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추석 차례, 지내지 말자

옳소! 조회수 : 5,290
작성일 : 2016-09-13 19:39:24
추석 차례 지내지 말자.
http://v.media.daum.net/v/20160913161903613?f=m
IP : 223.62.xxx.2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9.13 7:39 PM (223.62.xxx.2)

    http://v.media.daum.net/v/20160913161903613?f=m

  • 2. ...
    '16.9.13 7:55 PM (119.56.xxx.75)

    좋은 의견이네요...

  • 3. 그런데
    '16.9.13 7:59 PM (59.22.xxx.140)

    시집 눈치 보는 며느리들이 너무 많아서..
    게다가 지들이 나서서 지내겠다는 사람들도 많고..
    하고 싶은 사람만 하자구요.
    하기 싫다는 동서 찿는 무지한 여자 되지 말고..
    저도 명절 스트레스 없어 명절이 즐겁기만 하네요.

  • 4. 소피아
    '16.9.13 8:04 PM (175.223.xxx.210) - 삭제된댓글

    추석에 차례를 지내는 이유가 조상들에게 예를 갖추는거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살아 있는 자손도 힘들어 죽겠는데 돌아가신 조상을 위해 상다리 휘어지게 음식 차리는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위 내용 처럼 추석을 축제 처럼 쉬고 놀고 그랬으면 좋겠네요

  • 5. 이런건
    '16.9.13 8:12 PM (115.140.xxx.74)

    아들들이 발벗고 나서야 해결됩니다.

  • 6. 어느유교가
    '16.9.13 8:14 PM (119.194.xxx.100)

    며느리를 노예처럼 부리면서 조상에게 예를 갖추라고 가르칩니까? 우리가 지금형태의 제사는 물려주지 말아야 해요.

  • 7. 50대
    '16.9.13 8:18 PM (59.22.xxx.140)

    시모들아 좀 나서서 명절에 차례 좀 없애 버리세요.
    40대 며느리들도 제사 좀 가지고 오지 마시구요.
    그놈의 재산 탐이 나서 거절 못하고 들고 오는 것 보면 입에서 욕지거리 나오네요.

  • 8. 그래서
    '16.9.13 8:24 PM (58.239.xxx.134) - 삭제된댓글

    제사 법칙은 '원래' 이렇게 한다라며 지적질 하는 사람들이야 말로 뭘 모르는 집안인걸 증명하는 거죠.
    원래라는 건 없습니다, 본문에도 있듯이 가가례. 집안마다 다르거든요.
    그래서 남의 집 제사상에 감놔라 배 놔라 소리 하지말라고 하는 겁니다.

    지금 알고 있는 제사상차림은 박정희가 만든 가정의례준칙을 따른 거라고 합니다.
    박정희도 바꾼 제사형식을 현대인들이 못 바꿔서 박정희 그늘에서 여자들끼리 싸움하고 있는 거 아닐까 싶네요.

    방송에서도 모 문중 맏며느리가 보여준 차례상을 보니 떡과 차 정도 였습니다.
    제사와 차례가 다름에도 튀김을 하네, 전을 하네 마네......21세기인데요.흠.

  • 9. 우리
    '16.9.13 8:46 PM (61.72.xxx.128)

    시어머니는 차례 제사가
    신앙이라
    제가 없애겠습니다.
    남편아 도와줘ㅠㅠㅠ

  • 10. 50대
    '16.9.13 8:48 PM (121.186.xxx.202) - 삭제된댓글

    우리 시대에 없애야 할것 같아요
    아들한테 제사 차례 이런거 물려주지 않으려구요.

  • 11. 그럼
    '16.9.13 8:51 PM (61.72.xxx.128)

    비싼물가로 조율시이 사는개
    다 박정희 때문이군요.
    통치의 일환 ㅠㅠ

  • 12. 진짜
    '16.9.13 8:53 PM (223.62.xxx.4)

    며느리이자 딸님들아 좀 나서서
    친정 제사 좀 없애고 오세요

  • 13. dd
    '16.9.13 8:57 PM (112.153.xxx.102)

    인구의 절반이상이 여자 잖아요. 공감한다면 변화합시다. 정말 의미없는 허식입니다.

  • 14. 종부
    '16.9.13 8:59 PM (118.33.xxx.62) - 삭제된댓글

    명절 차례 제가 없앨거예요
    제나이 50 훌쩍넘었는데 시어른들 세상뜨시면 차례상 안차릴거예요
    그냥 송편도 먹고 떡국도 먹고 맛난거먹고 쉬면서 휴일로 보낼려구요
    며느리 사위 생기면 시간되는대로 얼굴보지 시누이 친정왔는데 며느리 친정에 보냈네 안보냈네 얘기 할것없이 명절이라고 특별히 다 모이자 그런것도 안할거구요
    요즘 명절아니면 식구들 얼굴 못보는 그런 시절 아니쟎아요

  • 15. 늙은 사람들에게
    '16.9.13 9:01 PM (116.126.xxx.157) - 삭제된댓글

    가장 두려운 거는 사람들에게서 자기의 존재가 잊혀지는 것이겠죠. 살아서든 죽어서든...

    젊은 며느리 시절에는 그리도 치를 떨다가 시부모가 되면 또 그 시부모들이 그랬듯 제사에 집착하죠. 죽어서도 자손들의 기억에서 지워지는게 두려운 거예요.

    지금 노인세대는 어쩔 수 없다 해도 이제부터라도 죽음에 대한 태도부터 바뀌어야 해요. 죽음을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고 잊혀지는 걸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해요.

    그래야 이 악습,폐습의 고리에서 벗어나게 돼요. 며느리 때와 시부모 때의 입장이 달라지는 이 지긋지긋한 모순에서 모두가 벗어나길...

  • 16. 바보
    '16.9.13 9:06 PM (118.33.xxx.62) - 삭제된댓글

    정말 공감되는 말씀이예요
    죽음에 대한 태도를 어떻게 갖느냐하는게 더 중요하죠
    제사나 장례등에 집착하는거보다요

  • 17.
    '16.9.13 9:06 PM (121.135.xxx.216)

    중노년 어머님들은 억울해서라도 며느리 시키고 싶으실듯.
    왜냐. 난 죽도록 했거든요. 니넨 왜 안해? 나 고생한 만큼 며느리도 시킬거야! 나도 받아먹을거야! 이런 오기...
    물론 며느리가 무시해버리면 방법없죠

  • 18. 종부
    '16.9.13 9:12 PM (118.33.xxx.62) - 삭제된댓글

    죽음이 두렵지 않은 사람이 어디있겠어요
    그렇지만 언젠가 다 죽음을 맞게 되고 우리는 사라질 존재라는것을 받아들이면
    오히려 의미없는 구속이나 형식을 깨고 더 자유롭고 본질에 충실한 시간들을 갖게 되겠죠
    명절때마다 혹은 제사 때문에 벌어지는, 되풀이되는 에너지 소비가 참 안타까워요

  • 19. 어떤 시대인데
    '16.9.13 9:19 PM (223.17.xxx.89)

    아직도 이런 풍습에 매여 사는지
    저도 이해가 안가요
    교회를 나가야하나 결국

  • 20. 이런건 제발
    '16.9.13 9:27 PM (124.54.xxx.150)

    남자들 많이 가는 사이트에 올려주세요 ~ 남편에게 문자 메세지로 보내고 싶네요 그나마 명절에 일시키는거ㅠ했더미 알아서 내일 전부치러간다하네요

  • 21. 동감!!!
    '16.9.13 9:31 PM (125.176.xxx.188)

    어느유교가
    '16.9.13 8:14 PM (119.194.xxx.100)
    며느리를 노예처럼 부리면서 조상에게 예를 갖추라고 가르칩니까? 우리가 지금형태의 제사는 물려주지 말아야 해요.
    222222222

  • 22. .......
    '16.9.13 9:37 PM (220.80.xxx.165)

    저는 시부모님이 안계시다보니 내맘대로 합니다.상에 올린 음식들 예전에는 바리바리사서 날랐지만 일을하다보니 시간도없고해서 생략많이했어요
    지금은 전도 사버리고 조금만해서 상차리고 치웁니다.
    어차피 나혼자 할일 미련하게 고생하지말고 걍 편하게합니다.
    자식에게는 이것도하지말라고할꺼에요.명절에 서로 편하게 얼굴보면되지 먹지도않는 음식하니라 고생할필요없어요

  • 23. 이제끝내야함
    '16.9.13 9:37 PM (223.33.xxx.77) - 삭제된댓글

    진짜 유교국가라쳐도
    그원조인 중국도 안차리는 차례상 제사상
    법으로없앴으면좋겠어요
    막말로
    죽어서까지 밥얻어먹어야됩니까?
    그럼 죽은후 몇년까지는먹고
    몇년후부턴 안먹나요
    진짜 다들 미친거같아요

  • 24. 명절때마다 외칩니다
    '16.9.13 9:43 PM (182.211.xxx.221)

    아침 열시에 티비에서 차례식 중계하면 됩니다.
    원하는 사람은 티비 틀고!상다리 부러지게 차려진 차례상 보며!대통령 따라 !티비보고 하면 됩니다

  • 25. 나는
    '16.9.13 9:46 PM (211.58.xxx.167)

    울엄마 울아빠 돌아가시면 꼭 제사 지낼거에요. 좋아하는 음식 차려놓고 기도하고 엄마아빠 생각할거에요.

  • 26. 흐미
    '16.9.13 10:01 PM (59.27.xxx.43) - 삭제된댓글

    이분이 이렇게 멋진 분이었어염????
    수요미식회 나오는 분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4872 촛불 ....처음 가는데 7 촛불 2016/12/31 817
634871 오늘 광화문에 혼자 나갈까 말까 고민중이에요. 14 .... 2016/12/31 1,430
634870 가정용 레이저 제모기 사용해보신분 계세요? 2 ㅇㅇㅇ 2016/12/31 1,891
634869 맛있는 피자치즈 추천좀 해주세요 2 ,,,, 2016/12/31 1,207
634868 식품공학과에 대해 알려주세요. 3 고민 2016/12/31 1,248
634867 이혼하는 부부와 이혼하지 않는 부부의 차이는 5 ㅇㅇ 2016/12/31 4,298
634866 치아 치료를 따로따로 해도 될까요 돈이 너무 많이 들것 같아서... 2 ... 2016/12/31 762
634865 국정충 꺼져) 이재명 신년인사 영상 8 ^^ 2016/12/31 423
634864 김지호가 예쁜단 생각 첨 들었어요 16 제목없음 2016/12/31 7,650
634863 남편이 29살아들한테 치킨이나 밥사주는걸 별로 안좋게생각합니다... 63 딸기 2016/12/31 14,529
634862 80-90년대 교보문고 기억하시나요?? 20 .... 2016/12/31 1,992
634861 늙은호박은 클 수록 영양가가 좋은건가요? 1 호박호박 2016/12/31 487
634860 7호선 장암행 열차ᆢ 새해 인사 9 마미 2016/12/31 1,128
634859 음식물 쓰레기 사용을 안하네요 양심없게 1 ,,,, 2016/12/31 775
634858 김경숙처럼 거짓말을 입에 침도 안바르고 2 어떤 사람이.. 2016/12/31 1,195
634857 11번가 고객센터 알바 어떤가요? 4 ,, 2016/12/31 1,864
634856 ( 경상도 ) 오늘 촛불집회 장소에요 1 아지매들 2016/12/31 688
634855 유산균 프로폴리스 오메가3함께 먹어도되나요? 아자아자 2016/12/31 2,946
634854 샤프론이 무슨 맛이예요? 6 새프론 2016/12/31 3,602
634853 쁘렝땅 패밀리세일 언제쯤 하나요? 2 5학년5반 2016/12/31 3,276
634852 파파이스에 손혜원의원님옷에 노란리본 새긴거같아요? 2 ㄱㄴ 2016/12/31 1,214
634851 부모님 아프시면 자식들 간에 의 상하고 그런 일이 많나요? 5 궁금 2016/12/31 1,357
634850 입원하는 친구에게 모스키노 2016/12/31 442
634849 저는 혼자가 참 편하네요 23 ㅇㅇ 2016/12/31 6,515
634848 촛불 많이들 가시나요,? 27 오늘 2016/12/31 1,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