져 가는 것 같아요.. 31 나나 2016/12/09 5,335
626730 탈색 혼자하려는데 주기를 얼마나잡는게 좋을까요 3 궁금 2016/12/09 1,428
626729 이 와중에 죄송) 성욕 없애는 방법 있나요.. 14 dd 2016/12/09 11,827
626728 망치부인(전반전 2016. 12. 08) 젠틀재인 카페지기님 감.. 3 희라 2016/12/09 1,055
626727 내일 생각하니까 심장이 쿵쾅대요 7 바운스 2016/12/09 1,092
626726 전재수님 후원 부탁드려요 4 ever f.. 2016/12/09 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