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 지진 발생시 탁자 밑으로 숨으면 안됩니다.

지진 조회수 : 5,137
작성일 : 2016-09-13 05:45:18
○ 앵커
지금 방송을 보고 계신 분들한테 저희들은 충실히 비상상황에 어떻게 대피하는지 전해드리는 게 중요합니다. 지금 전문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기 때문에 SNS나 이런 걸 통해서 잘못된 정보들이 오갈 수 있거든요. 다시 한 번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알려져 있는 것처럼 일본에서의 지진처럼 밑으로 숨는 것이 우리나라에서는 능사가 아니라고요?

● 기자
우선은 우리나라와 일본 상황은 다릅니다. 일본은 워낙 지진이 많기 때문에 대다수의 정말 고층빌딩, 시멘트로 지어진, 콘크리트로 지어진 빌딩은 내진설계가 완벽하게 돼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내진설계가 안 돼 있는 건물들은 대부분 목조주택이 많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단단한 탁자 밑에 흔들림이, 진동이 감지되면 숨는 게 맞습니다. 그렇게 되면 아무리 목조주택이 무너진다고 하더라도 그 아래쪽에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상황이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내진설계가 완벽하게 돼 있지도 않고 대다수의 주택이 목조가 아닌 콘크리트 주택입니다.

따라서 탁자 밑으로 숨는다고 하면 정말로 강한 지진, 규모 5.8 이상의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건물이 무너진다고 하면 생명을 잃을 위험성이 더 큽니다.

따라서 진동이 감지되고 뭔가 이번에도 기상청에서 지진 경보 시스템을 작동을 했는데 정말 진도가 센 지진이 오기 전에 뭔가 이런 정보가 들어왔을 경우에는 빨리 집밖으로 대피하는 게 우선입니다.

○ 앵커
그리고 엘리베이터라든지 전자기기를 통한 이동수단은 절대로 타시면 안 됩니다. 그것들을 꼭 지키셔야 하고 머리를 보호하고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넓은 대지가 있는 곳으로 나가시는 게 좋고요. 주변에 구조물이 떨어져서 혹시라도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하시고 주변에 있는 건물들 없는 곳으로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유언비어들을 듣지 마시고 각 전문가들의 말을 듣고 신속하게 외부로 이동하시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것 꼭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지어진 건물들은 내진설계가 돼 있지만 규모 7 정도까지 버티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 기자
7까지는 어렵고요. 우리나라는 규모 6에서 최근에 아주 큰 건물 같은 경우에는 규모 6.5, 그리고 원전 같은 게 규모 7까지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그렇게 설계가 되고 있습니다.

IP : 71.84.xxx.6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무조건
    '16.9.13 5:45 AM (71.84.xxx.62)

    빨리 밖으로..

  • 2. 지진후
    '16.9.13 5:48 AM (75.166.xxx.198)

    파이프가 뒤틀리면서 가스가 새기시작하고 불켜둔 스토브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폭발에 엄청난 재난이 발생해요.
    건물이 무너지지않더라도 강도가 좀 더 센 지진이었다면 화재가 아마 젤 먼저 발새하는 큰 사고가 아닐까싶어요.

  • 3. 탁자밑은
    '16.9.13 5:58 AM (122.61.xxx.228)

    목조주택이 많은 일본이나 아주 예전 메뉴얼같아요.

    그냥 얼른 밖으로 대피하는게 답일거같네요, 귀중품 챙긴다고 그럴여유없이 무조건 밖으로....

  • 4. ufo
    '16.9.13 7:22 AM (203.244.xxx.34)

    가스벨브는 꼭 잠그시고...고베 지진때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로 사상자가 많았다고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9341 사람이 진국이란 걸 어떻게 알아볼까요 18 인생이란 2016/09/23 8,817
599340 남편이 18년 결혼생활동안 결혼반지를 1 dma 2016/09/22 3,387
599339 봉투에 사랑하는 우리 며느리 23 .. 2016/09/22 13,955
599338 가족간 부동산거래 (아빠명의 아파트 구매) 7 부동산 2016/09/22 2,322
599337 윤리가 무너지면 다 무너진 것 7 윤리 2016/09/22 1,648
599336 이니스프리 쓰시는 분들께 질문있어요 4 선블록 2016/09/22 1,679
599335 11살 남자아이가 어디로 사라진걸까요?.. 3 이해력딸림 2016/09/22 3,270
599334 수시 교사추천서 6 !! 2016/09/22 1,649
599333 요새 사는거 어떠신지. . 다들 괜찮으신지. .? 10 하루하루 살.. 2016/09/22 3,084
599332 냉장약품 아이스팩이 미지근해져 왔는데.. 택배사 책임이라고ㅠㅠ 3 맨드라미 2016/09/22 524
599331 제인 구달 박사가 트럼프를 침팬지에 비유했군요 12 ㅎㅎㅎ 2016/09/22 2,377
599330 소지섭 박해일 닮았나요? 3 .. 2016/09/22 954
599329 김포와 일산... 어느 지역이 더 낫다고 생각하세요? 8 이사 고민 2016/09/22 3,927
599328 전 왜 질투의화신 보는데 눈물이 나죠 7 정 인 2016/09/22 3,301
599327 출근하기 싫네요. 3 . . . 2016/09/22 735
599326 언니가 결혼했으면 좋겠는데... 3 ... 2016/09/22 1,712
599325 친정엄마가 시어머니보다 불편하네요. 19 행복하게 살.. 2016/09/22 7,442
599324 여행가서 올리브오일 철통에 든 것 사왔는데 어떻게 보관해야 할까.. 3 .. 2016/09/22 1,146
599323 꿈풀이 해주실 고수심들 계실런지요? 2 꿈히 2016/09/22 451
599322 아모레퍼시픽말고 아리따움 vip 쏠쏠한가요? 2 .... 2016/09/22 1,011
599321 사랑 재채기 가난 5 123 2016/09/22 3,580
599320 일반고 원서 쓸 때 1지망을 다른 구 학교쓰면 피해가 있나요? .. 2 예비고등 맘.. 2016/09/22 962
599319 전기료확인했어요 14 전기 2016/09/22 2,561
599318 질투의 화신에서 라면이 뜻하는게... 5 .... 2016/09/22 4,251
599317 치과 개원의들 3 질문글 2016/09/22 3,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