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방이 문제인가 탄수화물이 문제인가?

... 조회수 : 2,267
작성일 : 2016-10-29 17:22:56

http://blog.naver.com/sol_2love/220832490471


최근 고지방저탄수 다이어트가 유행인데..

한번 씩 보시면 도움 될 듯합니다...

결론은 특정 한 성분의 과다섭취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미미했다..

즉 자연적인 음식을 섭취 했을 경우에는 탄수화물이면 탄수화물..지방이면 지방이

많이 든 음식을 계속 먹게 되더라도 비만이 되거나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만드는 중독성은

없었다고...(예를 들어 설탕만 계속 먹거나 버터만 계속 먹게 되지 않는 원리임)

오히려 살이 빠짐...(고탄수화물 -1kg, 고지방 -4kg)


하지만 (건강상태)는 당연히 둘다 안좋은 결과를 가져왔구요.

특히 고지방 음식을 한 달 간 섭취한 의사의 몸이 체중은 더 많이 줄어들었으나

근육량의 손실이 훨씬 많았고 (4kg중 2kg이상이 근육에서 빠짐)

(실제 탄수화물이 줄어들면 근육에 있던 단백질을 당으로 바꾸어 에너지원으로 쓰게됨.

이 과정에서 체내에 있던 많은 수분이 손실됨.그래서 더 체중이 빠졌다 느끼게 됨.)

탄수화물 유입이 안되니 인슐린분비가 줄어 당뇨병 직전의 몸상태가 되었다는것.

그리고 두뇌회전저하(뇌의 에너지원은 당)

운동능력 저하(근육이 바뀐 당은 질이 떨어짐) 등..  단점들이 더 많았다는것...


그렇다면 비만은...

지방과 탄수화물이 50대50의 비율(인간이 가장 맛있다 느끼는 맛)로 이루어진 인간이 만든

인위적인 화합물만이 뇌를 그 맛에 중독시키게 만듬.

그래서 주기적으로 섭취하게 만들어 살이 찌게 만들었다는것...

(치즈케익을 먹인 쥐는 끊임없이 치즈케익을 찾아서 먹게됨. 그 결과 비만쥐가 됨)

(자연에서 이런 배합으로 이루어진 음식은 없음)

IP : 118.44.xxx.91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0.29 5:23 PM (118.44.xxx.91) - 삭제된댓글

    http://tvcast.naver.com/v/1163422

  • 2. ..
    '16.10.29 5:26 PM (118.44.xxx.91)

    http://blog.naver.com/sol_2love/220832490471

  • 3. ㅇㅇ
    '16.10.29 5:26 PM (49.142.xxx.181)

    결론은 특정 한 성분의 과다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미미했다???
    과다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데
    영향은 지대하겠죠.
    영향의 차이는 또 뭘까요..

  • 4. ...
    '16.10.29 5:37 PM (118.44.xxx.91) - 삭제된댓글

    결과는 인체에 해로웠지만 탄수화물이면 탄수화물, 지방이면 지방 이렇게 특정 한 성분만이 비만에는 영향을 주는건 아니였다는 것이지요...오히려 체중이 빠졌으니까요. 결론적으로는 지방과 탄수화물 5:5의 비율인 인위적인 음식들을 섭취하게 될 때 그 맛의 중독성을 일으켜 비만을 유발하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 5. ...
    '16.10.29 5:37 PM (118.44.xxx.91)

    인체에 해로웠지만 탄수화물이면 탄수화물, 지방이면 지방 이렇게 특정 한 성분만이 비만에는 영향을 주는건 아니였다는 것이지요...오히려 체중이 빠졌으니까요. 결론적으로는 지방과 탄수화물 5:5의 비율인 인위적인 음식들을 섭취하게 될 때 그 맛의 중독성을 일으켜 비만을 유발하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 6. ...
    '16.10.29 5:43 PM (185.9.xxx.66) - 삭제된댓글

    말씀하신대로 제일 무서운 게 지방 탄수화물의 콜라보죠.
    버터 바른 빵...;;;;
    삼겹살과 쌀밥.
    꿀/메이플 소스 바른 베이컨.

    모두 맛있는 것들 뿐 ㅠㅠ 미국은 온통 지방과 탄수화물로 이루어진 음식들이 지배하고 있어 문제더군요.

  • 7. ...
    '16.10.29 5:44 PM (185.9.xxx.67) - 삭제된댓글

    저 윗분은 난독증 있으신지?
    '인체'가 아니라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고 되어 있어요.
    탄수화물을 내리 먹든 지방을 내리 먹든 체중은 빠지고 그 감소폭은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거잖아요.

  • 8.
    '16.10.29 5:55 PM (211.243.xxx.103)

    제 경험인데
    탄수화물많이,야채종류 먹고 찐 살은 금방 빠져요 노력하면,
    그런데 치즈종류,버터등지방으로 찌운살은 빼는데 2배로 힘들었어요 그담부턴 피자종류, 버터등등 겁나서 안먹음
    현재는 걷기운동만해도 크게 살안찜
    현미 제대로 먹음 살 덜찌구요
    유전적으로 살 찐분들도 피나는 노력해도 안빠지는분 봤어요

  • 9. ..
    '16.10.29 5:55 PM (203.226.xxx.227)

    뭐든 많이 먹어서 문제지 적정량만 먹으면 문제없음

  • 10. 삼천원
    '16.10.29 6:16 PM (202.14.xxx.177) - 삭제된댓글

    난 이런글 보면 정말 편법만 찾으려는 거 같아서..
    뭐든 적게 먹으면 됩니다. 그 뭐든지요.

  • 11. 지방만
    '16.10.29 6:57 PM (42.147.xxx.246)

    먹으면 당뇨병이 생기기 쉽다.
    것도 한달 만에 말입니다.

    병을 만드는 방법이네요.
    고지방이라는 게.

  • 12. 그냥
    '16.10.29 7:18 PM (218.157.xxx.54)

    머리 굴릴 필요 없이 적당히 먹으면 되는 거죠. 아무리 좋은 것도 과하면 독이란 말이 괜히 있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4503 친박 김진태 “박근혜 대통령, 더 이상 능욕 말고 탄핵하자” 7 세우실 2016/11/04 3,640
614502 44 // 2016/11/04 21,392
614501 이럴려고 대통령이 됬나- 나라 말아먹을려고 된거지 9 .. 2016/11/04 1,814
614500 국민의당에서 박근혜 퇴진 촉구 서명받습니다 40 퇴진 2016/11/04 1,855
614499 썰전하네요 6 .... 2016/11/04 2,955
614498 집회 끝나는 시간 2 바이올렛 2016/11/04 822
614497 궁금한이야기 y 보셨어요? 8 세상에! 2016/11/04 6,181
614496 최순천 일가의 사업ㅡ도산대로와 빌딩 2016/11/04 1,598
614495 검찰 말 맞춘거 들통 났어요!!! 22 단독 2016/11/04 23,178
614494 에릭은 양치질하면서 돌아다니는습관좀 20 제발 2016/11/04 11,902
614493 파파이스 올라왔습니다. 12 쓸개코 2016/11/04 2,443
614492 집회및 시위 초보를 위한 가이드 3 팟빵 2016/11/04 1,075
614491 Kbs 가 달라졌어요? 4 왠일? 2016/11/04 2,668
614490 췌장암증세가 복통이랍니다 8 복통 2016/11/04 12,172
614489 ㄹㅎ는 외가 친가 도움줄 사람이 아무도 없나요? 16 ... 2016/11/04 5,768
614488 컴에서 네이버만 안들어 가지는건 뭐가 잘못된건가요.. 1 답답 2016/11/04 642
614487 대통령이 국제 망신 망신 2016/11/04 687
614486 외국 영주권자가 한국에 와서 병원 치료 받을 때 의료보험 혜택은.. 9 병원 2016/11/04 4,528
614485 김병준 사퇴예상 전문용어로 물먹음. 30 파리82의여.. 2016/11/04 6,918
614484 지금 카톡으로 이런게 돌고 있어요 8 답이 없다 2016/11/04 8,155
614483 옷브랜드 알려주세요 7 잠바 2016/11/04 1,935
614482 이런 바보가 대통령이었던 겁니다. 10 망신 2016/11/04 4,354
614481 개똥 투척 열사님 근황(퍼옴!! 디게 웃겨요) 14 아. . 웃.. 2016/11/04 4,286
614480 집 보러가는 시간대 2 보통 2016/11/04 812
614479 판교 집값이 생각보다 높네요. 13 나나 2016/11/04 7,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