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설대 경영학과가 제일 센 학과였나요?

정말 조회수 : 5,517
작성일 : 2016-10-17 23:01:56
1980년 말에서 1990년 초에 법대 보다 경영학과가 더높은 점수를 받아야 갈 수 있었다는데 정말인가요?
IP : 49.174.xxx.39
4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6.10.17 11:06 PM (211.109.xxx.170)

    아니요. 전국 문과 1등부터 200등 정도까지 법대 가고 더러 특이한 애들 경제학과도 하고 그 다음 경영학과 가고 그랬죠.

  • 2. 아무도
    '16.10.17 11:07 PM (218.48.xxx.114)

    모를걸요. 선지원이라 커트라인은 공개되지 않았어요. 거의 비슷비슷했을거예요. 정원도 270 명씩이라 제일 큰 단과대들이었네요

  • 3.
    '16.10.17 11:09 PM (220.72.xxx.34)

    당근 뻥이죠..
    그걸 믿나..
    저당시 설대 법대는 최상중에 탑이에요
    학고로치면 한두개 틀려야 들어가고 문과탑이 법대
    경영학과는 2000년대 초반쯤 와서 커트라인 높아졌어요
    그전엔 아님

  • 4.
    '16.10.17 11:10 PM (61.74.xxx.54) - 삭제된댓글

    문과에서는 법대를 최고로 쳐주던데요
    경제도 아주 똑똑한 사람들이 갔구요

  • 5.
    '16.10.17 11:11 PM (61.74.xxx.54)

    법대가 제일 높았죠

  • 6. 오빠가
    '16.10.17 11:11 PM (110.70.xxx.84) - 삭제된댓글

    80년대에 설법 들어갔는데 경영가고싶다니까 부모님은 물론 학교측에서 설법 무조건 되는 점수인데 왜 경영가냐며 만류해서 결국 설법갔어요

  • 7. 사실
    '16.10.17 11:12 PM (218.48.xxx.114)

    중문 떨어지고 영문 붙은 학생 있다는 얘기도 돌았어요. 미리 학력고사 치고 지원했으면 윗분 얘기처럼 거의 등수대로 갔을텐데 선지원이라 상황이 달라진거죠. 어쨌든 두 과 모두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갔어요.

  • 8. 궁금하네요
    '16.10.17 11:14 PM (61.74.xxx.54) - 삭제된댓글

    법대 들어간 오빠는 경영학과 안가고 어른들 권하는 법대 간걸 잘했다고 하나요?
    나름 경영학과 간다고 했을때는 적성을 고려한거 같은데요

  • 9. 궁금하네요
    '16.10.17 11:15 PM (61.74.xxx.54) - 삭제된댓글

    법대 들어간 오빠는 경영학과 안가고 어른들 권하는 법대 간게 더 좋은 선택이라고 하던가요?
    나름 경영학과 간다고 했을때는 적성을 고려한거 같은데요

  • 10. ...
    '16.10.17 11:16 PM (61.252.xxx.155)

    경영보다는 경제

  • 11. ..
    '16.10.17 11:17 PM (1.233.xxx.126) - 삭제된댓글

    법대>>>>>경제>>경영

  • 12. ...
    '16.10.17 11:17 PM (175.223.xxx.247)

    경영보다는 경제 222


    자연대는 물리

  • 13. gg
    '16.10.17 11:18 PM (222.107.xxx.32) - 삭제된댓글

    제가 잘 아는데 서울대는 경영학과가 경제학과 보다도 점수가 낮았습니다.

  • 14. ㅡㅡ
    '16.10.17 11:19 PM (223.62.xxx.175)

    아뇨 한 두 해 경제가 법학 앞선 적은 있는데 경영은 법학 경제보다 항상 뒤였어요.

  • 15. ㅡㅡ
    '16.10.17 11:20 PM (223.62.xxx.175)

    저희 땐 자연계는 제어계측학과가 1위였고 물리학과가 그 다음이었어요.

  • 16. ㅎㅎ
    '16.10.17 11:20 PM (222.107.xxx.32)

    제가 잘 아는데 서울대 경영학과는 경제학과에 합격하기에 아슬아슬할때 지원햇어요.
    경제학과 다음이 경영학과 였어요.

  • 17. 당시 이과는
    '16.10.17 11:21 PM (218.48.xxx.114)

    전기전자제어 3과 컴공 항공공학이 잘나갔어요. 의대야 꾸준했었고. 물리는 수석한 아이들이 잘 갔는데, 그 시절에 커트라인이 최고라는 기억은 없네요.

  • 18. ....
    '16.10.17 11:23 PM (175.223.xxx.247)

    머라머라 쓸랬는데 그게 머 중요한가 싶네요

  • 19. 언제나 궁금했는데
    '16.10.17 11:25 PM (223.62.xxx.104)

    경제나 경영이나 뭐가 다

  • 20. ㅁㅁ
    '16.10.17 11:26 PM (175.115.xxx.149)

    그르게요. 그게 뭐시 중허다고.. 20년도 더 지난일을...
    걍 그런가보다~ 하고마세요

  • 21. ??
    '16.10.17 11:27 PM (121.166.xxx.37)

    90년대 초 서울대에 컴공이 있었나요??? 계산통계학과는 기억나는데. 기계 전기는 중간이고 금공 항공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요.
    사촌이 물리학과인데 자기 입으로 제계나 계통에 못 미친다고 했어요.

  • 22. 컴공
    '16.10.17 11:29 PM (218.48.xxx.114) - 삭제된댓글

    있었어요. 공대에. 이상한 이름들도 많았는데. 기계설계와 기계공학, 화학공학과 공업화학, 무기재료공학 또 뭐가 있었을까?

  • 23.
    '16.10.17 11:31 PM (175.223.xxx.14) - 삭제된댓글

    커트라인으로도 이과에서 물리는 오랫 동안 부동의 탑이었어요.
    전자공학과만 가끔 좀 비슷한 정도...
    그 아래에 의대, 제어계측, 계산통계 같은 몇몇 과들 비슷비슷했었어요.
    문과에서는 법대 다음 경제였고 경영은 영문, 정치, 외교, 신문, 심리 이 정도랑 비슷했어요.
    89에 중문 떨어지고 영문 2지망 합격한 학생 한 명 있어서 이변이라고 그랬었죠.
    무조건 등수대로 법대부터 채우고 이런 건 아니었고 소신 따라 지원한 학생들도 많았어요.
    그 때는 서울대 나오면 취업은 보장된 시절이라 하고 싶은 공부 하러 대학 갔었어요.

  • 24. 컴공
    '16.10.17 11:31 PM (218.48.xxx.114)

    있었어요. 공대에. 이상한 이름들도 많았는데. 기계설계와 기계공학, 화학공학과 공업화학, 무기재료공학 또 뭐가 있었을까? 계산통계는 자연대였던거 같은데요

  • 25. 1234
    '16.10.17 11:31 PM (183.105.xxx.126)

    80년대초 90년대 에는 서울대 법대가 더 높았을것 같아요.
    하지만.. 유시민이나 유승민 대학 다니던 시절에는 유신시대 법을 공부하고 싶지 않다...는 그런 취지로.... 또는 그때는 먹고 사는게 중요하던 시절이어서 머리 좋은 학생들이 법대를 가지않고 경제학과를 더 많이 갔다...는 그런 썰을 들은적은 있네요. 아마 유시민이 어떤 인터뷰에서 했던 말이었던것 같습니다. 왜 경제학과를 갔냐는 질문에...

  • 26.
    '16.10.17 11:35 PM (121.166.xxx.37)

    아 있었군요. 찾아보니 자연대 계통이랑 89년에 생긴 컴공이 나중에 통합됐나봐요. 자연대 공대 학과가 무지 많았네요.
    원글님 질문에 답하자면 경영대 즉 상대가 좋았던 때는 60-70년대 초중반 아닐까 해요. 베이비부머들 대학 다니던 산업화 초기에요.

  • 27.
    '16.10.17 11:35 PM (175.223.xxx.14) - 삭제된댓글

    그리고 당시 학력고사는 어려워서 340점 만점에 카트라인 300점 넘는 과가 별로 없었어요.
    87년도가 좀 쉬웠어도 법대 커트라인이 310점 좀 넘었을까?
    그러다가 92, 93년도에 학력고사가 많이 쉬워졌던 걸로 기억해요.

  • 28. 음?
    '16.10.17 11:40 PM (61.74.xxx.54) - 삭제된댓글

    컴공이 89 이전에 있었어요
    넥슨 김정주 회장이 컴공 86학번이에요
    엔씨 김택진은 전자공학 85구요

  • 29. 음?
    '16.10.17 11:41 PM (61.74.xxx.54) - 삭제된댓글

    컴공이 89 이전에 있었어요
    넥슨 김정주 회장이 컴공 86학번이에요
    네이버 이해진도 동기구요
    엔씨 김택진은 전자공학 85네요

  • 30. 음?
    '16.10.17 11:47 PM (61.74.xxx.54)

    컴공은 89 이전에도 있었어요
    넥슨 김정주 회장이 컴공 86학번이에요
    진경준이랑 동갑친구라고 나오죠?
    네이버 이해진도 동기구요

  • 31. tods
    '16.10.17 11:49 PM (119.202.xxx.204)

    그냥 다 공부잘한 애들이었습니다.

  • 32. 윗님 정답
    '16.10.18 12:03 AM (218.48.xxx.114) - 삭제된댓글

    당시는 학교에서 적당히 배분하기도 했지만,그래도 요즘처럼 취업 때문에 의대나 일부 인기학과로 가는 경향은 지금보다 적었어요. 저도 문학이 싫어서 영문 안갔고, 동생도 의사 싫어서 전전제 갔거든요. 의대가 원탑도 아니었구요. 86년인가는 미생물학과가 탑했던거 같네요. 동생 친구들도 서울공대 많이 갔는데, 하필 아이엠에프 탓인지 나중에 의대로 다시 들어간 아이들도 많아서 안타까웠답니다.

  • 33. ㅎㅎ
    '16.10.18 12:26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아뇨. 저 모의고사 보면 성적표에 지원 가능 대학, 학과 나오는데 시험을 아주 잘 보면 설대 법, 경제 나오고 그거보다 못 보면 경제, 경영 나오더군요. 커트라인은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서열은 저렇습니다. 법ㅡ경제ㅡ경영

  • 34. 1984년
    '16.10.18 1:08 AM (223.62.xxx.155) - 삭제된댓글

    서울대 법대보다 경제학과 커트라인이 높았던 학번이 84학번이에요.
    유시민이 경제학을 전공한 것처럼 최상위 학생들이 학부에서는 경제학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많았어요.
    지금은 어느 학교나 경영학이 인기가 많지만
    그 때는 경영은 학문이라기 보다는 비즈니스라는 생각에
    학부에서는 경제학을, 대학원에서 경영을 공부하는 경향이 있었어요.

  • 35. 1984년
    '16.10.18 1:12 AM (223.62.xxx.148) - 삭제된댓글

    서울대 법대보다 경제학과 커트라인이 높았던 학번이 84학번이에요.
    유시민이 경제학을 전공한 것처럼 학부에서는 경제학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최상위 학생들이 많았어요.
    지금은 어느 학교나 경영학이 인기가 많지만
    그 때는 경영은 학문이라기 보다는 비즈니스라는 생각에
    학부에서는 경제학을, 대학원에서 경영을 공부하는 경향이 있었어요.
    경제, 법대, 경영 전부 공부 잘하는 사람들이죠.

  • 36. ㅇㅇ
    '16.10.18 2:50 AM (108.63.xxx.52) - 삭제된댓글

    서울대 법대가 최고 였습니다

  • 37. 에구
    '16.10.18 4:25 AM (50.131.xxx.96)

    법 싫어하는 학생은 경제학과나 경영학과 가죠.

    무조건 법대 가지는 않아요.

    집안에서 회사하거나 학자집안들은 경제, 경영 학과 가요.

    저희 사촌 오빠 경제학과 가서 유학 갔죠.
    지금은 미국 탑 대학 교수님

  • 38. 오빠가
    '16.10.18 6:00 AM (223.62.xxx.102) - 삭제된댓글

    설대 법대 성적 됐는데도 법보다는 경제학 공부하고 싶다고 경제학과 갔어요.
    세월이 흐른 후에 왜 경제학과 갔냐고 물어보니 집에 돈이 너무 없어서 돈 많이 벌고 싶어서 갔다나요.^^
    그래서 그런가 종자돈 재테크 잘해서 돈깨나 벌었어요.
    머리 돌아가는거 보면 확실히 잘 돌아가요.
    번 돈으로 베풀기도 많이 베풀고요.

  • 39. 심지어
    '16.10.18 9:25 AM (14.32.xxx.47)

    지금도 경영이 제일 쎈 학과는 아닙니다.
    물론 최초입결은 경영이 높겠지만 최종입결은 경영은 하위 점수예요.
    서울대 문과는 사범대학이 제일 낮고 그외는 거의 모든 학과가 대동소이합니다.

  • 40. ???
    '16.10.18 9:36 AM (175.223.xxx.14) - 삭제된댓글

    지금도 경영이 제일 높은 건 아니라고 해도 합격 못 할까 봐 경영을 못 써서 그런 게 크죠.
    외고, 전사고 전교권은 거의 예외 없이 경영 아니면경제로 진학하고
    그 아래 등수가 다른 과 골라서 가요.
    정시는 문과가 워낙 헬이다 보니 서울대는 다 비슷한 점수대에서 끊어지지만
    특목고에서 수시 원서 써 보면 학과 서열이 비교적 분명합니다.
    그리고 서울대 경영은 최초입결이 거의 최종입결이에요.
    교차지원으로 의대 가는 애들 몇 명 빠지는 게 끝 아닌가요?

  • 41. ???
    '16.10.18 9:39 AM (175.223.xxx.14) - 삭제된댓글

    지금도 경영이 제일 높은 건 아니라고 해도 합격 못 할까 봐 경영을 못 써서 그런 게 크죠.
    외고, 전사고 전교권은 거의 예외 없이 경영 아니면 경제로 진학하고
    그 아래 등수가 밀려서 다른 과 가는데 대개 정외, 언론정보, 심리 이런 곳이 인기 많죠.
    정시는 문과가 워낙 헬이다 보니 서울대는 다 비슷한 점수대에서 끊어지지만
    특목고에서 수시 원서 써 보면 학과 서열이 비교적 분명합니다.
    그리고 서울대 경영은 최초입결이 거의 최종입결이에요.
    교차지원으로 의대 가는 애들 몇 명 빠지는 게 끝 아닌가요?

  • 42. 윗분
    '16.10.18 9:53 AM (14.32.xxx.47)

    서울대에서 최초와 최종이 점수차 제일 큰 과가 경영입니다.
    최고점수를 받은 학생은 예외없이 경영 혹은 경제를 쓰겠지만 하위로 갈수록 쫄려서
    경영갈 점수가 인문대나 그외로 빠지고 연대 혹은 재수를 결심하고 소신이나 상향지원하는 점수들이
    경영 최종입결점수가 되지요.
    이게 해마다 반복이지만 막상 당사자가 되고보면 모험을 두려워 하게 되어 알고는 있어도
    실행이 어려운 겁니다.

  • 43. ???
    '16.10.18 10:20 AM (175.223.xxx.14) - 삭제된댓글

    용어를 잘못 사용하셔서 의미가 전달이 잘 안 됐네요.
    입시에서 최초입결은 보통 추가합격 이전에 제일 처음 합격자 발표 때의 입결을 의미하고
    최종입결은 추합이 다 돈 이후 마지막 합격자의 입결을 의미해요.
    서울대 경영은 추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최초입결과 최종입결이란 개념 자체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거고요.
    님이 말씀하시려는 건 합격자들 사이의 점수 편차가 커서 의외의 합격자가 나온다 이런 얘기네요.
    그건 저도 동의합니다.

  • 44. ???
    '16.10.18 10:23 AM (175.223.xxx.14) - 삭제된댓글

    용어가 정확하지 않아서 의미가 전달이 잘 안 됐네요.
    입시에서 최초입결은 보통 추가합격 이전에 제일 처음 합격자 발표 때의 입결을 의미하고
    최종입결은 추합이 다 돈 이후 마지막 합격자의 입결을 의미해요.
    서울대 경영은 추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최초입결과 최종입결이란 개념 자체를 적용하기 어렵다고
    제가 말씀드렸던 거고요.
    님이 말씀하시려는 건 합격자들 사이의 점수 편차가 커서 서울대 경영 입결이 생각보다 낮다 이런 얘기네요.
    그건 저도 동의합니다.

  • 45. 555
    '16.10.18 10:44 AM (49.163.xxx.20)

    법경사..라고 해서 3대탑전공은 합격자 평균은 늘 법대가 가장 높지만,
    커트라인은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들쑥날쑥해쇼.

  • 46. ㅇㅇ
    '16.10.18 5:03 PM (152.99.xxx.38)

    그래봤자 거기서 거기 다 엄청 똑똑이들입니다요~~ 크게 차이없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8166 요즘 여수 날씨 어떤가요? 2 질문 2016/10/18 384
608165 후쿠오카 여행중인데 18 지니니 2016/10/18 4,031
608164 자랑하고싶어요~ 4 30년전 동.. 2016/10/18 1,418
608163 로봇청소기 머리카락도 잘 청소해주나요??? 2 ㅇㅇㅇ 2016/10/18 2,005
608162 여수 여행코스좀 알려주세요~~ 6 여수 2016/10/18 1,559
608161 뒤늦게 보보경심(중드)에 빠졌네요. 쓰예(四爷) 너무 멋져요 13 만두 2016/10/18 2,680
608160 20년 가까이된 집을 샀어요. 인테리어 어디까지 해야할까요? 3 휴휴 2016/10/18 2,237
608159 치아교정 안한게 너무 후회가 되네요 23 후회 2016/10/18 13,181
608158 30대후반 새로운 직업을 갖고 싶어요.. 어려울까요? 2 인생2막 2016/10/18 2,415
608157 "아베가 직접 사죄했고 배상했다고 정부가 거짓말&quo.. 4 샬랄라 2016/10/18 365
608156 미국 코스트코에서 냉동식품을 환불받을 수 있을까요? 5 코스트코 2016/10/18 1,485
608155 편도결석 수술하면 많이 아프고 오래 고생하나요? 유리 2016/10/18 824
608154 이대 못 잡아 먹어서 난리난 글들은 뭔가요? 22 .. 2016/10/18 1,768
608153 서울랜드 놀이기구 재미있는거 많나요? 5 호롤롤로 2016/10/18 1,330
608152 마포쪽에 정신과 의사가 하는 심리까페??아시나요? 4 ㅡㅡ 2016/10/18 1,785
608151 자다가 땀을 흠뻑 흘려요 한의원 추천좀요 5 도한증 2016/10/18 1,408
608150 요즘 생리 중이라서..라고 아빠한테 말하는 거요 26 어떻게생각하.. 2016/10/18 5,890
608149 신세계 상품권 사용 가능한가요? 1 선물 2016/10/18 692
608148 손혜원...큰거 준비중 ㅎㅎ 1 ㅎㅎㅎ 2016/10/18 1,823
608147 초1 생각보단 엄마숙제라는게 없네요 5 .없음 2016/10/18 1,089
608146 급여 계산 부탁해요 4 궁금 2016/10/18 725
608145 다른 학교도 체육복을 교복처럼 매일 입어도 학교에서 뭐라 안 하.. 6 중학생들 2016/10/18 999
608144 아파트 개짖는소음 6 진짜 2016/10/18 1,704
608143 압력솥 바꾸려고 하는데 .추천 좀 꼭 부탁드려요~ 2 ~~ 2016/10/18 696
608142 미국 학생비자로 쿠바여행할 때 1 ... 2016/10/18 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