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대학원은 의대와는 다른건가요?
진료보고 기다리는중에 원장약력 써놓은걸 보니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이라 기재되어 있던데요.
보통 **대 의대 **과 전공의 ..이런 식으로 알고 있는데 순간 뭐지?하는 의문이 생겨서요.
가정의학과였는데 다른 동네의원도 비슷하겠지만 각종 주사,영양제 광고판도 많고..문닫는 시간이 오후 늦은편이라 종종 이용할까 싶기도 한데 한편으로는 궁금하기도 해서요.
- 1. 보건대학원'16.10.29 7:54 PM (59.15.xxx.129)- 네. 의대와 달라요. 
 이 의사분은 대학원과정을 의대가 아닌 보건대학원으로 간거죠.
 그 안에서 전공이 나눠져요.
 보건학과(보건인구, 보건영양, 보건통계, 역학 전공 등)
 보건정책관리학과(보건정책, 보건경제, 건강증진, 보건사회 전공 등)
 환경보건(세부전공... 잘 기억안남)
- 2. oo'16.10.29 8:02 PM (39.7.xxx.150)- 네 의대랑 달라요 좀 더 보건정책이나 큰 그림, 집단을 대상으로 한 건강에 대해 배워요 
- 3. ...'16.10.29 8:11 PM (124.54.xxx.213)- 의대 졸업해서 의사 면허 취득 후 석사나 박사를 할 때 보건대학원을 갈수도 있고, 일반대학원의 의학과를 갈수도 있고 그래요. 대학원 의학과는 우리가 생각하는 신경과 이비인후과 뭐 이런 식으로 나뉘고요. 
 
 그리고 인턴 레지던트를 하는 전문의 취득은 대학원을 별개의 문제입니다.
- 4. ...'16.10.29 9:09 PM (116.32.xxx.15)- 임상에 있는 의사가 보건대학원가는 경우는 거의 드물죠 
- 5. 동문'16.10.29 9:20 PM (223.62.xxx.81) - 삭제된댓글- 저도 서울대보건대학원 나온 임상의사에요. 지역사회나 공공보건 의료정책등에 관심 있는 가정의학과나 다른 임상과.의사들도 다닙니다. 전문의 과정과 별개에요. 의대 대학원 석박사해도 되고 보건대학원 석박사할수도 있고 안할수도 있고 선택사항이구요. 제 동기인 의사들은 보건학석사, 자기 임상과 전공 의대 박사도 많이 했네요. 필수과목도 많고 졸업도 힘들어서 공부 많이했네요. 
- 6. ㅇㅇ'16.10.29 10:34 P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가정의학과라면 예방의학이나 지역 사회 보건 등등에 대한 관심에서 
 보건대학원 진학하고 공부한 거 이해가 가는데요.
- 7. 음'16.10.30 8:33 A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임상에 있는 의사가 보건대학원가는 경우는 거의 드물죠222 
 
 가끔 학벌세탁의 의미로 가는 경우는 있죠.
 
 혹시 학부는 어디던가요?
 요즘이야 최하위 의대나 서가울이나 별 차이 없는 시절이지만요.
 
 예전엔 다 같은 의대가 아니고, 차이 많이 났어요.
 
 그런 시절에 하위권 의대 출신들은 유명 대학원이나 유명 병원 수련의/전공의부터 이력 쓰는 사람 많더만요.
- 8. 음'16.10.30 8:34 AM (119.14.xxx.20)- 임상에 있는 의사가 보건대학원가는 경우는 거의 드물죠222 
 
 가끔 학벌세탁의 의미로 가는 경우는 있죠.
 
 혹시 학부는 어디던가요?
 
 요즘이야 최하위 의대나 서가울이나 별 차이 없는 시절이지만요.
 예전엔 다 같은 의대가 아니고, 차이 많이 났어요.
 
 그런 시절에 하위권 의대 출신들은 유명 대학원이나 유명 병원 수련의/전공의부터 이력 쓰는 사람 많더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