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습기만 쓰면 감기, 기침에 시달려요

가습기 조회수 : 17,826
작성일 : 2016-11-26 14:05:46
태어나서 가습기 살균제? 세정제 써 본 적 없구요.
아기 태어나고 내부 청소 가능하다그래서 ㅇㄴㅌ 으로 바꿨는데
이걸 틀면 꼭 감기가 와요. 신랑은 틀고 새벽에 벌떡일어나더니 숨 막혀서 못 자겠다고 다른 방에 가서 잤는데
안 틀면 건조해서 감기 걸리고, 틀면 이유를 알 수 없이 감기 걸리고
왜 그럴까요? 매일매일 뽀득뽀득 씻어서 완벽 건조시킨 후 사용합니다.
이비인후과를 가봐도 의사는 가습기 끄지 말라면서 낫지를 않으니
신랑 말 믿고 끄고 잔 날 거짓말처럼 기침이 멈췄어요. 이게 작년 일.
올해는 ㅁㄹㅋㄹㅍ 쓰는데 이것도 똑같아요 애가 코 킁킁거리며 건조해하길래 꺼내서 틀었더니 똑같이 다음날 감기...
가습기가 안 맞는 사람도 있나요;?
IP : 182.211.xxx.8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1.26 2:07 PM (61.75.xxx.185) - 삭제된댓글

    가습기에 넣는 수돗물이 문제일 수도 있어요.

  • 2. dd
    '16.11.26 2:11 PM (59.15.xxx.138) - 삭제된댓글

    가습기가 분무량이 많은거 아닌가요?
    가습기 수증기 직접 들이마시게 되면 안좋답니다
    그래서 같은 공간에 둘 경우
    사람과는 멀리 떨어져 사용하라고
    하던데요

  • 3. ///
    '16.11.26 2:12 PM (61.75.xxx.185)

    가습기에 넣는 수돗물이 문제일 수도 있어요.
    수돗물을 하루 전 미리 받아두어 불순물을 가라앉힌 후 사용하거나 수독물을 끓여서 식힌 다음 사용하면
    증세가 완화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습기 세척할때는 세제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가습기에 잔류된 세제가 에어로졸 형태가 되어 폐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 4. 그런가 보네요.
    '16.11.26 2:12 PM (61.102.xxx.248)

    가습기가 안맞으면 수건을 여러장 물이 안 흐르게 꼭 짜서는 걸어두세요.
    그렇게 해두고 습도계를 보면 습도가 올라가는게 눈에 보일 정도입니다.

  • 5. 미리미리
    '16.11.26 2:13 PM (58.230.xxx.188) - 삭제된댓글

    저녁 무렵부터 가습기를 미리 켰다가
    잘 때는 끄고 잡니다.

  • 6. ///
    '16.11.26 2:17 PM (61.75.xxx.185) - 삭제된댓글

    첫댓글님 말씀처럼 가습기 수증기는 직접 들이마시는 것은 해롭다고 합니다.
    방보다는 거실두는 것이 낫다고 합니다.
    수증기가 바로 호흡기로 들어가 기관지 점막을 자극하면 기관지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여간 에어로졸 형태의 수증기를 마시는 것은 건강에 안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습기는 한 번에 3시간 이상 가동하는 것이 안 좋다고 합니다.
    습기가 한 번에 갑자기 증가하면 체온을 빼앗아가서 감기에 걸리고 쉽습니다.
    그리고 가습기를 사용 중이거나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환기를 자주해야 합니다.
    한정된 좁은 공간에 습기가 장시간 머무르면 공기중에 세균이 번식하기 쉽습니다.

  • 7. ///
    '16.11.26 2:18 PM (61.75.xxx.185)

    첫댓글님 말씀처럼 가습기 수증기는 직접 들이마시는 것은 해롭다고 합니다.
    또 방보다는 거실에 두는 것이 낫다고 합니다.
    수증기가 바로 호흡기로 들어가 기관지 점막을 자극하면 기관지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여간 에어로졸 형태의 수증기를 마시는 것은 건강에 안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습기는 한 번에 3시간 이상 가동하는 것이 안 좋다고 합니다.
    습기가 한 번에 갑자기 증가하면 체온을 빼앗아가서 감기에 걸리고 쉽습니다.
    그리고 가습기를 사용 중이거나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환기를 자주해야 합니다.
    한정된 좁은 공간에 습기가 장시간 머무르면 공기중에 세균이 번식하기 쉽습니다.

    자기 전에 미리 가습기를 2~3시간 가동해서 잘때는 끄고 자세요

  • 8. ..
    '16.11.26 2:20 PM (119.198.xxx.228) - 삭제된댓글

    초음파식 가습기 단점이 좀 있어요.

    초음파 가습기는 상대적으로 조용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초음파를 조사하여 물을 강제로 수증기로 분해시키는 것인데, 이 과정 중에 수분 입자가 상대적으로 크게 분출됩니다.

    그렇다 보니 여러 세균이나 유해 물질, 바이러스 등이 큰 수분 입자와 함께 분부되어 그대로 호흡기를 통해 체내 흡입이 되어버리는데요. 또한 가습기를 제대로 청소하지 않으면 오염된 물이 그대로 분해되어 인체 내 흡입되기 때문에 면역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유가 및 노약자에게는 호흡기 관련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꼭 유념하셔야 합니다.

  • 9. 가습기안삼
    '16.11.26 2:21 PM (221.149.xxx.8) - 삭제된댓글

    지금 저희집에 만들어 놓은 가습기는요.
    깊이가 있는 쟁반 같은 넓직한 용기에 물과 소금을 넣고 패트병이나 유리병을 세우고 작은 수건이나 천조각들을 소금물에 잠기게 해서 걸쳐 놓았어요.(소금물 농도가 진해야 해요. 어설픈 농도면 쉰내 남.)
    이걸 난방선이 지나가는 따뜻한 바닥에 놓아두면 하루 한두번씩은 한 바가지씩 물을 더 부어주게 됩니다.
    말로 하려니까 기네요.
    예쁜 손수건 같은 걸 쓰면 작품 처럼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 10. 사탕별
    '16.11.26 2:26 PM (58.239.xxx.85)

    가습기 아무리 잘 씼어도 매일 물 갈아서 씻고 바짝 말려야 하는데 바짝 말리려면 1개로는 불가능
    결국 하루 이상 물이 있는건 바이러스를 뿜어대는것과 똑같아요

    제가 쓰는 정말 간단한 가습기는
    길쭉한 숯을 사서 통에 숯을 세로로 꽂고 물 부어 놓으면 물이 쭉쭉 줄어듭니다
    숯의 구멍이 물을 많이 빨아들이고 발산합니다
    방마다 다 해야 하구요
    숯은 최소 10~15개정도는 해야 겠죠
    숯이랑 통은 씻기도 간편하죠
    물은 정수기물 받아서 붓구요

  • 11. 수건을
    '16.11.26 2:28 PM (42.147.xxx.246)

    뜨건운 물에 적셔서 대충 짠 다음 방에 널면
    수증기 나오는 게 눈에 보이지요.
    그렇게 아침 까지 두면 됩니다.

    전자렌지에 넣고 찡을 해도
    됩니다.

  • 12. 숯 좋아요
    '16.11.26 2:34 PM (110.10.xxx.204)

    저는 방과 거실에 숯을 씁니다
    너무 편하고 좋아요.
    단 숯이 많아야죠.
    제 경우는 안방에 수반 3개에 숯이 20
    정도 됩니다.
    물이 줄어드는걸 보면 놀라실거예요.
    처음에 숯만 많이 준비해놓음 그 다음부턴
    가습 걱정 뚝입니다^^

  • 13. 가습기
    '16.11.26 2:50 PM (182.211.xxx.8)

    원래 수건 두장을 흠뻑 적셔서 쓰는데 그래도 애가 코가 마르길래 가습기로 갈아탔거든요. 두 장은 너무 적었을까요?
    저희 집은 녹물이 심한 집이라 정수기 물로 했는데 이것도 원인이 될까요?

  • 14. ...
    '16.11.26 2:56 PM (124.49.xxx.143) - 삭제된댓글

    설명서에 보면 정수기나 생수 물 쓰지 말라고 돼있던데요. 그게 원인일까요?

  • 15. skdn
    '16.11.26 2:58 PM (49.173.xxx.157)

    가열식가습기 쓰세요

  • 16. 나무사랑11
    '16.11.26 3:26 PM (175.223.xxx.25) - 삭제된댓글

    벤타도 안좋을까요? 신랑이 폐수술을해서 일부러 좀 비싸도 이걸로 샀거든요 튼지 얼마 안됐는데요.

  • 17. 가습기
    '16.11.26 3:49 PM (211.36.xxx.148)

    오늘 한 번 수돗물로 바꿔볼게요.
    숯 추천해주신 분 숯은 완전히 마르지 않아도 그 안에서 세균 걱정은 없는지요?
    요새는 숯도 품질 차이가 많다고 그래서... 믿을만한 숯 구입처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열식은 아기있는 집에서 위험하다고 들었는데 괜찮을까요?
    윗분 저는 벤타 안좋다고 들어서 일부러 구입목록에서 제외했어요.
    답글 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좋은 의견 많이많이 주세요

  • 18. ㅇㅇ
    '16.11.26 5:12 PM (39.115.xxx.39)

    초음파식 가습기는 오히려 기침이 더 나요.가열식이 좋으니 아이 손에 안닿는곳에 올려두시고요

  • 19. Golden tree
    '16.11.26 7:27 PM (220.116.xxx.66)

    초음파가습기는 공기를 차게 만들어서도 목이 아파요.
    목 예민해서 가열식 가습기로 바꿨어요. 물끓여쓰니 세척도 덜 부담스러워요

  • 20. 하얀가루
    '16.11.26 8:40 PM (121.184.xxx.62)

    초음파식 쓰다보면 하얀가루 없으셨나요? 소금기 나는 미세한 가루 말예요. ㅇㄴㅌ도 백화현상 심해요.
    인체에 무해하다 해도 전 좀 그렇던데요. 그리고 아이 코가 잘 마르는거 알러지성 비염도 의심해 보세요.

  • 21. 무조건
    '16.11.26 9:59 PM (125.142.xxx.112)

    가열식 가습기 쓰세요.
    단, 아이손이 안닿는곳에.
    생수사용하지 마시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1804 자동차 사고 후 처리 과정(남편이랑 볼 겁니다.) 9 의견 2017/01/19 1,352
641803 코스트코 2 너무멀어 2017/01/19 1,379
641802 1주일된 물오징어 먹어도 될까요? 2 생물 오징어.. 2017/01/19 465
641801 퇴주잔 논란을 보니 5 루팽이 2017/01/19 1,554
641800 연애상담-연락없는 남친 8 슬픔이 2017/01/19 2,864
641799 무생채 양념은 어떤 걸 넣으면 맛있나요? 22 무생채 2017/01/19 3,889
641798 9살언어치료.(발음) 3 아이 2017/01/19 1,362
641797 7년 그들이 없는 언론 보고왔습니다 7 우아하게 2017/01/19 723
641796 [속보]특검팀 "구속영장 기각 사유에 증거인멸 우려 부.. ㅇㅇㅇ 2017/01/19 2,081
641795 영장 심사 판단하는 인간이 세명 뿐인가요?? 2017/01/19 404
641794 보험료 등 카드결제에 관하여. 2 그네탄핵 2017/01/19 532
641793 [생중계] 삼성 이재용 구속영장 기각 등 특검 오후 정례 브리핑.. 좋은날오길 2017/01/19 962
641792 탈색에 염색 했더니 6 302호 2017/01/19 1,728
641791 청와대 관저 거울방... 사방이 거울인 방이 있음 6 ... 2017/01/19 14,695
641790 조지마이클의 mother's pride 들어보세요 9 .. 2017/01/19 967
641789 재판도 알파고가 하면 좋겠어요. 6 알파고판사 2017/01/19 694
641788 차례를 안 지내던 집에서 지내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나요? 8 미신.. 2017/01/19 1,581
641787 3M 욕실청소용 크린스틱 걸렸네요... 1 .... 2017/01/19 5,501
641786 지금 충남 공주에 있는데요 맛집 추천부탁드려요 12 먹주부 2017/01/19 1,608
641785 고3용 영어독해집 추천좀 부탁드릴게요 2 그냥 가지마.. 2017/01/19 825
641784 집에 사람들 드나드는 것 참 힘드네요 12 문 라이트 2017/01/19 4,455
641783 [속보] 정호성 "박 대통령도 차명폰 있다" 10 정호성확인 2017/01/19 2,213
641782 2개월 강아지.. 닭이나 돼지뼈주려는데 22 ㅇㅇㅇㅇ 2017/01/19 2,513
641781 이것하나 배우면 평생 써먹을수 있다는것 뭐가있을까요? 26 평생교육원 2017/01/19 5,729
641780 우리때는 안그랬다는 나이드신분들 얘기 2 애기엄마 2017/01/19 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