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예체능보다 공부가 더 노력으로 극복안된대요

... 조회수 : 3,803
작성일 : 2016-09-13 14:33:12

그런데 이 '1만시간의 법칙'을 부정하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 아무리 노력해도 선천적인 재능을 따라잡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내용이다. 인터내셔널뉴욕타임스(INYT)에 따르면 미시간주립대 잭 햄브릭 교수팀이 노력과 선천적 재능의 관계를 조사한 88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술·교육 분야에서 노력한 시간이 실력 차이를 결정짓는 비율은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스포츠, 게임 분야에서 이 비율은 20~25%였다. 예술, 스포츠 분야보다 공부 분야에서 재능이 더 중요하다니 뜨악하긴 하다.

-----------------------

음악 스포츠 게임분야가 노력 20-25% 재능 75-80%

공부가 노력 4% 재능 96%


애들 한번이라도 가르쳐본 분들은 알죠.
하나 가르치면 열을 아는애가 있고 열을 가르쳐도 하나 알아듣는애가있고...

예체능은 다들 재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면서
공부는 재능없어도 노력하면 다된다고 생각하십니다.

저런 연구결과가 있는대도 끝까지 공부시키려고 하십니다.

오히려 예체능보다 공부가 더 노력으로 안된다는걸 아셨으면 합니다.

노력(집중력,끈기) 마져도 타고나는 겁니다. 그것마져 재능이에요.

IP : 39.7.xxx.169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알고있는 내용
    '16.9.13 2:34 PM (211.211.xxx.31)

    알고있는 내용인데 저번에 이런글 썼더니 몇몇분들이 난리를 치셔서.. 운동이야 그나마 노력하면 어느정도 따라가는데 공부는 안돼요

  • 2. 맞아요
    '16.9.13 2:39 PM (125.180.xxx.201) - 삭제된댓글

    과외알바라도 해 봤거나 애들 가르치는 일 해본 경험 있으신 분들은 다 공감할 것 같아요.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분야가 공부 맞아요.
    과제집착도라고 표현되는 욕심, 의지 같은 태도도 타고 나는 재능이라고 봅니다. 저는.

  • 3. 맞아요
    '16.9.13 2:39 PM (125.180.xxx.201)

    과외알바라도 해 봤거나 애들 가르치는 일 해본 경험 있으신 분들은 다 공감할 것 같아요.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분야가 공부 맞아요.
    과제집착력이라고 표현되는 욕심, 의지 같은 태도도 타고 나는 재능이라고 봅니다. 저는.

  • 4. 알고있는 내용
    '16.9.13 2:42 PM (211.211.xxx.31)

    저번에 이런글 올렸더니 머리가 안좋아서 이런글이나 쓴다고 하던데요ㅋㅋ 공부머리가 좋거나 혹은 노력을 안해보신분이겠지만

  • 5. ..
    '16.9.13 2:45 PM (211.224.xxx.29)

    서구 선진국들은 그래서 이미 머리가 안되는 애들은 공부보다는 직업교육쪽으로 길을 터주는쪽으로 하고 있잖아요.

  • 6. ..
    '16.9.13 2:48 PM (112.148.xxx.2) - 삭제된댓글

    이거 정말 맞는 말인데...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부분이 공부에요.

    레슬링이나 권투 같은 운동들은 경쟁별 체급이 나눠져 있습니다.
    즉, 비슷한 급끼리 붙어요.

    근데 정신적 활동 영역인 공부는 그런 바운더리가 제공되지 않아요.
    Kmg금상 받고 어무이 아버지 의사 변호사인 아이큐 160짜리랑
    과외 학원 아무리 돌려도 수능 3,4등급 나오는 평범한 애들이랑
    같은 날 한 시에 똑같은 내용으로 겨룹니다.

    현격한 격차가 나고요. 노력으로 메꿀 수 없는 영역이에요.
    그런데 유전설로 가버리면 사회가 활력을 잃어버리니...
    사회적 차원에서 여전히 노력을 강조하지요.

    아마 인정 안 하는 댓글들 많이 올라오겠지만
    그것도 이해합니다.

    "급"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보거나 경쟁해본 집단은 동세대 1%미만이라서요.
    겪어보지 않으면 몰라요.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그들처럼 될 순 없다는 살리에르의
    심정을 직접 체험해보지 않는다면요.

    집중력, 사고방식, 이해력, 응용력,암기력,통찰력. 모든 것이 넘사벽입니다.
    두뇌를 쓰는 알고리즘이 달라요.

  • 7. ..
    '16.9.13 2:53 PM (112.148.xxx.2) - 삭제된댓글

    이거 정말 맞는 말인데...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부분이 공부에요.

    레슬링이나 권투 같은 운동들은 경쟁별 체급이 나눠져 있습니다.
    즉, 비슷한 급끼리 붙어요.

    근데 정신적 활동 영역인 공부는 그런 바운더리가 제공되지 않아요.
    Kmo금상 받고 어무이 아버지 의사 변호사인 아이큐 160짜리랑
    과외 학원 아무리 돌려도 수능 3,4등급 나오는 평범한 애들이랑
    같은 날 한 시에 똑같은 내용으로 겨룹니다.

    현격한 격차가 나고요. 노력으로 메꿀 수 없는 영역이에요.
    그런데 유전설로 가버리면 사회가 활력을 잃어버리니...
    사회적 차원에서 여전히 노력을 강조하지요.

    아마 인정 안 하는 댓글들 많이 올라오겠지만
    그것도 이해합니다.

    "급"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보거나 경쟁해본 집단은 동세대 1%미만이라서요.
    겪어보지 않으면 몰라요.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그들처럼 될 순 없다는 살리에르의
    심정을 직접 체험해보지 않는다면요.

    집중력, 사고방식, 이해력, 응용력,암기력,통찰력. 모든 것이 넘사벽입니다.
    두뇌를 쓰는 알고리즘이 달라요.

  • 8. .......
    '16.9.13 2:56 PM (211.211.xxx.31)

    112.148님글에 완전 공감합니다..
    겪어보지 않았으니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거겠죠.
    수능같이 응용력, 창의력을 요하는 시험은 노력으로 안된다는걸요..

  • 9. .........
    '16.9.13 3:01 PM (211.211.xxx.31)

    그리고 전 노력을 믿질않아서요..
    사람은 잘하는걸 잘해요.. 못하는걸 노력해서 잘하게 된다?? 그게 가능한지..말도안돼는 소리죠.
    노력은 그냥 자신의 어느 능력을 한계치까지 올릴 수 있을 뿐이죠

  • 10. ...
    '16.9.13 3:05 PM (125.129.xxx.244) - 삭제된댓글

    흥미롭네요.
    저도 언젠가 이런 이야기 나눈 적 있어요. 왜 공부에 매달리는지 의견 수집(?) 차원에서.
    공부에 매달리는 건 사실 가성비(?) 때문 아니겠냐는 의견들이 있었는데, 그게 비교적 솔직한 답들 아닐까요?
    그나마 들어가는 비용이 낮고 그나마 상대적으로 뭔가 될 확률이 더 있어보인다는 평가.
    다른 건 그게 뭔지 찾기도 어렵고, 찾아도 들어가는 돈도 더 많고, 그래봤자 재능인 밖에 못될 것이라는 상상.

  • 11. 좋은 글
    '16.9.13 3:14 PM (116.39.xxx.236)

    좋은 글에 훌륭한 댓글들이 많아서 두고 두고 읽어 보렵니다.
    공부도 재능

  • 12. ㅎㅎ
    '16.9.13 3:26 PM (223.62.xxx.46)

    맞아요 학생들 가르치다 보면 이런 생각 들더라고요 반면 예체능은 죽어라 노력하면 어느 정도 커버가 되는 부분이 있고요.

  • 13. 00
    '16.9.13 5:22 PM (183.100.xxx.114)

    내 아이는 공부 머리가 있는데
    너무 놀아서 못해
    조금만 하면 잘 할 수 있는데
    착각해서 그러는 것 아닐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4632 왕짜증내는 아들..너무 힘듭니다 12 ㄴㄴ 2016/12/30 3,359
634631 새해엔 맥주 안먹기 하려구요. 5 2016/12/30 1,820
634630 요즘은 핸드폰 어떻게 구입하는게 좋은가요? 9 여울 2016/12/30 1,539
634629 새해 결심 4 ... 2016/12/30 630
634628 헌신적인 엄마가 아이를 망치는 거 같아요 51 ... 2016/12/30 19,553
634627 정시로 대학 보내기 참 억울하네요. 29 입시 2016/12/30 8,022
634626 살빼야 할까요? 7 160cm에.. 2016/12/30 1,852
634625 고2 여학생, 논술 질문요 5 강북 2016/12/30 864
634624 감사 인사 먼저 드리고 (꾸벅), 이번주 또 광화문으로 상경합니.. 6 시민혁명성공.. 2016/12/30 690
634623 정시 진학사등.... 3 고3맘 2016/12/30 1,280
634622 내일 시부모님이랑 광화문에서 저녁먹기로했어요 6 광화문 2016/12/30 1,700
634621 이상호기자가 칭찬한 최태민 타살의혹 잘 정리된 기사 아마 2016/12/30 1,505
634620 식습관이 좋지 않은데요. 9 2016/12/30 1,814
634619 내년에 간호조무사 공부하고픈데 딸까요? 15 40대중반 2016/12/30 3,598
634618 속보) 朴측 대통령 세월호 7시간 기억 잘 못해… 기억하려 노력.. 54 .... 2016/12/30 14,101
634617 계단은 힘든데 경사길은 덜힘든이유가 7 궁그미 2016/12/30 1,486
634616 코스트코 고기가 저렴한게 맞나요 8 ........ 2016/12/30 2,724
634615 머리 어깨까지오는데 허리까지 기를려면..파마하면서 기르는게 편하.. 2 소라빛 2016/12/30 864
634614 촛불의 역사와 함께 성장한 고3딸인데요.. 비전맘 2016/12/30 403
634613 헌재의 판단..어떻게 해석하세요? 1 ..... 2016/12/30 453
634612 자동차 보험 갱신 전화를 받았는데요.. 4 자동차 보험.. 2016/12/30 432
634611 장제원이 국민당 보러 같이 하재요. 11 ... 2016/12/30 2,326
634610 예비고등 겨울방학때 국어인강 뭐가 좋을까요? 2 내신국어 2016/12/30 1,344
634609 오리털덧신?양말 따뜻한가요? 5 추운발 2016/12/30 923
634608 입맛 없을때 최고로 간단한...ㅋ 3 두그릇 2016/12/30 3,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