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예체능보다 공부가 더 노력으로 극복안된대요

... 조회수 : 3,803
작성일 : 2016-09-13 14:33:12

그런데 이 '1만시간의 법칙'을 부정하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 아무리 노력해도 선천적인 재능을 따라잡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내용이다. 인터내셔널뉴욕타임스(INYT)에 따르면 미시간주립대 잭 햄브릭 교수팀이 노력과 선천적 재능의 관계를 조사한 88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술·교육 분야에서 노력한 시간이 실력 차이를 결정짓는 비율은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스포츠, 게임 분야에서 이 비율은 20~25%였다. 예술, 스포츠 분야보다 공부 분야에서 재능이 더 중요하다니 뜨악하긴 하다.

-----------------------

음악 스포츠 게임분야가 노력 20-25% 재능 75-80%

공부가 노력 4% 재능 96%


애들 한번이라도 가르쳐본 분들은 알죠.
하나 가르치면 열을 아는애가 있고 열을 가르쳐도 하나 알아듣는애가있고...

예체능은 다들 재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면서
공부는 재능없어도 노력하면 다된다고 생각하십니다.

저런 연구결과가 있는대도 끝까지 공부시키려고 하십니다.

오히려 예체능보다 공부가 더 노력으로 안된다는걸 아셨으면 합니다.

노력(집중력,끈기) 마져도 타고나는 겁니다. 그것마져 재능이에요.

IP : 39.7.xxx.169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알고있는 내용
    '16.9.13 2:34 PM (211.211.xxx.31)

    알고있는 내용인데 저번에 이런글 썼더니 몇몇분들이 난리를 치셔서.. 운동이야 그나마 노력하면 어느정도 따라가는데 공부는 안돼요

  • 2. 맞아요
    '16.9.13 2:39 PM (125.180.xxx.201) - 삭제된댓글

    과외알바라도 해 봤거나 애들 가르치는 일 해본 경험 있으신 분들은 다 공감할 것 같아요.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분야가 공부 맞아요.
    과제집착도라고 표현되는 욕심, 의지 같은 태도도 타고 나는 재능이라고 봅니다. 저는.

  • 3. 맞아요
    '16.9.13 2:39 PM (125.180.xxx.201)

    과외알바라도 해 봤거나 애들 가르치는 일 해본 경험 있으신 분들은 다 공감할 것 같아요.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분야가 공부 맞아요.
    과제집착력이라고 표현되는 욕심, 의지 같은 태도도 타고 나는 재능이라고 봅니다. 저는.

  • 4. 알고있는 내용
    '16.9.13 2:42 PM (211.211.xxx.31)

    저번에 이런글 올렸더니 머리가 안좋아서 이런글이나 쓴다고 하던데요ㅋㅋ 공부머리가 좋거나 혹은 노력을 안해보신분이겠지만

  • 5. ..
    '16.9.13 2:45 PM (211.224.xxx.29)

    서구 선진국들은 그래서 이미 머리가 안되는 애들은 공부보다는 직업교육쪽으로 길을 터주는쪽으로 하고 있잖아요.

  • 6. ..
    '16.9.13 2:48 PM (112.148.xxx.2) - 삭제된댓글

    이거 정말 맞는 말인데...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부분이 공부에요.

    레슬링이나 권투 같은 운동들은 경쟁별 체급이 나눠져 있습니다.
    즉, 비슷한 급끼리 붙어요.

    근데 정신적 활동 영역인 공부는 그런 바운더리가 제공되지 않아요.
    Kmg금상 받고 어무이 아버지 의사 변호사인 아이큐 160짜리랑
    과외 학원 아무리 돌려도 수능 3,4등급 나오는 평범한 애들이랑
    같은 날 한 시에 똑같은 내용으로 겨룹니다.

    현격한 격차가 나고요. 노력으로 메꿀 수 없는 영역이에요.
    그런데 유전설로 가버리면 사회가 활력을 잃어버리니...
    사회적 차원에서 여전히 노력을 강조하지요.

    아마 인정 안 하는 댓글들 많이 올라오겠지만
    그것도 이해합니다.

    "급"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보거나 경쟁해본 집단은 동세대 1%미만이라서요.
    겪어보지 않으면 몰라요.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그들처럼 될 순 없다는 살리에르의
    심정을 직접 체험해보지 않는다면요.

    집중력, 사고방식, 이해력, 응용력,암기력,통찰력. 모든 것이 넘사벽입니다.
    두뇌를 쓰는 알고리즘이 달라요.

  • 7. ..
    '16.9.13 2:53 PM (112.148.xxx.2) - 삭제된댓글

    이거 정말 맞는 말인데...
    가장 재능이 필요한 부분이 공부에요.

    레슬링이나 권투 같은 운동들은 경쟁별 체급이 나눠져 있습니다.
    즉, 비슷한 급끼리 붙어요.

    근데 정신적 활동 영역인 공부는 그런 바운더리가 제공되지 않아요.
    Kmo금상 받고 어무이 아버지 의사 변호사인 아이큐 160짜리랑
    과외 학원 아무리 돌려도 수능 3,4등급 나오는 평범한 애들이랑
    같은 날 한 시에 똑같은 내용으로 겨룹니다.

    현격한 격차가 나고요. 노력으로 메꿀 수 없는 영역이에요.
    그런데 유전설로 가버리면 사회가 활력을 잃어버리니...
    사회적 차원에서 여전히 노력을 강조하지요.

    아마 인정 안 하는 댓글들 많이 올라오겠지만
    그것도 이해합니다.

    "급"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보거나 경쟁해본 집단은 동세대 1%미만이라서요.
    겪어보지 않으면 몰라요.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그들처럼 될 순 없다는 살리에르의
    심정을 직접 체험해보지 않는다면요.

    집중력, 사고방식, 이해력, 응용력,암기력,통찰력. 모든 것이 넘사벽입니다.
    두뇌를 쓰는 알고리즘이 달라요.

  • 8. .......
    '16.9.13 2:56 PM (211.211.xxx.31)

    112.148님글에 완전 공감합니다..
    겪어보지 않았으니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거겠죠.
    수능같이 응용력, 창의력을 요하는 시험은 노력으로 안된다는걸요..

  • 9. .........
    '16.9.13 3:01 PM (211.211.xxx.31)

    그리고 전 노력을 믿질않아서요..
    사람은 잘하는걸 잘해요.. 못하는걸 노력해서 잘하게 된다?? 그게 가능한지..말도안돼는 소리죠.
    노력은 그냥 자신의 어느 능력을 한계치까지 올릴 수 있을 뿐이죠

  • 10. ...
    '16.9.13 3:05 PM (125.129.xxx.244) - 삭제된댓글

    흥미롭네요.
    저도 언젠가 이런 이야기 나눈 적 있어요. 왜 공부에 매달리는지 의견 수집(?) 차원에서.
    공부에 매달리는 건 사실 가성비(?) 때문 아니겠냐는 의견들이 있었는데, 그게 비교적 솔직한 답들 아닐까요?
    그나마 들어가는 비용이 낮고 그나마 상대적으로 뭔가 될 확률이 더 있어보인다는 평가.
    다른 건 그게 뭔지 찾기도 어렵고, 찾아도 들어가는 돈도 더 많고, 그래봤자 재능인 밖에 못될 것이라는 상상.

  • 11. 좋은 글
    '16.9.13 3:14 PM (116.39.xxx.236)

    좋은 글에 훌륭한 댓글들이 많아서 두고 두고 읽어 보렵니다.
    공부도 재능

  • 12. ㅎㅎ
    '16.9.13 3:26 PM (223.62.xxx.46)

    맞아요 학생들 가르치다 보면 이런 생각 들더라고요 반면 예체능은 죽어라 노력하면 어느 정도 커버가 되는 부분이 있고요.

  • 13. 00
    '16.9.13 5:22 PM (183.100.xxx.114)

    내 아이는 공부 머리가 있는데
    너무 놀아서 못해
    조금만 하면 잘 할 수 있는데
    착각해서 그러는 것 아닐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7751 양재 코스트코에 올리브유가 없어요 6 올리브 2017/01/08 2,032
637750 그알 시청률 폭발...14.6% 2 ... 2017/01/08 3,014
637749 유치는 신경치료후 크라운안해도 될까요? 2 ㅇ ㅇ 2017/01/08 2,437
637748 경찰공무원 시험 후기 보셨어요? 8 ㅇㅇ 2017/01/08 6,069
637747 1월 14일 전국구벙커 포트럭 7 가브리엘라 2017/01/08 559
637746 금달걀이라지만, 8 zz 2017/01/08 2,538
637745 스타필드 오늘 사람많겟죠.. 4 2017/01/08 1,224
637744 [단독]국정원, '블랙리스트' 예산 삭감에 직접 개입 3 사라져라 2017/01/08 606
637743 김기춘 진두지휘한 '유학생 간첩 조작 사건', 41년만에 무죄 3 김기춘은악ㅁ.. 2017/01/08 898
637742 메세나폴리스같은 주복에 가스건조기 설치되나요? 1 2017/01/08 875
637741 결혼 후 20년만에 세숫수건 사야해요. 추천 부탁합니다 18 드디어 2017/01/08 4,457
637740 그알에서 경찰 공무원 시험도 지금 부정이 있음을 시사하는거지요?.. 6 공무원시험 2017/01/08 1,616
637739 시댁 호칭 문제 8 흠흠 2017/01/08 1,894
637738 압력솥에 밥한후 그냥 솥에 담긴채 밥그릇에 데워드세요? 8 ... 2017/01/08 1,981
637737 남편 설거지 흉좀 볼께요 9 sara 2017/01/08 1,592
637736 GM다이어트 해보신 분 계시나요 2 ㅇㅇ 2017/01/08 1,145
637735 셀프 인테리어 하신 분 계신가요, 아니면 관계업 종사자 분 4 도움좀 2017/01/08 1,185
637734 박근혜기자회견영상에서 4 .. 2017/01/08 1,622
637733 연애고수님!!! 오늘 픽업해준다던 남친이 집안일로 미안하다고.... 42 2017/01/08 7,574
637732 아. 정원스님..ㅜㅜ 5 ㅡㅡ 2017/01/08 2,028
637731 케이스위스 야상 다운 가벼운가요? .. 2017/01/08 349
637730 분당에서 월 실수령액 800-833 버는 삶은 어떤지요? 42 ... 2017/01/08 21,988
637729 이번 대선투표 반드시 수작업 해야합니다 10 2017/01/08 620
637728 철종12년에 첫사랑을 만났다고 6 도깨비 2017/01/08 6,462
637727 자기 집에서 먹는 것 싫다면서 남의 집 가는 거 어때요? 1 애매한 2017/01/08 1,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