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위사람들한테서 이유없이 답답

ㅇㅇ 조회수 : 2,162
작성일 : 2016-09-28 10:51:29

한느낌 받을때 없으신가요


전 뭘좀 해보려거 주위에 조언을 구하면

무슨 유학이나 밋디릿 시험이나

석박 , 또는 준고시등등

다들 하는 말이 늘 부정적..

그거 해서 별볼일 없다더라

그거 전망없다더라..


근데 주위사람들 중에 다들 도전하며

사는 사람들이 아니긴하네요

다들 적당히 사는 사람들이지..


근데 희한하게 다른 무슨 전산회계나

캐드를 배워볼까 물어보면

그거 아주 유용하다고..


이게 문득

제주위 사람들이 정말 수준이 낮은건지

다들 고만고만 할만한 일들만 하고 만족하며

사는 사람이라 그런건지


숨이 차게 자신의 한계에 도전해서

뭔가 이뤄보고 싶고 배워보고 싶어도

부정적인 소리만 들리니...


참고로 전 걍 인서울 끝자락 대학나오긴했지만

학교가 안유명해서 만나는 사람들이

도전을 안하고 살고 눈높이가 낮은건지


문득문득

왜 좋은 그룹에 속하라고 하는지 이해가 될때도 있어요

어디든 좋은 사람 안좋은 살마 다 섞여있지만

만나는 사람은 중요한거 같고


독수리새끼가 병아리들 사이에 끼여살면서

창공에 나는 독수리를 부러워하면

주위에 병아리들이 니주제에 무슨...

결국 독수리도 자신을 평생 병아리로 알고

그냥 그렇게 살다 죽는게

인생인거 같네요..

IP : 58.123.xxx.86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28 10:55 AM (175.121.xxx.16) - 삭제된댓글

    평소에 님의 생활태도를 돌아보세요. 한번.
    주위 사람이 한결같이 그렇게 말하는건 단순히 그들이 나태하고
    안이한 삶에 길들여져서 만은 아니예요.

  • 2. ,,
    '16.9.28 10:59 AM (70.187.xxx.7)

    과연 주위 사람들에게 지지를 받아야만 성공이 가능할까요?
    본인이 그런 주위의 부정적인 반응에 너무 민감한 것이 아닌가도 돌아봐야 할 듯 해요.
    요즘처럼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우물안에 갖혀 불만을 토로하는 것이니까요.
    내 주위 사람을 바꾸려면 내가 세상을 개척해서 찾아 나서야죠.

  • 3. ..
    '16.9.28 11:03 AM (210.217.xxx.139) - 삭제된댓글

    하버드, 예일대 학생의 25~30%가 유대인이죠.
    노벨상의 25%가 유대인이구요.
    유대인들의 특징은 도전하는 삶입니다.
    또 특징은 주변에 도전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이 천지라는 겁니다.
    도전을 부추기는 환경에 놓여 서로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는 거죠.
    도전하지 않는 그룹에 둘러싸일 수록 실패가 적고 성공하기 쉬운 안정적이고 목표수준이 낮은 일을
    권유받죠.
    어찌보면 똑똑한 선택입니다. 대체적으로 익숙한 선택이 똑똑한 선택일 확률이 높으느까요.

    그런데, 사람은 도전하는 삶을 살 때 행복에 근접한 삶을 살죠.
    도전을 속물적인 도전과 자기충실한 도전으로 구분하고 싶네요.
    남에게 과시하고 싶고, 자랑하거나 나중에 자긍심, 자만심을 가질만한 도전은
    즉 성공을 위한 도전이라면 그것은 도전하지 않는 사람들의 권유와 다를 바 없다고 보고요.
    자기충실한 도전.. 즉 그 일을 하고 있어 행복하고, 그 결과가 가져오는 성공에서도
    성공의 단맛 보다는 성공한 곳에서 하고 있는 그 일 자체 때문에 행복한...
    그런 도전이라면 도전을 응원하고 싶네요.

  • 4. ..
    '16.9.28 11:03 AM (69.10.xxx.28) - 삭제된댓글

    근데 그거 질투나서 일부러 그러는 걸수도 있어요.

    남 잘되는건 못보는 심보랄까.

    괜히 쟤가 크게 성공하면 어쩌지 이런 심보도 있구요.

    차라리 '그거 해서 별볼일 없다더라' 이런식으로 김 빼는 사람은 그래도 양반이에요.

    너 절대 실패해. 너 절대 못해 이런식으로 김빼는 악질들도 많아요.

    남이 하는 웅대한 도전을 비웃으면서 언능 실패해서 아무것도 도전하지 않은 자기하고 같아지길 바라는

    찌질한 인간들이 너무 많아요.

    그리고 인서울 중하위권 대학생들 특유의 패배적 분위기 저도 알아요.

    그런애들 멀리하세요

  • 5. ..
    '16.9.28 11:05 AM (210.217.xxx.139) - 삭제된댓글

    하버드, 예일대 학생의 25~30%가 유대인이죠.
    노벨상의 25%가 유대인이구요.
    유대인들의 특징은 도전하는 삶입니다.
    또 특징은 주변에 도전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이 천지라는 겁니다.
    도전을 부추기는 환경에 놓여 서로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는 거죠.
    도전하지 않는 그룹에 둘러싸일 수록 실패가 적고 성공하기 쉬운 안정적이고 목표수준이 낮은 일을
    권유받죠.
    어찌보면 똑똑한 선택입니다. 대체적으로 익숙한 선택이 똑똑한 선택일 확률이 높으느까요.
    베스트셀러가 보기 힘들게 형편없기가 힘들죠.

    그런데, 사람은 도전하는 삶을 살 때 행복에 근접한 삶을 살죠.
    도전을 속물적인 도전과 자기충실한 도전으로 구분하고 싶네요.
    남에게 과시하고 싶고, 자랑하거나 나중에 자긍심, 자만심을 가질만한 도전은
    즉 성공을 위한 도전이라면 그것은 도전하지 않는 사람들의 권유와 다를 바 없다고 보고요.
    자기충실한 도전.. 즉 그 일을 하고 있어 행복하고, 그 결과가 가져오는 성공에서도
    성공의 단맛 보다는 성공한 곳에서 하고 있는 그 일 자체 때문에 행복한...
    그런 도전이라면 도전을 응원하고 싶네요.

  • 6. ..
    '16.9.28 11:08 AM (210.217.xxx.139) - 삭제된댓글

    하버드, 예일대 학생의 25~30%가 유대인이죠.
    노벨상의 25%가 유대인이구요.
    유대인들의 특징은 도전하는 삶입니다.
    또 특징은 주변에 도전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이 천지라는 겁니다.
    도전을 부추기는 환경에 놓여 서로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는 거죠.
    도전하지 않는 그룹에 둘러싸일 수록 실패가 적고 성공하기 쉬운 안정적이고 목표수준이 낮은 일을
    권유받죠.
    어찌보면 똑똑한 선택입니다. 대체적으로 익숙한 선택이 똑똑한 선택일 확률이 높으느까요.
    베스트셀러가 보기 힘들게 형편없기가 힘들죠.

    그런데, 사람은 도전하는 삶을 살 때 행복에 근접한 삶을 살죠.
    도전을 속물적인 도전과 자기충실한 도전으로 구분하고 싶네요.
    남에게 과시하고 싶고, 자랑하거나 나중에 자긍심, 자만심을 갖기 위한 도전은
    즉 성공을 위한 도전이라면 그것은 도전하지 않는 사람들의 작은 성공과 다를 바 없다고 보고요.
    자기충실한 도전.. 즉 그 일을 하고 있어 행복하고, 그 결과가 가져오는 성공에서도
    성공의 단맛 보다는 성공한 곳에서 하고 있는 그 일 자체 때문에 행복한...
    그런 도전이라면 도전을 응원하고 싶네요. 이런 도전에 실패의 개념도 없기 때문에, 도전을 피할 이유가 없죠.

  • 7. ..
    '16.9.28 11:08 AM (210.217.xxx.139) - 삭제된댓글

    하버드, 예일대 학생의 25~30%가 유대인이죠.
    노벨상의 25%가 유대인이구요.
    유대인들의 특징은 도전하는 삶입니다.
    또 특징은 주변에 도전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이 천지라는 겁니다.
    도전을 부추기는 환경에 놓여 서로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는 거죠.
    도전하지 않는 그룹에 둘러싸일 수록 실패가 적고 성공하기 쉬운 안정적이고 목표수준이 낮은 일을
    권유받죠.
    어찌보면 똑똑한 선택입니다. 대체적으로 익숙한 선택이 똑똑한 선택일 확률이 높으느까요.
    베스트셀러가 보기 힘들게 형편없기가 힘들죠.

    그런데, 사람은 도전하는 삶을 살 때 행복에 근접한 삶을 살죠.
    도전을 속물적인 도전과 자기충실한 도전으로 구분하고 싶네요.
    남에게 과시하고 싶고, 자랑하거나 나중에 자긍심, 자만심을 갖기 위한 도전은
    즉 성공을 위한 도전이라면 그것은 도전하지 않는 사람들의 작은 성공과 다를 바 없다고 보고요.
    자기충실한 도전.. 즉 그 일을 하고 있어 행복하고, 그 결과가 가져오는 성공에서도
    성공의 단맛 보다는 성공한 곳에서 하고 있는 그 일 자체 때문에 행복한...
    그런 도전이라면 도전을 응원하고 싶네요. 이런 도전에는 실패의 개념도 없기 때문에, 도전을 피할 이유가 없죠.

  • 8. ..
    '16.9.28 11:10 AM (210.217.xxx.139) - 삭제된댓글

    하버드, 예일대 학생의 25~30%가 유대인이죠.
    노벨상의 25%가 유대인이구요.
    유대인들의 특징은 도전하는 삶입니다.
    또 특징은 주변에 도전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이 천지라는 겁니다.
    도전을 부추기는 환경에 놓여 서로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는 거죠.
    도전하지 않는 그룹에 둘러싸일 수록 실패가 적고 성공하기 쉬운 안정적이고 목표수준이 낮은 일을
    권유받죠.
    어찌보면 똑똑한 선택입니다. 대체적으로 익숙한 선택이 똑똑한 선택일 확률이 높으느까요.
    베스트셀러가 보기 힘들게 형편없기가 힘들죠.

    그런데, 사람은 도전하는 삶을 살 때 행복에 근접한 삶을 살죠.
    도전을 속물적인 도전과 자기충실한 도전으로 구분하고 싶네요.
    남에게 과시하고 싶고, 자랑하거나 나중에 자긍심, 자만심을 갖기 위한 도전은
    즉 성공을 위한 도전이라면 그것은 도전하지 않는 사람들의 작은 성공과 다를 바 없다고 보고요.
    자기충실한 도전.. 즉 그 일을 하고 있어 행복하고, 그 결과가 가져오는 성공에서도
    성공의 단맛 보다는 성공한 곳에서 하고 있는 그 일 자체 때문에 행복한...
    그런 도전이라면 도전을 응원하고 싶네요. 이런 도전에는 실패의 개념도 없기 때문에, 도전을 피할 이유가 없죠.
    우리 나라가 결과 위주이고 단기적 성과 위주라 학생이고 직장인이고 도전적 자세를 유지하기 힘들다는 것은 이해해요. 그러나 나라 안에 살고 있는 국민 개인은 도전적 자세를 유지하려고 노력해야겠죠.

  • 9. 두가지 케이스
    '16.9.28 11:11 AM (218.236.xxx.90) - 삭제된댓글

    아는만큼 보인다고 주변인들이 우물안 개구리라 뭘 몰라서 그럴 수도 있구요,
    님이 그럴만한 능력이 못된다고 생각해서 님의 수준에 맞는 걸 추천해주는걸 수도 있구요.

  • 10.
    '16.9.28 11:17 AM (211.47.xxx.173)

    님같은 생각 많은 사람들이 해요
    근데 제가 본 그들의 공통점은 그렇게 자기 주변사람들 뒷다마하고 수준 안맞다 노래부르면서
    정작 그 집단에서 벗어나 더 위로 올라가기 위한 노력은 안한다는 거에요
    제 3자의 입장에서 봤을 땐 같은 수준인데 자기자신은 다르다고 생각한달까요
    진정으로 더 나은 삶을 살고 싶고 더 나은 사람들을 곁에 두고 싶으면 일다 뭐든해서 위로 올라가세요

  • 11. ...
    '16.9.28 11:30 AM (1.229.xxx.193)

    조언을 구하려면
    차라리 인터넷이 나을듯
    적어도 그쪽에 관련해서 지식이 많거나 그쪽분야에 도전해보았거나
    일하고 있는사람들 아니고는
    조언하기힘든 부분아닐까요??
    그냥 주변인들은 본인들 생각말하는거구요(수다)

    지인이 한정되어있다면
    인터넷이용하시길~

  • 12. 님이
    '16.9.28 11:43 AM (116.122.xxx.246)

    잘될까봐 그러는게 맞을거예요 그런사람들 꽤 많던데요

  • 13. 자기반성
    '16.9.28 11:47 AM (121.151.xxx.26)

    늘 말로만 의논말고
    행동해보시고 결과를 보여주세요.
    그럼 헛소리들 안해요.

  • 14. ...
    '16.9.28 11:57 AM (222.234.xxx.177)

    제 친구중에 나이는 40다돼가는데 사회생활 제대로 해본적없고 뭐할거다 뭐할거다 말만하고
    도전하는 분야도 뜬구름 잡는식이어서 사회생활 해본 사람으로써 경력이있는것도 아니고
    신입을 받아주기도 힘들고 그래서 안된다고 말한적이 있네요
    질투요? 지 앞가림이나 잘했음 좋겠네요

  • 15. ...
    '16.9.28 12:02 PM (175.121.xxx.16) - 삭제된댓글

    근데 님은 글을 잘 쓰시는 것 같아요.
    그쪽으로 소질을 개발해 보세요.

  • 16. 진짜 독수리는요
    '16.9.28 12:03 PM (42.147.xxx.246)

    동물 농장------ 독수리가 들어 있는 새장에 수닭이 있는데 엄청 사나워서 독수리들이 이리저리 피합니다.
    그 독수리들은 어렸을 때 부상을 당하고 거기서 쭈욱 치료를 받고 있는데 아주 날기 힘든 독수리는 그냥 새 처럼 살아가고 있었어요.

    기운 팔팔한 수닭은 기세등등 , 모든 독수리들을 제압합니다.

    그러나

    어느 날 아침

    수닭은 깃털만 남기고 자취를 감췄어요.

    -------------------------------------------------

    독수리에게 잡혀먹혔지요.


    독수리는 어디를 가도 독수리입니다.

    병아리가 아니고 참새들 하고 살고 있어도 자기 자신을 압니다.

    자기 신세 한탄하는 독수리는 진짜 병아리 일겁니다.

    나는 내가 알아서 창공을 날지
    남의 말이 어쩌니 저쩌니
    관심 조차 갖지 않는 게 정말 독수리일 겁니다.

    배포 없는 독수리는 병아리로 사는 것도 괜찮을 거예요.

  • 17. ㅇㄹ
    '16.9.28 12:13 PM (125.149.xxx.80)

    수준낮다고 생각하면 안어울리는게 답이죠

    뭐하러 그런 수준낮은사람한테 수준높은얘기를 꺼내나요?

    말해봣자 입만아프지 뭔야기하는줄도 몰라요

    함정은 원글같은사람이 답답하다 어쩐다하면서 계속 어울리는거 연락하고만나는거

    수준낮은사람들은 아예 관계를 끊어내야죠

  • 18. 진짜 독수리는요
    '16.9.28 12:18 PM (42.147.xxx.246)

    사육사가 나는 연습을 시키고
    그러다가
    저 넓은 창공으로 날라가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어요.

    모든 것을 병아리에 묻는 버릇이 나쁜 겁니다.
    독수리에게 물으세요.
    돈이 들더라도요.

  • 19. 하면됨. 원래 그렇게 말함
    '16.9.28 12:26 PM (14.44.xxx.97) - 삭제된댓글

    원래 새로운걸 하는게 쉬운게 아님.
    걱정해 주는거임.
    님은 그 걱정 받고 힘내서. 님하고 싶은거 하면됨
    다들 그렇게 헤쳐나감

  • 20. ...
    '16.9.28 12:39 PM (175.121.xxx.16) - 삭제된댓글

    하면됨.
    님 말씀이 너무 멋져요..
    힘내요...원글님아.
    하면 된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6377 엘에이에 울려 퍼진 “박근혜를 구속하라” light7.. 2016/11/13 563
616376 마포구 용강동 쪽에 깐마늘 갈아주는 곳 있나요? 3 그만내려와 2016/11/13 1,008
616375 쇼생크탈출 2 ㅇㅇ 2016/11/13 735
616374 어제 기관사님 감동 30 경복궁역 2016/11/13 9,495
616373 아이들과 어르신들 역사교육에 너무 좋은 만화 추천합니다 6 ........ 2016/11/13 801
616372 11월 12일 jtbc 손석희 뉴스룸 4 개돼지도 .. 2016/11/13 2,242
616371 더불어민주당 좀 멋진 듯... 40 ... 2016/11/13 6,124
616370 자궁적출 수술받아야하는데 심란해요 7 ... 2016/11/13 3,884
616369 기사 _ 신해철의 변덕과 엄살이 보고 싶다 2 2016/11/13 1,217
616368 이거 보셨어요? 고래등에 탄 세월호...... ㅜㅜ 4 증강현실 2016/11/13 4,114
616367 어제 버스위에 올라간 사람 7 ..... 2016/11/13 4,933
616366 그네는 지발로 절대 하야 안하고 탄핵해야지 내려올듯 11 새눌 해체 2016/11/13 1,741
616365 낙지볶음에 콩나물 따로 곁들여 낼 때요.. 1 질문 드립니.. 2016/11/13 1,015
616364 광화문집회에서 촛불든 문재인, 그럼 1987년 6월항쟁때는(?).. 22 집배원 2016/11/13 5,227
616363 어제 최고는 김제동씨 였습니다. 12 아아 2016/11/13 13,989
616362 100만명 다녀간 광화문 ~ 8 감동 2016/11/13 3,862
616361 어두운 흑야속의 대한민국 민주주의, 새벽을 밝혀주세요! 헬싱키 .. 2 Helsin.. 2016/11/13 692
616360 근데 어제 왜 전화도 인터넷도 안 됐을까요(광화문) 13 ㅇㅇ 2016/11/13 4,815
616359 다음주엔 광화문에 사람 더 많겠다고 했더니 남편이 다음주엔 안나.. 7 .... 2016/11/13 5,447
616358 한일, 14일 도쿄서 군사정보협정 가서명..협정문 타결 눈앞 22 야당보세요!.. 2016/11/13 1,702
616357 박정희 최태민 친일동지 가능성 나오네요 5 파파이스 2016/11/13 2,039
616356 최순실 막 터졌을 때 대통령 탄핵해야 한다고 했다가 새누리당 프.. 18 zh 2016/11/13 3,711
616355 행정소송 준비하려는데 검찰이랑 경찰 사이 나쁜가요? ㅇㅇ 2016/11/13 467
616354 영국 메트로, 박근혜 퇴진 외치는 100만 시위 사진 보도 3 light7.. 2016/11/13 2,749
616353 통진당 해산도 최순실 관여 3 ㅇㅇㅇ 2016/11/13 1,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