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불교를 종교로 가지고 싶어요. 절에 가서 어떻게 해야하나요?

82쿡스 조회수 : 4,304
작성일 : 2016-10-07 10:17:58

교회는 새로운 신자를 위한 교육도 있고한데..

인근에 큰 절이 있어서 거기 다니고 싶은데

예배? 같은 시간도 홈페이지에 없네요 ㅜ

그냥 가서 제일 큰 강당? 같은곳에 앉아서 기도하면 되나요?

불경 같은것은 또 우째 해야하는지...

불교는 원래 그냥 저냥 다니는 건가요? ㅜ

IP : 211.182.xxx.254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절에가면
    '16.10.7 10:21 AM (125.180.xxx.52)

    기초예절반이 있어요
    배우면서 다니면 처음가는사람은 도움되지요

  • 2. 당근
    '16.10.7 10:24 AM (125.190.xxx.227) - 삭제된댓글

    절도 교회랑 같아요
    나가서 봉사도 하셔야고 대놓고 시주 내라는 주지 스님도 있어요

  • 3. 무슨
    '16.10.7 10:33 AM (125.180.xxx.52) - 삭제된댓글

    대놓고 시주내라니요
    큰절은 그런것 절대 없으니 큰절로 다니세요
    작은절은 안가봐서 모르겠네요

  • 4. ...
    '16.10.7 10:35 AM (183.98.xxx.245)

    큰절에는 불교공부하는 프로그램으로 기초학당 , 불교대학등의 코스가 마련되어 있고요..
    모든절에서 1주일에 한번 이상 정기법회가 있으니 거기에 참여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처음 절에가면 대개의 절에서 새신도 안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니 문의하시면 될 듯합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5. ㅡㅡ
    '16.10.7 10:36 AM (119.70.xxx.204) - 삭제된댓글

    절에는 시주강요없습니다
    모두자발적으로 하는겁니다
    큰절이나 왠만한절에는 기초교리반이있어요
    불교는 이론이 쉽지않기때문에 공부부터시작하셔야좋아요

  • 6. 법당은 항상 열려있으니까
    '16.10.7 10:36 AM (122.40.xxx.85)

    가서 향피우시고 천원정도 시주함 넣으시고
    절 세번 하고 오세요.
    저희 부부도 모태신자인데도 따로 절 정해놓고 다니거나 그러지 않아요.
    관광지 가면 들러서 그렇게 절만 하고 와요.
    불교신자의 특징이죠뭐.

  • 7. 내마음
    '16.10.7 10:37 AM (125.128.xxx.138)

    절이랑 교회는 달라요~

    시주도 본인이 하고 싶은 마음이 나서 하는 거지
    십일조 처럼 정해진것 없습니다.
    참고로 저는 신도가 많은 큰 절에가서는 시주를 안합니다.
    작은 절에가면 시주를 꼭 합니다
    절 살림도 돈이 있어야 꾸려나가는 거니까요~

    절에서 운영하는 불교대학이 있습니다.
    거기서 수업을 받으시면 절하는 법이라든가 법당예절을 배울수 있겠지요
    불경은 다니면서 익혀도 되고
    불경책이 법당에 비치되어 있으니 예불시 보고 읽어도 됩니다
    아무도 뭐라고 안 해요^^

    아니면 가시고 싶은 절에 가셔서 종무소에가서
    절에 처음 왔다고 말씀하시고
    도움을 청하면 반갑게 도와드릴꺼예요^^

  • 8. 절에 다니고 싶으신 건지
    '16.10.7 10:41 AM (182.215.xxx.8)

    아니면 불교를 종교로 갖고 싶은건지요...

    근처에 큰 절이 있어서 그곳에 우선 다녀보고 싶으신것 같네요.
    그럼 우선 한번 가보세요.
    홈페이지말고 직접 가보시면
    법회시간표가 아마 있을거에요.
    기도는 5시부터 정해진 시간이 있을거고.
    법당에는 그냥 들어가셔서 방석 깔고 절을 하셔도 되고
    앉아계셔도 되고.. 그렇습니다.
    저는 새벽기도 잠깐 다닌적이 있는데
    비어있거나 맘에 드는 법당에 가서 조용히 기도하고 왔어요.
    누가 봐도 뭐라하는 사람들 없고 그냥 자유롭게 드나드시면 ㄷ되요.
    법회시간을 아시면 그 시간에 가셔서 우선 법문을 듣기 시작하시면 될것 같아요.
    또는 불교에 대해사 불교가 무엇인지. 정말 제대로 알아보고 공부하고 싶으시다면. 정토회 불교대학 추천드리고요.
    그러면 불교가 무엇인지 역사부터 제대로 공부할수 있습니다.
    그렇게 불교에 대해서 바르게 아시고 난후
    근처에 마음 편한 절이나 스님이 계시다면 그 절에 다니셔도 좋을것 같아요.
    그냥 저냥 다 막연하다면 정토회 불교대학 추천합니다.
    저도 불교대학에서 1년 공부하고. 그 다음 불교를 종교를 삼았습니다. 그리고 1년더 경전반에서 공부 했고요.
    이렇게 2년으로 불교를 다 안다고 할 수 없비만
    아 내가 불교를 내 삶의 종교 혹은 지지대 로 삼고 살겠다
    이렇게 세울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어디 절에 다니거나 정토회 활동을 하거나 하지는 않지만 불교를 기준에 두고 내 삶에서 갈등되는 일이 있을때 전보다 훨씬 사는게 가볍고 명료해졌어요.
    저는 막연히 절에 다니고 싶다라는것보다는
    살아가는데 무언가 나의 기준을 갖고 싶어서
    종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불교대학가서 공부한것이 그 기준을 갖게 해주었고요.
    법륜스님이 강의를 정말 쉽게 풀어서 해주시기 때문에
    그 어려운 경전을 참 쉽게 내 인생에 적용할 수 있었고요.
    어디 절에 소속되어 있지 않지만 저 나름대로 혼자 불교에ㅜ대한 소신을 갖고 불자로 살아가고 있답니다~~^^
    (제가 말을 잘 못해서.. 글만 길어졌어요. 지송.

  • 9. ...
    '16.10.7 11:01 AM (220.88.xxx.40)

    10시나 10시반에 사시공양있어요...
    일단 가서 따라해보시고
    종무소가서 안내받으세요...

  • 10. 저도
    '16.10.7 11:08 AM (203.226.xxx.86)

    정토회 불교대학 추천합니다.

  • 11. 무종교인 사람인데
    '16.10.7 11:15 AM (46.101.xxx.227)

    종교를 갖는 사람들은 우선 혼자서라도 많은 기본 섭리를 잘 파악하고 기준을 가지고 임하셔야
    나중에 마음의 평안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왜 이런 말을 하냐하면,,큰 절의 스님과 그리고 목사도 좀 아는 사람이 있는데
    종교지도자라는 사람들 보면 일반인은 이해하기 힘든 비열한 비지니스가 많이 숨어 있더군요.

    한국에서 신도, 신자들에게 극존경받는 스님이 신도들에게 돈을 받아다가
    일본에 와서 유흥, 바람,,, 일반인도 쉽게 하지 않는 짓거리를 하는 모습도 많이 보고,,
    이런저런 모습을 보면 종교지도자들에 대한 신뢰가 전혀 안가고 개인적으로 절대로 종교를 갖고 싶지 않더군요.

    물론 제가 보고 경험한 것이 전부가 아니니
    다행이 좋은 종교지도자를 만나 좋은 종교의 법리나 교리를 습득하시고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어떠한 경우라도 스님이나 목사에 의존하는 종교생활만은 피하시라고 조언하고 싶습니다.

    나중에 인간을 보고 실망하기 쉽습니다.

    아무튼 중요한 것은 스스로 공부를 많이 하시면서 종교지도자들의 교리를 잘 습득하시면서
    스스로 생각하시면서 기준점을 잘 세우셔야 될 것 같습니다.

  • 12. 82쿡스
    '16.10.7 11:29 AM (223.62.xxx.49)

    감사합니다. 불교 교리, 철학에 관심이 있었고. 막연히 불교를 좋아^^;했었어요. 막상 절에는 못가고 있다가. 요즘 마음이 싱숭생숭해서 다녀보고 싶었습니다. 진지한 답변들 감사합니다^^

  • 13. 저도
    '16.10.7 11:38 AM (121.131.xxx.43)

    정토회 추천합니다.
    http://www.jungto.org/

  • 14. 일단
    '16.10.7 11:46 AM (110.70.xxx.200)

    마스타니 후미오의 "불교 개론"과 "아함경" 읽어 보세요.

  • 15. ..
    '16.10.7 12:02 PM (108.29.xxx.104)

    처음부터 신도회 들어가고 그러지 마세요. 그냥 편하게 다니세요. 하는 순서가 좀 틀리면 어때요. 천천히 배우면 됩니다. 저절로 배워지고요. 절이야 말로 아무도 뭐라 안 합니다. 그냥 말없이 왔다가 가셔도 됩니다.

  • 16. 그냥 불교철학을 공부하세요
    '16.10.7 12:06 PM (116.126.xxx.157) - 삭제된댓글

    종교로써 무언가를 믿기 시작하는 순간 종교적 미혹에 빠지는 거예요. 그러면 불교든 기독교든 이름만 다를 뿐 똑같은 구조 속에 갇혀 허덕이게 돼요.

    불교성전도 보고, 또 기독교 성경책도 읽고 종교적 편견을 버리면 훨 자유로와져요. 특히 한국의 모든 종교는 이미 종교적 기능을 상실한 상태라 더더욱 그래요.

  • 17. ...
    '16.12.15 10:34 PM (117.111.xxx.118)

    불교의 부처는 상한 돼지고기 먹고 식중독에 걸려 설사병으로 죽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신이 아니니 나를 믿지 말고 네 스스로를 의지하라고 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5816 어제 강하늘의 처절한 눈빛 연기... 마음을 울리네요~ 4 그아이때문이.. 2016/10/12 1,345
605815 널럴하다? 1 이왕지사 2016/10/12 1,879
605814 남편회사에 샌드위치 만들어서 보내려는데요- 53 추천- 2016/10/12 5,868
605813 이자 계산좀 해주세요ㅠ.ㅠ 5 아줌마 2016/10/12 547
605812 갑순이에서 셋방 사는 금수조 부자는 사깃군인가요? 갑부인가요? 1 ........ 2016/10/12 2,018
605811 클로즈업 치약 선물 들왔는데 어떤가요 1 ㅇㅇ 2016/10/12 2,253
605810 고딩 다운 패딩 어떤걸 사야 할까요? 8 마스코트 2016/10/12 1,388
605809 주말부부 고민입니다.. 20 주말부부 2016/10/12 4,760
605808 캐리어 최지우가 왜 자고 가라고 한거죠 12 캐리어 2016/10/12 2,589
605807 아... 아까운 인재가... 8 .... 2016/10/12 2,441
605806 혹시 중국 레고 레핀이라고 아는분 계신가요? 3 하늘꽃 2016/10/12 2,820
605805 010-3231-3345 서울지방법원 피싱? 3 미미 2016/10/12 878
605804 아주 옛날에 외모 관련해서 본 기억에 남는 댓글이 있어요 3 가갸겨 2016/10/12 1,993
605803 게이들 대다수는 여성스러운게 맞습니다. 3 ㅇㅇ 2016/10/12 3,031
605802 제눈이 막눈인지... 공항가는길에서 애니아빠요. 7 .. 2016/10/12 3,279
605801 이준기에 버금가는 할리우드 배우 좀 알려주세요 5 왕소 2016/10/12 975
605800 침대없애고 라텍스 사려고하는데 추천해주세요! 4 침대없애~~.. 2016/10/12 1,832
605799 쇼핑 참는 방법 알려주세요 7 중독 2016/10/12 1,867
605798 문재인, "사드 잠정 중단 촉구" 선명성 부각.. 10 외교력중요 2016/10/12 547
605797 우리나라도 저탄수 로우캅식빵 있을까요? 3 ,, 2016/10/12 851
605796 가을을 타는건지... 2 가을 2016/10/12 464
605795 보보경심 ost..이상하지 않나요? 5 마키에 2016/10/12 1,218
605794 여러체형이 있네요. 1 허걱 2016/10/12 558
605793 가스배관??청소 .... 2016/10/12 303
605792 된장을 작은통에 덜어서 냉장보관했는데 바닥이 물이 생기네요 1 요엘리 2016/10/12 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