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무원이 낳은가 대기업이 낫은가 전문직이 나은가

조회수 : 4,509
작성일 : 2016-10-11 00:16:17
어느것이 나은가요

공무원이 낫은가?

대기업이 낳은가

전문직이 나은가.

IP : 175.223.xxx.66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0.11 12:19 AM (211.36.xxx.65) - 삭제된댓글

    빌딩주인이 젤낫죠.

  • 2. ㅎㅎㅎㅎㅎ
    '16.10.11 12:20 AM (178.191.xxx.184)

    원글님 센스 ㅎㅎㅎ.

  • 3. ......
    '16.10.11 12:26 AM (39.121.xxx.144)

    금수저요~ ㅋㅋ

  • 4. 그때
    '16.10.11 12:26 AM (175.223.xxx.66)

    맞춤법은 중요하지않고 본질을 보라는

    남자 공무원이 올렸던


    공무원이 낳은가 -> 낫은가 대기업이 좋은가

    생각만 해도 너무 웃겨서 검색해봤는데

    지워졌네요...쩝....

    한글날이라 더 웃겼었는데

  • 5. 주옥같던
    '16.10.11 12:27 AM (175.223.xxx.66)

    댓글도 기억나요.

    그 자료가 틀렸다는 어떤분께

    님의
    인성을 가슴에 손을 얹고 성찰하시오.

    ㅋㅋㅋㅋㅋ

    그 글 보고싶은데 지워졌네요. 기억하시는 분들 계신지..

  • 6. ㅋㅋㅋ
    '16.10.11 12:29 AM (175.209.xxx.57)

    그거 일부러 그런거 아니구요??? 웃길려고?

  • 7. ..
    '16.10.11 12:31 AM (116.124.xxx.160) - 삭제된댓글

    골라잡아 아무거나 할 수 있는 거면, 저 질문이 의미가 있죠.
    보통은 아무거라도 좋으니까 하나 시켜줬으면 좋겠고.
    해당사항 있는 사람은
    전문직 될 수 있는 사람이 대기업 가는 사람 없고
    대기업 갈 수 있는 사람이 공무원 시험 공부 하는 사람 없고
    공무원 될 수 있는 사람이 전문직, 공무원 골라 갈 수 없고.
    대기업 관두고 공무원 되었다고 해서,
    공무원이 대기업 보다 낫다고 할 수는 없어요.
    그저 고용불안의 문제일 뿐.
    그것도 문제라면 큰 문제인데, 우리사회 포지션은 자식이나 친척이 대기업이면 대단하다고 생각해도
    공무원은 대단하다고 자랑하지 않습니다.
    전문직이 있으면 가문의 자랑이요, 대기업이 있으면 집안의 자랑이요, 공무원이 있으면 꿀리지 않는 정도지요.

  • 8. ..
    '16.10.11 12:31 AM (116.124.xxx.160) - 삭제된댓글

    골라잡아 아무거나 할 수 있는 거면, 저 질문이 의미가 있죠.
    보통은 아무거라도 좋으니까 하나 시켜줬으면 좋겠고.
    해당사항 있는 사람은
    전문직 될 수 있는 사람이 대기업 가는 사람 없고
    대기업 갈 수 있는 사람이 공무원 시험 공부 하는 사람 없고
    공무원 될 수 있는 사람이 전문직, 대기업 골라 갈 수 없고.
    대기업 관두고 공무원 되었다고 해서,
    공무원이 대기업 보다 낫다고 할 수는 없어요.
    그저 고용불안의 문제일 뿐.
    그것도 문제라면 큰 문제인데, 우리사회 포지션은 자식이나 친척이 대기업이면 대단하다고 생각해도
    공무원은 대단하다고 자랑하지 않습니다.
    전문직이 있으면 가문의 자랑이요, 대기업이 있으면 집안의 자랑이요, 공무원이 있으면 꿀리지 않는 정도지요.

  • 9. ..
    '16.10.11 12:35 AM (116.124.xxx.160) - 삭제된댓글

    골라잡아 아무거나 할 수 있는 거면, 저 질문이 의미가 있죠.
    보통은 아무거라도 좋으니까 하나 시켜줬으면 좋겠고.
    해당사항 있는 사람은
    전문직 될 수 있는 사람이 대기업 가는 사람 없고
    대기업 갈 수 있는 사람이 공무원 시험 공부 하는 사람 없고
    공무원 될 수 있는 사람이 전문직, 대기업 골라 갈 수 없고.
    대기업 관두고 공무원 되었다고 해서,
    공무원이 대기업 보다 낫다고 할 수는 없어요.
    그저 고용불안의 문제일 뿐.
    그것도 문제라면 큰 문제인데, 우리사회 포지션은 자식이나 친척이 대기업이면 대단하다고 생각해도
    공무원은 대단하다고 자랑하지 않습니다.
    전문직이 있으면 가문의 자랑이요, 대기업이 있으면 집안의 자랑이요, 공무원이 있으면 꿀리지 않는 정도지요.
    개인의 명예와 영달의 추구냐, 안정의 추구냐의 문제인데.. 그게 어느 게 낫다고 말할 수가 없다능.
    그래도 낫다고 하면 여자들은 공무원이 낫다고 하죠.
    비오는 날에는 장화가 구두보다 나은 수준.

  • 10. 도대체
    '16.10.11 12:36 AM (218.157.xxx.182)

    이거 얼마나 많은 사이트에 도배되는지? 박봉 공무원 부심?

  • 11. 원래는 저 정도의 사람들이
    '16.10.11 12:43 AM (116.126.xxx.157) - 삭제된댓글

    가는 게 맞는 직업이죠. 행시 등 고급 공무원이 아닌 한...
    근데 불황의 여파로 공무원 직업이 너무 뻥튀기 돼서 너도 나도 지원하는 지금이 비정상이죠.^^

  • 12. ㅋㅋ
    '16.10.11 12:44 AM (211.36.xxx.65) - 삭제된댓글

    공무원들 자부심 쩌네요.
    저 아는 공무원도 카톡에 어의가 없네..이렇게 적어놓고..
    가늘고 길뿐
    짧고 굵은 대기업도 나쁘진 않아요.

  • 13. ㅋㅋ
    '16.10.11 12:46 AM (211.36.xxx.65) - 삭제된댓글

    공무원들 자부심 쩌네요.
    저 아는 공무원도 카톡에 어의가 없네..이렇게 적어놓고..
    공무원이 가늘고 길뿐
    짧고 굵은 대기업도 나쁘진 않아요.
    전에 통계도 냈는데 비슷하다고 나왔어요.
    공무원 연금은 국민연금보다 수익이 더 안좋아서
    (기존 연금받는 사람들이 너무 고액인데다 오래살죠)
    앞으로 점점더 줄일거에요.

  • 14. 김일성
    '16.10.11 12:57 AM (110.9.xxx.55) - 삭제된댓글

    대기업 근처도 안가본 분들이 대기업 좋다고 하는말은 걸르세요

    입사한지 20년 거의 다된 지금 차장단 사람들은 죽지못해 다니는거고 (돈은 많이 받는데 늘 불안하고 스트레스 장난아니죠 ) 요즘 입사하는 애들은 지옥이예요
    근속연수 10년도 안되요

    기대수명 80살 이라는데

    그 나이때 관두면 할거 없어요

  • 15. ㅡㅡ
    '16.10.11 1:07 AM (223.62.xxx.189) - 삭제된댓글

    윗님은 안정 생각하니 그런거고
    대기업 있다 나와서 창업했는데 공무원이였으면
    엄두도 못내겠지요? 그나마 기업에 있다 나와서이고

    케바이케 노후나 안정추구만 볼게 아니라보내요.
    저희는 집안에 형제 친척들이 거의 공사내지는 공무원인데
    노후며 사는건 제가 제일 안정적이고 잘 살아요.

    어디든 하기나름입니다.

  • 16. ㅡㅡ
    '16.10.11 1:11 AM (223.62.xxx.189) - 삭제된댓글

    윗님은 보여자 안정 생각하니 그런거고
    대기업 있다 나와서 창업했는데 공무원이였으면
    엄두도 못내겠지요? 그나마 대기업에 있다 나와서 가능한건데 케바이케.

    노후나 안정추구만 볼게 아니라보내요.
    저희는 집안에 형제 친척들이 거의 공사내지는 공무원인데
    노후며 사는건 제가 제일 안정적이고 잘 살아요.
    공무원은 퇴직하면

    어디든 하기나름입니다.

  • 17. ㅡㅡ
    '16.10.11 1:13 AM (223.62.xxx.189) - 삭제된댓글

    윗님은 보여자 안정 생각하니 그런거고
    대기업 있다 나와서 창업했는데 공무원이였으면
    엄두도 못내겠지요? 그나마 대기업에 있다 나와서 가능한건데 케바이케. 대기업도 혼자버는거와 맞벌이 차이는 엄청나요

    노후나 안정추구만 볼게 아니라보내요.
    저희는 집안에 형제 친척들이 거의 공사 내지는 공무원인데
    노후준비며 사는건 제가 제일 안정적이고 잘 살아요.
    공무원은 퇴직하면 뭐 할게 있나요? 고위직 아니고서는

    어디든 하기 나름입니다.

  • 18. ㅡㅡ
    '16.10.11 1:13 AM (223.62.xxx.189)

    윗님은 단순한 안정 생각하니 그런거고
    대기업 있다 나와서 창업했는데 공무원이였으면
    엄두도 못내겠지요? 그나마 대기업에 있다 나와서 가능한건데 케바이케. 대기업도 혼자버는거와 맞벌이 차이는 엄청나요

    노후나 안정추구만 볼게 아니라보내요.
    저희는 집안에 형제 친척들이 거의 공사 내지는 공무원인데
    노후준비며 사는건 제가 제일 안정적이고 잘 살아요.
    공무원은 퇴직하면 뭐 할게 있나요? 고위직 아니고서는

    어디든 하기 나름입니다.

  • 19. ...
    '16.10.11 1:15 AM (211.36.xxx.65)

    공무원의 장점은 근근히 먹고살 정도로 돈 나온다는거..
    공무원 연금 수익률이 국민연금보다 안좋아서
    그 연금도 몇십년후 얼마나 줄지 불투명해요.
    비슷한 또래 공무원보다 대기업 다니는 제가 자산이 두배에요.
    대기업 짤린다해도 오십까지 다니는 사람도 많구요.
    공무원 평균 재직률도 그리 길지 않아요.
    정년 꽉 채우는 비율 의외로 적더군요.
    20년 좀 넘어 퇴직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 20. gjf
    '16.10.11 2:30 AM (27.124.xxx.167)

    이게 질문인가요?
    당연 전문직이지요.
    예전 만큼 벌지 못한대도..
    공무원 아버지..
    대기업 대학동기
    다 제치고 전문직과 결혼했어요.

  • 21. ??
    '16.10.11 2:32 AM (93.56.xxx.156) - 삭제된댓글

    직업만 보면 전문직이 최고 아닌가요?

  • 22. 그 원글 삭제했어요?
    '16.10.11 2:42 AM (58.234.xxx.243)

    아 정말 그 글에 댓글들 때문에 배 잡고 얼마나 웃었던지 최근 들어 그렇게 웃었던 적이 없었어요 ㅋㅋㅋ
    생각하니 또 웃음이 터져서 저 또 빵 터졌어요
    이 글 제목보고 막 웃음 터져서 깔깔거리며 들어왔어요ㅋㅋ
    원글님도 센스있으시고 재밌는 분~^^
    아 웃겨요ㅋㅋㅋㅋ

  • 23. 어쨋든
    '16.10.11 7:44 AM (218.154.xxx.102)

    현재 공무원 시험은 고시가 됐고
    공무원은 멋진 고학력 인재로 넘쳐남.

  • 24. ..
    '16.10.11 9:37 AM (110.8.xxx.181) - 삭제된댓글

    행시패스라면 몰라도 공무원이 좋나요?
    경쟁율 높다해도 그냥저냥 먹고사는데 최우선점을 두는 그만그만한 사람들이 많아 경쟁하니 치열한것일뿐,
    솔직히 똑똑하고 잘나가는 사람들중에 공무원이 꿈인 사람은 없어요
    행시패스해서 고위공무원으로 나가겠다면 몰라도,,

  • 25. 당연히
    '16.10.12 2:13 AM (115.161.xxx.18)

    전문직이 비교도 안되게 더 나은건데
    공무원 부모님.. 공무원 시험 치라시니..
    30대네 몇년 더 고생하고 전문직되는게 낫지 진짜
    요새 기사에서 자꾸 공무원 띄워주니까 현실감각이 없나봐요.. 제 하소연 입니다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5408 자유형 호흡이 어려워요 9 수영 2016/10/11 3,374
605407 집에 오면 핸폰 비행기모드로 해놓는 남편...맞지요? 22 오춘기 2016/10/11 22,540
605406 압구정 구현대는 제일 큰 평수가 몇 평인가요? 8 아파트 2016/10/11 4,101
605405 오사카에서 한국관광객 묻지마 폭행주의보 내려졌대요 24 2016/10/11 5,409
605404 스킨 보톡스 대구나 부산에 잘하는 병원 없나요?? 동안절실 2016/10/11 611
605403 차은택 관계 없을까요? 3 ㅇㅇ 2016/10/11 1,113
605402 당뇨 초기 증상.. 발톱 등 어떤가요? 6 2016/10/11 5,955
605401 칫솔꽂이 어떤거 쓰시나요? 2 ... 2016/10/11 964
605400 년식있는 아이책 1 .... 2016/10/11 491
605399 40 넘어 출산하면 건강 해치는 건 확실할 것 같아요 12 .. 2016/10/11 5,387
605398 새우젓 보다 마른 새우가 더 진한 맛이 나는 거 같아요 1 질문왕 2016/10/11 1,056
605397 강동구. 강서구 ... 고등학교 잘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6 송충이 2016/10/11 1,819
605396 장애인요양원 2 추천해주세요.. 2016/10/11 598
605395 아... 욱아~~ 6 달의연인 2016/10/11 1,153
605394 이사고민 1 .... 2016/10/11 513
605393 졈점 바보가 되어가고 있나봐요... 3 고민녀 2016/10/11 1,441
605392 태아보험 환급금있는거 없는거 어떤거 들어야하나요? 7 모모 2016/10/11 965
605391 피땅콩이 잔뜩 생겼어요.어찌 먹을까요? 11 에고 2016/10/11 1,909
605390 아시는분 계실까요? 궁금합니다 2016/10/11 277
605389 소파위에서 덮을 담요나 도톰한 이불 추천좀요 10 소파 2016/10/11 2,115
605388 결혼축의금 5 8년전 2016/10/11 1,103
605387 가볼만한 콘서트 뭐가 있나요? 10 놀자! 2016/10/11 1,197
605386 사람이 바닥을 쳐보니...주변사람이 쫙 갈리네요 7 .. 2016/10/11 4,954
605385 새로운 도전 ____힘들다 1 ........ 2016/10/11 440
605384 까마귀 꼴 보기 싫어요 15 이라이자새 2016/10/11 2,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