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삿날이 언제인가요?

궁금합니다. 조회수 : 3,319
작성일 : 2016-10-31 15:57:18
친정 아버지가 작년에 돌아가셨고 올해 11 월 첫 제사를 모십니다.집안 어른들은 돌아가신 전날 저녁에 지내는게 맞다하시고 저는 돌아가신 당일에 지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언제가 맞는건가요? 인터넷 및 제 지인들은 당일이 맞다고 하고 어른들은 아니다 난리시고..어른들 말씀 듣고 전날로 하자니 제 기분이 좀 개운치가 않고 그렇네요
IP : 120.143.xxx.86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가 알기로는
    '16.10.31 3:58 PM (61.101.xxx.160)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전날 지내는걸로 알아요. 돌아가신 할아버지, 할머니 제사때 아버지가 그리 알려주셨어요

  • 2. 원래
    '16.10.31 3:59 PM (220.78.xxx.46)

    돌아가신날 바로 전날 지냅니다

  • 3. ...
    '16.10.31 3:59 PM (116.41.xxx.111)

    원래 전날 밤에 지내는 게 맞아요.. 죽은 사람은 밤에 움직이니깐. 낮에 돌아가셨으면 전날 밤에 지냅니다. 제삿밥 먹으러 왔는데 당일날 밤에 제사 지내면 아직 밥이 안차려진거죠.

  • 4. 행복한라이프
    '16.10.31 4:04 PM (222.112.xxx.106)

    전 날이하고 해도 전 날 밤에 모어 11시 30분 이후로 (자시) 지냅니다. 전날이라고 해서 전 날 8-9에 제사지내는 집있던데 그건 아닌거 같아요. 그럼 바밤에 너무 늦게 끝나서 힘드니까 요즘엔 돌아가신날 당일 해지고 저녁 8시 쯤 차려놓는답니다.

  • 5. 마지막
    '16.10.31 4:09 PM (203.128.xxx.47) - 삭제된댓글

    살아계셨던 날 밤에 지내요

  • 6. ...
    '16.10.31 4:10 PM (111.65.xxx.95)

    예를 들어 5일에 돌아가셨다 치면
    4일저녁 지나고 밤 12시 땡 지나서 하고
    (그러면 결국 5일이 되겠죠?)
    5일에 한다고 하면 저녁시간에
    한다고 하더군요.
    저희는 제사를 안 지내지만
    나름 잘 안다는 분이 그러더군요.

  • 7. ..
    '16.10.31 4:13 PM (211.251.xxx.225)

    돌아가신 날이 기일이고요.
    만약 전날 지낸다면 딱 12시 맞춰 지내야 합니다.
    유명한 사람들 죽은 후에 기일 행사 보도 되는 거 보면 죽은 날 하잖아요.
    그 전날 하는 경우는 없죠.

  • 8. 맞습니다
    '16.10.31 4:15 PM (112.173.xxx.132)

    돌아가시기 전날 지내려면 밤 열두시 넘어서 지내야하고,
    저녁에 지내려면 돌아가신 당일 저녁 8시 이후쯤 지내더군요.
    사람들이 지어낸 법이기때문에 안지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만...

  • 9. .....
    '16.10.31 4:16 PM (211.110.xxx.51)

    유교식 제사 중에 돌아가신날 시작하자마자 지낸다는 형식이 있었어요
    그러니 하루 시작으로 쳐서 자시, 자정 밤12시 지나자마자 지낸거죠
    전날 저녁으로 바뀐건 한동네사는것ㅅ도 아니고 다음날 논에 물대고 마는것도 아니니
    점차 초저녁으로 바뀐거구요

    어떤 형식으로 기일을 지낼지 주관자가 뚝심으로 밀고가세요
    형식은 계속 바뀌니까요.
    저는 제가 주관자라 당일 저녁에 지냅니다.

  • 10. 의미없다
    '16.10.31 4:26 PM (115.140.xxx.74)

    돌아가신 당일날 0시라고 합니다.

    그시각을 지키려면 전날 밤에 미리 준비해야겠죠.
    무슨말인지 이해하셨죠?

  • 11. ...
    '16.10.31 5:25 PM (114.204.xxx.212)

    원랜 돌아가신 전날 준비해서 밤 12 시 되서 다음날로 넘어가면 지내는데...
    요즘은 일찍 지내니 당일 저녁에 지내요

  • 12. ....
    '16.10.31 5:35 PM (1.252.xxx.178) - 삭제된댓글

    지금 시간으로 하면 헷갈리는 것이 당연해요.
    옛날엔 돌아가신 날 (기일)의 가장 첫 시간이 자시에 지냈습니다.

    이걸 요즘 시간으로 하면 ,
    예를 들어 2일에 돌아가셨으면 2일의 자시는 1일날 밤 11시(지역따라 11시반)입니다.

    그걸 요즘 시간으로 하다보니 기일의 전날에 하는 거다 라고 잘못 알고 있는 거죠.

    돌아가신 날 전날 1일 밤 11시에 하기 힘들면 바로 돌아가신 날 2일 밤 10시 59분전에 아무때나 하시면 됩니다.

    돌아가신 날 전날이라고 잘못 알고있는 상태에서 시대에 맞춘다고 밤 11시 전인 아홉시나 이렇게 하는건
    잘못이죠.

    굳이 일찍 하려면 당일인 2일날 저녁 아홉시에 하면 됩니다.

  • 13. ...
    '16.10.31 5:36 PM (1.252.xxx.178) - 삭제된댓글

    지금 시간으로 하면 헷갈리는 것이 당연해요.
    옛날엔 돌아가신 날 (기일)의 가장 첫 시간이 자시에 지냈습니다.

    이걸 요즘 시간으로 하면 ,
    예를 들어 2일에 돌아가셨으면 2일의 자시는 1일날 밤 11시~2일 새벽 1시(지역따라 11시반~1시반)입니다.

    그걸 요즘 시간으로 하다보니 기일의 전날에 하는 거다 라고 잘못 알고 있는 거죠.

    돌아가신 날 전날 1일 밤 11시에 하기 힘들면 바로 돌아가신 날 2일 밤 10시 59분전에 아무때나 하시면 됩니다.

    돌아가신 날 전날이라고 잘못 알고있는 상태에서 시대에 맞춘다고 밤 11시 전인 아홉시나 이렇게 하는건
    잘못이죠.

    굳이 일찍 하려면 당일인 2일날 저녁 아홉시에 하면 됩니다.

  • 14. ,,,
    '16.10.31 6:06 PM (59.22.xxx.112)

    윗분 말이 맞습니다
    돌아가신날 하루 전날 밤 11시에 지내는 것입니다
    밤 11시에시 다음날 1시 까지는 하루를 12간으로 나눈 첫 시간임에 결국은 돌아가신 날이 됩니다.

  • 15. 저장
    '16.10.31 7:14 PM (223.62.xxx.176)

    제사지내는날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6281 정유라와 박그네 어린시절 사진 못찾겠네요 2 새벽 2016/11/11 2,756
616280 지나가는 여자 옷차림으로 욕하는 남자는 성격 최악인가요? 6 .. 2016/11/11 1,901
616279 청와대앞 막는 경찰이라니 1 2016/11/11 549
616278 잔소리할거라고 예고하는 시어머니 30 며느리 2016/11/11 6,265
616277 사람들이 쳐다보는 이유가 뭘까요? 21 ㅇㅇ 2016/11/11 19,323
616276 언론이 정말 트럼프가 되는걸 몰랐을까요? 8 프레임가두기.. 2016/11/11 2,162
616275 jtbc뉴스 같이 봐요 15 ㅇㅇ 2016/11/11 2,899
616274 단감 많이 사 드세요 ( 24 단감농사 2016/11/11 18,957
616273 방금 뉴스에 최순실 예산 규모가 나오는데... 13 .... 2016/11/11 3,405
616272 이소라 또는 김현철 노래 같은데요 ... 3 프레드 2016/11/11 1,549
616271 길가에 버려지다 음원 다운받으세요 4 ... 2016/11/11 1,463
616270 이제 종편에서 하야를 해야 되지 않을까 한다네요 1 ;;;; 2016/11/11 1,161
616269 ‘뉴스룸’과 ‘썰전’을 보는 지상파 관계자들의 ‘속앓이’ 4 ㄴㄴ 2016/11/11 3,319
616268 에스트라디올 수치에 대해 아시는분 계신가요 1 pmol/L.. 2016/11/11 2,759
616267 내일 대전은 어디서 집회하나요? 2 한낮의 별빛.. 2016/11/11 446
616266 꽁치구이 비법(맛 보장) 23 ... 2016/11/11 6,062
616265 스텐크리너 추천해주세요 1 반짝 2016/11/11 480
616264 카드대금 출금 횟수 3 질문 2016/11/11 905
616263 최고 권력은 검찰이네요. 12 ㅎㅎ 2016/11/11 3,169
616262 겨울외투 남여 브랜드 추천 부탁드려요 3 겨울외투 2016/11/11 860
616261 아버지를 10년만에 만났는데 이가 하나도 없으세요 49 ... 2016/11/11 17,265
616260 김장을 썰어서 담궈도 괜찮을까요? 11 월동준비 2016/11/11 3,071
616259 그리운사람 신해철 4 .. 2016/11/11 720
616258 아가씨용 가방 1 나가자 2016/11/11 602
616257 박지원 이정현 문자에 보안 철저 당부한 거 10 불륜 2016/11/11 2,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