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진날때 대피요령 문의드려요

마리짱 조회수 : 1,327
작성일 : 2016-09-13 03:49:39
여긴 포항인데요
우리나라는 목재가 아니라서 책상밑은 위험하다는데 그러면 지진올때 바로 뛰어 나가야 하나요? 아니면 지진이 멈추고난뒤 바로 나가야 하나요?지금 여진이 계속 느껴져서 넘 무서워요 ㅠㅠ
IP : 112.157.xxx.9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9.13 3:52 AM (220.83.xxx.250)

    저도 다른 게시판에서 읽은건데요
    우리나라 건물은 콘크리트라 무너지면 안쪽에 공간 없다는게 목조건물과 다른점이라
    그냥 무조건 건물 밖으로 나오는게 최선이라고 하더라고요

  • 2. ㅇㅇ
    '16.9.13 3:54 AM (220.83.xxx.250)

    아 그리고 진동이 심해진다 싶으면 현관문을 조금열어 놓는게 우선순위고요
    안그럼 뒤틀린 문이 문틀에 갇혀서 못나간다더리거요

  • 3. 마리짱
    '16.9.13 3:57 AM (112.157.xxx.96)

    네 현관문은 열어놓았구요 조금이라도 흔들린다싶으면 바로 밖으로 나가야겠네요?ㅠㅠ 여긴 주택2층이라서 더 걱정되고 이시간까지 잠못자고 있어요 ㅠㅠ

  • 4. 지진 잦은 나라에서 산적 있어요.
    '16.9.13 4:21 AM (68.80.xxx.202)

    나가기전에 가스밸브를 꼭 잠그세요.
    가급적 밖으로 나가되 엘리베이터는 타지말고 랜턴을 준비하세요.
    높은 빌딩이나 나무근처는 가지말고 야외 공터로 나가세요.
    실내에 있을 경우엔 튼튼한 식탁이나 책상 밑에 머리를 보호하도록 수그리고 공간을 만든뒤 두터운 이불을 뒤집어 쓰세요.
    생수나 랜턴은 항상 소지하세요.
    지진후 물 웅덩이는 혹시모를 전기시설 파괴로 인한 감전우려가 있으므로 밟지마세요.
    운전중이라면 다리나 고가도로 터널 진입은 절대로 하지말고 만약 이미 진입중이라면 재빨리 벗어나도록 하셔야해요.
    제 경우엔 태풍은 예보가 되는데 지진은 예보가 안되서 더 두렵고 한번 지진을 겪은 후엔 그 후그 공포감이 점점 더 커지는 것 같아요.
    해안가에 사는 분들은 지진후 해일이 더 무서우므로 며칠은 주의하셔야해요.
    생각나는 건 대충 이 정도입니다.

  • 5. 지진으로
    '16.9.13 5:46 AM (75.166.xxx.198)

    가스가새고 불켜둔 스토브에서 불이나기 시작하고...이런것들이 지진뒤의 재난이에요.
    꼭 건물이 무너져서 깔리는것만이아닌.

  • 6. 지진으로
    '16.9.13 5:46 AM (75.166.xxx.198) - 삭제된댓글

    파이프가 뒤틀려서 가스가새고 불켜둔 스토브에서 불이나기 시작하고...이런것들이 지진뒤의 재난이에요.
    꼭 건물이 무너져서 깔리는것만이아닌.

  • 7. 현관문 열어 놓고
    '16.9.13 6:43 AM (210.183.xxx.241)

    모든 불 끄고 가스 잠그고
    머리에 방석같은 것을 쓰고
    빨리 나가서 학교 운동장처럼 넓은 곳으로 대피.
    엘리베이터 타는 것 안됨.
    진동이 멈춘 후에도 건물 붕괴가 우려되면 대피해야 하는 거죠.

    화재났을 때와 거의 비슷한데
    막상 진동이 심하면 어버버하다가 당할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4452 이게 반기문 때문인거 같아요. 3 뭔가 2016/12/29 1,322
634451 쌍꺼풀 수술 11 2016/12/29 2,621
634450 국민연금에 항의 하셨나요? 6 개헌반대 2016/12/29 2,348
634449 친한데 결혼식 초대를 못 받았어요 26 2016/12/29 15,873
634448 부산 소녀상 철거후. . 5 . . 2016/12/29 1,537
634447 행정자치부 가임기 여성 출산지도 논란 SNS 반응 6 ... 2016/12/29 1,419
634446 썰전 핸드폰으로 실시간 볼 수 있나요? 4 ..... 2016/12/29 1,114
634445 KBS 가요대축제 보는데 왜케 음향이... 2016/12/29 735
634444 팬티라인(바르톨린선)에 물혹 어떡하나요? 6 ... 2016/12/29 4,311
634443 원래 아기들 안 좋아하는데 초록우산 신생아들 보고 많이 울었어요.. 8 33 2016/12/29 1,679
634442 요리에서 간장은 진간장?국간장? 8 간장 2016/12/29 1,823
634441 얼굴크면 야구모자 안어울리나요? 9 딸기체리망고.. 2016/12/29 3,060
634440 김광석 홀로그램인가요??? 5 이게뭐죠? 2016/12/29 2,255
634439 이것이 자로 님의 세월x에 대한 진의입니다. 2 진의 2016/12/29 2,269
634438 오늘 썰전[청문회 스타 특집 2탄]..김성태위원장..김경진의원... 3 ㄷㄷㄷ 2016/12/29 2,136
634437 간호장교 너무 비난하지 말았으면 해요 68 간호장교 2016/12/29 15,671
634436 진짜 효과 본 아이크림 있으세요? 20 ^ ^ 2016/12/29 9,701
634435 청와대 "문건 추가 보도하면 공공기관 광고 올스톱&qu.. 샬랄라 2016/12/29 1,126
634434 세월엑스(SEWOLX) 보고 떠오르는 여러가지 생각들.. 1 아마 2016/12/29 869
634433 강아지 배변판 어떤게 좋을까요?? 7 ... 2016/12/29 972
634432 남편이랑 피임에 대한 의견 차이..걱정이네요. 10 의견대립 2016/12/29 3,781
634431 정치후원금 세액공제 받으려면 31일까지 입금하면 될까요? 2 == 2016/12/29 818
634430 아오!!! Kbs 가요대축제 꼬라지 진짜 31 ... 2016/12/29 16,742
634429 통대입시학원에서 3 2016/12/29 1,740
634428 푸른 바다의 전설 - 지금 1회 하는 거 맞나요? 2 드라마 2016/12/29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