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고층보다 저층이 지진에서 안전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수룡 조회수 : 7,056
작성일 : 2016-09-13 12:35:33

어쩔 수 없이 아파트에 살아야 하잖아요?

어머니께 아파트 1층집을 사드렸거든요.

IP : 222.112.xxx.131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존심
    '16.9.13 12:36 PM (14.37.xxx.183)

    더 안전해 보입니다...
    일단 대피시간도 짧고...

  • 2. 당연
    '16.9.13 12:37 PM (223.62.xxx.110)

    당연하죠
    여차하면 뛰쳐나가야하는데요
    간혹 글중에는 1층부터 무너진다고 하는데
    그게 계획적인 폭파가 아닌담에야 그렇게 일순간에 폭삭 주저앉지 않아요
    그리고 높은층은 계단으로 몰려서 내려오다가들 사고날 위험도 크구요

  • 3.
    '16.9.13 12:38 PM (110.70.xxx.105)

    고층보다 낫긴한데 일단 빨리 나와야할듯요
    무너지면 일층이 제일 밑에 깔리니까요

  • 4.
    '16.9.13 12:40 PM (219.248.xxx.242)

    초고층 사는데 어제 내려오는데 층마다 다 걸리더라구요. 대피하러 나가봐야 엘베 열리고 닫히다가 끝나겠구나 싶더라구요.

  • 5. ...
    '16.9.13 12:42 PM (1.231.xxx.229)

    그런데 그 정도 지진이면 밖으로 나와도 넓은 공터가 아니라면 위험할 듯 해요. 주변이 전부 아파트면 무너지는 건물도 위험하니...

  • 6. 아이고윗님
    '16.9.13 12:42 PM (1.225.xxx.71)

    지진 나면 엘리베이터 나면 클나요.
    전기 고장나면 그냥 꼼짝없이 갖히는 거예요
    당장 어제일 보면 카톡 통신 두절되고 그랬쟎아요.

  • 7. ㅇㅇ
    '16.9.13 12:46 PM (219.248.xxx.242)

    오십층 이상이라 어짜피 걸어내려오면 한 이십층 쯤에서 탈진하다 죽을거 같아서 엘베 탔어요 ㅎㅎ 어쨌든 결론은 초고층은 재난시 방법이 없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 8. 헉 오십층 이상...
    '16.9.13 12:50 PM (1.225.xxx.71)

    진짜 초고층은 대책이 없겠어요.
    사람들이 한꺼번에 대피하느라 엘리베이터고 계단이고
    북새통이 되겠네요.
    지진 두어 번 더 나면
    우리나라 아파트도 저층선호로 바뀌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 9. ㅎㅎ
    '16.9.13 12:52 PM (218.155.xxx.45)

    제긴 아는집 1층인데 언제적부터 엄청 싸게 내놨는데도
    매매가 안돼 죽을라고 하는데
    매물 거머쥐고 있으라해야겠어요ㅎㅎ
    살다보니 일층이 또 인기있겠는데요.

  • 10. 존심
    '16.9.13 12:56 PM (14.37.xxx.183)

    사실 아파트가 무너질 정도의 지진이 나면
    일층이라면
    저 같으면 가장 작은방으로 대피할 것 같아요...

  • 11. ㅁㅁ
    '16.9.13 12:59 PM (175.193.xxx.104) - 삭제된댓글

    ㅠㅠ엘베타고 대피했단분 지못미

    절대 그걸 타면 안되는건데요 ㅠㅠ
    어제 그 정도에 카톡까지 먹통되는거보고
    일나면 답도 없겠다절감되더라구요

  • 12. ㅇㅇ
    '16.9.13 1:08 PM (223.62.xxx.91)

    다른 궁금증인데..
    옛날 일반적인 구조의 아파트에는 완강기?같은게 있어서 탈출 가능했잖아요.
    그런데 초고층 아파트는 비상구말곤 방법이 없는건가요?

  • 13. ㅇㅇ
    '16.9.13 1:12 PM (58.140.xxx.119)

    지진 나서 어제 엘리베이터고장나서 대피도 못하고 집에 갖혀있었다는분들 많던데요.
    지진 나면 엘리베이터 작동 안되는일 비일비재하고 작동돼도 타면 안돼죠.

  • 14. 일층
    '16.9.13 1:18 PM (1.237.xxx.219)

    씽크홀이면 모를까 1층이 처음부터 그렇게 폭삭 주저 앉는 경우는 드물던데요.
    아파트 지을 때도 보면 1층이 하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다른 층보다 더 자재를 써서 튼튼히 짓더라구요.
    우선 지진이 일어나면 도망가야하는 측면에서는 1층이 가장 유리하겠죠.
    어제처럼 본진 오기 전에 예비 지진 온 경우 도망치는 시간확보에서도 가장 유리하구요.
    혹시라도 강진 후에 정전 사태가 오게 되도 1층은 엘리베이터 이용 안해도 되니까 괜찮겠죠
    고층 같은 경우는 불편할테고

  • 15. ...
    '16.9.13 1:31 PM (49.142.xxx.88)

    일단 건물이 잘 무너지지는 않을테고, 엘레베이터를 타면 안되니까, 고층이면 엘레베이터 못타고 생고생하죠....

  • 16. ..
    '16.9.13 1:38 PM (113.157.xxx.130)

    많은 분들이 간과하시는 부분이 있는데, 사실 아파트(최근 지어진 것이면 더욱)들은 어느정도
    지진대비 설계가 되어있어서 1층부분이 폭싹 주저앉는다거나 그런 큰 피해는 없어요.
    오히려 단독주택이나, 빌라, 연립, 오래된 아파트들이 폭싹 주저앉을 가능성이 더 큽니다.
    그렇다면 아파트에서 지진을 만났을때 중요한 것은 지진 이후의 생활입니다.
    지진 이후에는 수도공급이 끊기고 가스가 끊기기 때문에 수급차가 가까이에 오면 물을 뜨러
    가야합니다. 이 물을 들고 엘레베이터 없이 10층, 20층 올라간다고 생각해보세요.
    (전기 공급이 되어 엘레베이터가 움직여도 여진등의 문제로 계단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일본에서도 1~5층까지가 인기가 좋아요.

  • 17. 윗님
    '16.9.13 2:02 PM (180.68.xxx.71)

    최근 지어진 아파트 내진설계가 의무화인가요?
    그럼 언제지어진것부터 적용되었나요?

  • 18. ...
    '16.9.13 2:21 PM (1.231.xxx.229)

    2000년도 부터 의무화라고 기사에 나오네요.

  • 19. ........
    '16.9.13 2:33 PM (101.55.xxx.60)

    자다가 무너지면 저층이든 고층이든 다 꼼짝없이 당하겠지만
    이번같은 경우라면 무너지기 전에 대피할 수 있으니
    아무래도 저층이 유리하겠죠.
    게다가 연세가 있으시면 몇걸음 안 필요한 1층이 가장 안전할 듯요.
    건강을 위해서도 커다란 나무 키보다 높은 층은 피하는게 좋답니다.

  • 20. 지진은 2~3초에
    '16.9.13 9:14 PM (42.147.xxx.246)

    끝납니다.
    고베 지진은 왼쪽으로 오른 쪽으로 흔들린 다음 건물이 팍하고 쓰러지거나
    계속 흔들흔들 거리더라고요.
    후쿠시마 지진 때도 흔들리는데 걷지도 못하겠더라고요.
    아주 큰 지진은 층수에 관계가 없어 보이고요.---냉장고가 쓰러지고 장농 책꽂이가 쓰러지고...
    좀 작은 지진은 저층이 낫겠지만
    고베 지진 때 병원건물이 5층 이상은 되어 보이는데 3층이 아주 찌그러져버린 것을 봤네요.

    지진대비하여 잠을 잘 때 머리맡에 수건,비닐봉지, 슬리퍼 , 손전등 정도 놓고 주무세요.
    수건은 화재로인한 연기를 막기위하여
    비닐봉지는 산소를 공급
    슬리퍼는 형광등이나 집안의 파편들을 밟지 않도록하기 위해 ---발이 유리에 찔리면 도망도 못갑니다.그리고 운동화신거나 구두를 신을 시간도 없고요.
    손전등은 정전이 되어서 앞이 안보이기 때문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0056 점집에 갔었는데, 그 집에 들어간 후 부터 아팠었어요~~ㅠ 15 어제~~ 2016/09/25 10,455
600055 박근혜가 또 국회비난했네요. 8 국회비난 2016/09/25 1,434
600054 수시 등록금 7 수시 2016/09/25 1,688
600053 휴롬은쓸때마다욕나오네요ㅠ 9 2016/09/25 6,507
600052 집에서 혼자 공부하고 작업하는데 참 좋네요. 7 집순이 2016/09/25 2,744
600051 무릎수술 잘하는 대학병원 어딘가요 4 졍이80 2016/09/25 2,117
600050 저밑에 단점 지적하는 남자하니 생각나는 일화 5 2016/09/25 1,642
600049 드디어 이혼합니다 30 이혼 2016/09/25 19,223
600048 경제위기가 다가오는데요 6 제2의 2016/09/25 2,567
600047 9월 24일자 jtbc 뉴스룸 1 개돼지도 .. 2016/09/25 440
600046 오~~아로니아 16 hh 2016/09/25 6,860
600045 현관과 거실 사이의 문을 뭐라 하지요? 6 치매초기? 2016/09/25 2,022
600044 등려군의 첨밀밀의 뜻? 6 ........ 2016/09/25 5,536
600043 장인에게 땅팔아달라는 사위 30 ... 2016/09/25 5,945
600042 부천인데요 미세먼지 맞죠? 2 너무함 2016/09/25 1,111
600041 샐러드 ***로 냄비밥하면 잘 되나요? 7 고봉밥 2016/09/25 2,619
600040 신고리원전 부근에서도 가스냄새 1 무서워 2016/09/25 1,025
600039 그릇 셋트 잘 아시는 분께 여쭙니다 17 그릇 2016/09/25 3,231
600038 부동산 없이 직접 방 보러 갔을 때 복비는 어떻게 되나요 4 이사 2016/09/25 1,077
600037 혹시 트름 하는거 고쳐보신분 계세요? 4 트름 2016/09/25 1,476
600036 대전인데 새벽 5시쯤 깼는데 한창 누워있다보니 여진 오더라구요 3 2016/09/25 2,239
600035 멸치 통째로 육수 내는 분은 없나요 14 멸치 2016/09/25 4,957
600034 새누리가 밥달라고 필리밥스터 했다면서요? 14 코스푸레 2016/09/25 1,520
600033 어제 자는데 2 남편이 2016/09/25 812
600032 물건 곱게 쓰면 복 들어오나요? 17 ㅇㅇ 2016/09/25 3,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