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진날때 대피요령 문의드려요

마리짱 조회수 : 1,327
작성일 : 2016-09-13 03:49:39
여긴 포항인데요
우리나라는 목재가 아니라서 책상밑은 위험하다는데 그러면 지진올때 바로 뛰어 나가야 하나요? 아니면 지진이 멈추고난뒤 바로 나가야 하나요?지금 여진이 계속 느껴져서 넘 무서워요 ㅠㅠ
IP : 112.157.xxx.9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9.13 3:52 AM (220.83.xxx.250)

    저도 다른 게시판에서 읽은건데요
    우리나라 건물은 콘크리트라 무너지면 안쪽에 공간 없다는게 목조건물과 다른점이라
    그냥 무조건 건물 밖으로 나오는게 최선이라고 하더라고요

  • 2. ㅇㅇ
    '16.9.13 3:54 AM (220.83.xxx.250)

    아 그리고 진동이 심해진다 싶으면 현관문을 조금열어 놓는게 우선순위고요
    안그럼 뒤틀린 문이 문틀에 갇혀서 못나간다더리거요

  • 3. 마리짱
    '16.9.13 3:57 AM (112.157.xxx.96)

    네 현관문은 열어놓았구요 조금이라도 흔들린다싶으면 바로 밖으로 나가야겠네요?ㅠㅠ 여긴 주택2층이라서 더 걱정되고 이시간까지 잠못자고 있어요 ㅠㅠ

  • 4. 지진 잦은 나라에서 산적 있어요.
    '16.9.13 4:21 AM (68.80.xxx.202)

    나가기전에 가스밸브를 꼭 잠그세요.
    가급적 밖으로 나가되 엘리베이터는 타지말고 랜턴을 준비하세요.
    높은 빌딩이나 나무근처는 가지말고 야외 공터로 나가세요.
    실내에 있을 경우엔 튼튼한 식탁이나 책상 밑에 머리를 보호하도록 수그리고 공간을 만든뒤 두터운 이불을 뒤집어 쓰세요.
    생수나 랜턴은 항상 소지하세요.
    지진후 물 웅덩이는 혹시모를 전기시설 파괴로 인한 감전우려가 있으므로 밟지마세요.
    운전중이라면 다리나 고가도로 터널 진입은 절대로 하지말고 만약 이미 진입중이라면 재빨리 벗어나도록 하셔야해요.
    제 경우엔 태풍은 예보가 되는데 지진은 예보가 안되서 더 두렵고 한번 지진을 겪은 후엔 그 후그 공포감이 점점 더 커지는 것 같아요.
    해안가에 사는 분들은 지진후 해일이 더 무서우므로 며칠은 주의하셔야해요.
    생각나는 건 대충 이 정도입니다.

  • 5. 지진으로
    '16.9.13 5:46 AM (75.166.xxx.198)

    가스가새고 불켜둔 스토브에서 불이나기 시작하고...이런것들이 지진뒤의 재난이에요.
    꼭 건물이 무너져서 깔리는것만이아닌.

  • 6. 지진으로
    '16.9.13 5:46 AM (75.166.xxx.198) - 삭제된댓글

    파이프가 뒤틀려서 가스가새고 불켜둔 스토브에서 불이나기 시작하고...이런것들이 지진뒤의 재난이에요.
    꼭 건물이 무너져서 깔리는것만이아닌.

  • 7. 현관문 열어 놓고
    '16.9.13 6:43 AM (210.183.xxx.241)

    모든 불 끄고 가스 잠그고
    머리에 방석같은 것을 쓰고
    빨리 나가서 학교 운동장처럼 넓은 곳으로 대피.
    엘리베이터 타는 것 안됨.
    진동이 멈춘 후에도 건물 붕괴가 우려되면 대피해야 하는 거죠.

    화재났을 때와 거의 비슷한데
    막상 진동이 심하면 어버버하다가 당할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4302 식은커피 데워드시는 분 계세요? 16 아까비 2016/12/29 12,876
634301 속보) 특검 ㅡ 문형표 구속영장 청구 7 ........ 2016/12/29 1,694
634300 쌍커풀진 둥근눈과 오똑한 코 둘중 어떤걸 택하시겠어요? 26 질문 2016/12/29 3,462
634299 핸드폰,통신사 질문이요 1 유플러스 2016/12/29 499
634298 포장이사 계약서요. 4 .. 2016/12/29 924
634297 풍차돌리기적금 성공하신분 계세요?? 22 장기적금 2016/12/29 8,205
634296 무창포해수욕장 근처 갈만한곳 4 0 2016/12/29 1,137
634295 언니와 사이도 안좋은 형부만 챙기는 제 여동생, 말도 못하겠고,.. 7 동생아.. 2016/12/29 2,627
634294 소화력 떨어지는 사람은 어떤걸 섭취해야하나요? 2 상담 2016/12/29 1,438
634293 영어 공부가 어려운 점이...(영어 잘하시는 분께 질문) 6 영어 2016/12/29 2,115
634292 '이사몰'이란 곳이 포장이사 업체 연결해주는 곳인가요? 4 이사 2016/12/29 1,048
634291 ㄹ혜 라벨링 한다는거 말예요. 14 .. 2016/12/29 4,533
634290 예비중 수학문제집이나 인강 추천부탁합니다 4 .. 2016/12/29 1,338
634289 종북 좌파라는 거 말이에요.... 8 ㅇㅇㅇ 2016/12/29 848
634288 멀뚱 멀뚱 빤히 보고가는 초등 8 12월 2016/12/29 1,395
634287 맞선 아무생각없이 만나다가 결혼하신 분 계세요? 33 ㅁㅇ 2016/12/29 8,799
634286 억울한 김제동 2 하이공 2016/12/29 2,435
634285 영어공부시 꼭 해석을 해야하나요? 20 고등내신 2016/12/29 2,200
634284 식품건조기 추천 좀 해주세요. 알아봐두 모르겠어요ㅜㅜ 1 2016/12/29 1,549
634283 엄마가 복직 후 아이 봐 주시겠다는데요 38 ㅇㅇ 2016/12/29 4,821
634282 오백만원 일년이자 얼마가적당한가요? 13 돈주고 연끊.. 2016/12/29 3,197
634281 1년 해외 나갈 때 7 궁금 2016/12/29 1,034
634280 꽁꽁 얼어붙은 경기.. 11 춥네요 2016/12/29 3,188
634279 대학입학처에 전화? 4 정시 2016/12/29 1,516
634278 통돌이세탁기 먼지거름망은 클수록 좋은건가요? 4 // 2016/12/29 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