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새누리당 골수 지지층이 극도로 혐오하는 선거제도.

개혁 조회수 : 743
작성일 : 2016-11-28 16:59:52
새누리당 골수 지지층이 극도록 혐오하고 불편해 하는 선거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정당 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 입니다.

독일식 권력구조의 핵심인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를 도입하면.. 새누리당이 생존할수 없고.. 더해서 영남패권이 불가능해지기에... 지역갈등이 자연스럽게 해소됩니다..

소선거구 선거제도에서는 새누리당이던 무슨당이던 영남주류당이 지역단결을 통해서 35% 지지율을 가지고 국회 과반 의석을 돌파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당 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를 도입하면, 새누리당 지지율이 35%면, 국회 의석 숫자도 35% 입니다... 35% 지지율로 국회 과반 의석을 돌파하는 마술을 부리는것이 불가능해집니다...그 결과 자연스럽게 영남패권도 소멸됩니다..지역 단결해도 국가 권력 획득 못하거든요..지역 갈등 부추기지 못하는 새누리당은 시간이 흐를수록 소멸됩니다.

소선거구 선거제도 아래서...
오늘날 정의당 지지율 10%가 되어도 의석 몇석 뿐입니다...
정당 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라면 정의당 10% 지지율은 정의당 의석도 10%가 됩니다..지지율과 의석이 똑같이가는 것이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입니다..
소수정파를 지지하여도 소수파의 목소리가 묻히지 않습니다.


개헌이란 단어속에는 선거제도의 변경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제도에는 소선거구제도가 거의 패키지로 묶여있고.

내각제는 정당 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가 패키지로 묶여 있습니다........일본식 권력 구조는 거론 가치도 없으니 뺍니다..일본식 권력 구조는 우리에겐 최악입니다..내각제를 음해하려는 세력들이 일본을 들먹이죠.

이원집정부제도는.
내치는 총리가, 외치는 대통령이 한다는건데.
소선거구 선거제도로 이원집정부제도를 하려한다면 개헌하고 말것도 없습니다..영남패권 기반이 유지되는 지금과 같으니까..

근데.
독일식 내각제를 그대로 도입해서, 외교 국방만 대통령의 관할로하는 이원집정부제는? 지금 정치권에서 논의되는 그림같은데요.
이런식의 이원집정부제도 괜찮다고 봅니다..어쩌든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고, 영남패권 권력 구조는 깨지니까요..




지금 이순간....
정당 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를 극도로 불편해하는 세력들은 누구일까요?

영남패권을 가능하게 해주는 소선거구 선거제도로 이익을 보는 세력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새누리당 골수 지지층이거나, 그 부역자들일 것입니다...그들이 개헌이라면 펄쩍뛰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IP : 178.162.xxx.30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탱자
    '16.11.28 5:02 PM (118.43.xxx.18)

    2차대전이후에 일본의 번영에 일본의 내각제가 한 몫 한 것 아닙니까?

  • 2. ㅇㅇㅇㅇ
    '16.11.28 5:04 PM (121.174.xxx.196)

    혐오....ㅠ

  • 3. 탱자님..예 맞습니다.
    '16.11.28 5:06 PM (91.109.xxx.104)

    일본은 일본식 권력구조가 좋겠죠.
    근데.
    일본식 소선거구 선거제도와 내각제를 한국에 도입하면..영남패권 쭉이잖아요.

    그러니.
    일본식 권력구조는 별로입니다.

  • 4. ..
    '16.11.28 5:19 PM (14.54.xxx.252)

    정당 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는 당연한데, 왜 거기다 내각제를 슬쩍 끼워넣나요?
    지금 시점에서 내각제는 새누리 잡놈들의 정권 연장 음모일 뿐입니다
    내각제 뭐 대단한게 아닙니다. 우리도 내각제해본 경험있어요. 결과는 지리멸렬했지요

  • 5. ..
    '16.11.28 5:21 PM (14.54.xxx.252)

    원글님,
    고도의 알바로 사료됩니다ㅋ

  • 6. 시끄러워요 아는 척 하긴..
    '16.11.28 5:30 PM (115.140.xxx.66)

    몇몇 쓰레기가 좋아하는 그런 개헌은 싫은데요

  • 7. 하늘과 땅입니다.
    '16.11.28 5:41 PM (193.111.xxx.21)

    ..
    '16.11.28 5:19 PM (14.54.xxx.252)

    정당명부 선거제도와 대통령제도는 안맞아요.

    대통령은 임기가 정해져 있고..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로를 도입하면 여당이 국회과반 의석 돌파가 극히 어렵습니다.
    여당이 국회 과반의석에 못 미치는 소수여당이 필연이기에 언제나 여소 야대 국회가 됩니다,.,.
    대통령을 견제하려는 야당이 대통령 발목을 잡을건데 조용할 날이 있겠어요? 맨날 싸움질이지.. 그렇기에 대통령제도와 소선거구 선거제도가 거의 패키지입니다..


    독일식 권력구조인,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는 내각제와 패키지입니다.
    정당명부 비레대표 선거제도로 선거를 치루면 필연적으로 연정을 하게됩니다.. 연정을 통해서 국회과반 의석을 넘을수 있고..그렇게 내각 총리가 선출되어서 행정부를 구성합니다.. 그 과정에서 정의당 같은 소수정파도 행정부에 참여해서 정의당의 목소리를 국정에 반영시키는것이구요..국회 과반 의석을 넘기에 내각도 국정도 흔들림없이 돌아갑니다.

    거기에다...독일식 권력구조에서 독일 총리는 2년동안 불신임 재한 기간을 두었기에 2년동안 실각하지 않습니다. 총리가 능력 펼칠 시간도 주어지구요..만일 총리가 실각한다면 후임 총리가 선출될때까지 전임 총리가 권한을 유지합니다.. 그래서 국정이 흔들림 없이 돌아가요..
    즉 무능하면 2년후에 실각 ...콜이나 메르켈처럼 유능하면 장기집권도 가능.

    1960년 419 이후 61년 그시대 정면내각 몇개월 해본것으로 내각제라고 할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2310 집회 못 가도 집에서 촛불.. 현수막 등 일상 속 저항 확산 1 샬랄라 2016/11/29 356
622309 이시국에 정승환 신곡 듣고왔는데 6 .. 2016/11/29 1,147
622308 문재인 끝났어요 59 ... 2016/11/29 5,622
622307 벤쟈콥 이란 독일가구 아세요? 민용기럭지♡.. 2016/11/29 407
622306 11월 28일 jtbc 손석희 뉴스룸 1 개돼지도 알.. 2016/11/29 431
622305 강남역 조용한 음식점이나 카페 추천부탁해요. 3 ㄴㄴ 2016/11/29 1,084
622304 단결 합시다.. 2 하야 2016/11/29 281
622303 달아 달아 박은 닭아...불렀다고 똥묻은 개가 됨. 5 …. 2016/11/29 504
622302 이와중에..무김치 김장김치 맛있게 익히려면.. 4 김치 2016/11/29 1,219
622301 지금부터 문빠 안빠 노빠 하는 것들 18 잘들어 2016/11/29 613
622300 뉴스룸 시청률 대폭 상승 문재인 효과 톡톡 2 jo 2016/11/29 999
622299 박영선류가 욕먹는이유는 바로이거같아요 3 ㅇㅇ 2016/11/29 863
622298 공약인 누리예산은 안주고 차은택은 퍼주고 1 ㅁㅊㄴ 2016/11/29 343
622297 이 와중에) 방 잘나가는 비법 아시나요? 3 0000 2016/11/29 1,147
622296 이정현이랑 김무성 돌아가면서 웃겨줌. 4 새눌 해체 2016/11/29 1,458
622295 요즘 홈쇼핑.. 남자 기모바지 어때요? 4 llllll.. 2016/11/29 1,485
622294 문재인 님 잘하신 거 맞는 듯 10 2016/11/29 1,214
622293 2016년 11월 29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2 세우실 2016/11/29 625
622292 문재인님 잘하신게 맞는듯 조중동에 까는글이 없음 7 모리양 2016/11/29 892
622291 미스박이라는 호칭은 좀 ... 47 우리만이라도.. 2016/11/29 2,518
622290 말잘하는 남자 싫어하지만 3 zh 2016/11/29 1,092
622289 김병준 총리 지명자가 ㄹ혜 싱크탱크의 정책연구원장이래요 8 그럼그렇지 2016/11/29 1,129
622288 서민들은 노후에 최소 얼마정도 있음 될까요? 8 궁금 2016/11/29 2,490
622287 친박들 꼼수 5 ... 2016/11/29 659
622286 `여직원에 미스 호칭 삼가라'-고건시장 11 4차산업혁명.. 2016/11/29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