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번지진으로고층건물 무섭네요

조회수 : 5,152
작성일 : 2016-09-13 01:26:07
한번도 아파트를 안 살아봐서 아파트 살아보고 싶었는데 이번 지진으로 그런 생각이 싹 사라졌어요
두번째 지진 날때 뉴스룸에서 인터뷰 했는데 18층 사신다는 분의 겁에 질린 목소리였어요
저희집은 1층 단독주택인데도(대전) 많이 흔들려서 무서웠거든요
IP : 121.159.xxx.91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거기 아파트
    '16.9.13 1:34 AM (121.162.xxx.212)

    송파 잠실은 정말 무섭겠다는..

  • 2. ...
    '16.9.13 1:37 AM (1.231.xxx.229)

    일층은 지진나면 땅속으로 가라앉는다고 하니 지진이 심하면 재빨리 밖으로 뛰쳐 나와야 한다네요.

  • 3. 000
    '16.9.13 1:39 AM (175.117.xxx.200)

    1층이든 고층이든 안심이 안되네요

  • 4. .......
    '16.9.13 1:41 AM (182.230.xxx.104)

    11년전이였나 해운대 고층아파트 살앗는데 25층에 살았어요.그때 지진이 한번 크게 난적이 있었는데.고층이라서 정말 집에 안흔들리는게 없었을정도로 심했어요..밖에 내다보니 사람들이 다 나왔더라구요..근데 전 넘 높아서 내려가다가 무너지면 더 끔찍할것 같고 그래죽으나 집에서 죽으나 같다 생각해서 안내려가고 집안에 잇었어요.고층으 체감이 저층과 비교가 안되요.그당시 1층에 살았던 우리애 친구 엄마가 말하길 그닥 안흔들렸다고 그러다구요.저는 집이 무너지는줄 알았거든요.

  • 5. 고층이 위험하죠
    '16.9.13 1:53 AM (222.101.xxx.228)

    우리나란 일본처럼 철저히 내진설계도 안된 건축을 하니까요
    엘리베이터도 타지말라니 상상만 해도 끔찍하네요. 노약자가 있으면
    데리고 나오기도 힘들거든요. 여러 단점이 있어도 그나마 저층이
    안전한것 같으네요. 지진 겪고나니 고층아파트가 무섭습니다

  • 6. 무섭죠
    '16.9.13 2:05 AM (180.92.xxx.185) - 삭제된댓글

    저층에 비할바가 아닌듯.
    내려오며 다리가 후덜덜..

  • 7. 꼬맹이
    '16.9.13 2:05 AM (110.14.xxx.169)

    이와중에 엉뚱한 얘기지만
    지진이 자주 일어나면 안되겠지만
    아파트 로얄층이 바뀌겠네요.

  • 8. 고층에서는 계단탈출
    '16.9.13 2:19 AM (222.101.xxx.228)

    그 많은 사람이 몰린다 생각해보세요
    노약자들은 또 어쩔껀가요
    지진에서 고층아파트는 재앙입니다

  • 9. 저층도
    '16.9.13 5:42 AM (223.62.xxx.147)

    저층 나름인것같아요
    저희는 조경때문에 주위가 전부 돌로 둘러있어 일층이라해도 밖에 나가기 더 무서워요
    다행인지 저희 아파트지하주차장이 대피소라고는 하는데 짧은시간에 애들 챙기고 하는데 피할수나있을지...
    더는 지진이 안나길 바라지만...무서워요

  • 10. 양산단층
    '16.9.13 7:42 AM (39.7.xxx.151)

    주변에 사는 것이 더 무서울 것 같아요.
    내진 설계 되있다지만, 원자력발전소 지역도 그렇고요.
    지질학자 개인적인 의견으로, 이번 부산 울산 가스냄새가 지진 발생 전조증상으로 셰일가스 일 수 있다고 하네요. 연구해봐야겠다고 하더군요.

  • 11. 초컬릿
    '16.9.13 8:10 AM (39.7.xxx.230) - 삭제된댓글

    순식간에 땅이 쩍갈라지기때문에 고층저층 똑같고
    저층은 아예 땅속에 묻혀버리기때문에 더 무섭죠
    고층은 그래도 건물잔해가 위에 쌓이니 구조작업할때 0순위라도 될수 있잖아요
    밑에 깔리면 꺼내지도 못해요

    무너지는 원리를 보세요
    위에 쌓인게 먼저 구조되나 맨밑에 깔려 포크레인으로 직어낼수조차 없거나 아예 땅속으로 꺼저버린게 나은지

  • 12. 초컬릿
    '16.9.13 8:13 AM (39.7.xxx.230) - 삭제된댓글

    대피한다 어쩐다하지만 지진은 순식간이에요
    순식간에 땅밑으로 꺼져버리는거라 더무서운거죠
    저층은 흔적도 없이 땅속에 파묻히는거죠

  • 13. 저층의 장점은
    '16.9.13 8:27 AM (210.183.xxx.241)

    대피를 빨리 할 수 있다는 거죠.

    대피하지 않고 건물 안에 있는 거라면
    꼭대기층이 그나마 가장 낫겠지만
    고층 건물처럼 큰 건물은 한 순간에 무너지지는 않아요.

  • 14. 순진
    '16.9.13 9:06 AM (110.70.xxx.4) - 삭제된댓글

    210.183님 순진하시네요
    천재지변은..나 지금 천재지변일으킬테니 대피해라
    요시땅..하고 기다렸다 일어나는줄 아세요?
    그야말로 순식간입니다
    삼풍무너진거야 건물이 균열되서 천천히 시간걸리면서 무너진거지만 지진은 땅이 갈라지는거에요
    그 땅속으로 집어삼키는거구요
    자다가 지진이 올수도 있는거구요
    똥누다 지진이 올수도 있는거구요
    일어났다하면 바로 땅이 갈라지면서 집어삼키는데 저층은 흔적도 없이 땅속으로 사라지는거죠.
    순식간이에요
    님말대로 집밖으로는 대피했다쳐요
    근데 그게 건물있는곳만 갈라진다그 누가장담해요?
    님이 기껏대피한..아파트 밖 땅도 갈라질텐데
    다 삼켜요
    다 삼킨다고 보면 됩니다
    그럴거면 고층이 낫죠..적어도 살 확률은 높으니까요
    구조될확률도..
    저층은 아예 흔적도 없이 땅밑에 꺼지는건데 너무무서워요

  • 15. 저두
    '16.9.13 9:32 AM (1.246.xxx.85) - 삭제된댓글

    저층살다 고층으로 이사와서 너무 좋았어요 일단 집이 환하고 전망도 좋구...
    근데 어제 두번째 지진 느끼면서 공포감이 들더군요ㅠㅠ

  • 16.
    '16.9.13 9:42 A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지진이 오면 순식간에 건물이 무너지는 게 아니고
    큰 흔들림이 있으면 잠시 시간차를 두고 충격을 받은 구조물이 붕괴하는 거예요.
    저층에 있어야 대피하기 쉬운 건 맞습니다.

  • 17. ..
    '16.9.13 11:25 AM (211.224.xxx.29)

    지진오면 무조건 집밖으로 나와야 되는거잖아요. 집이 무너져 내릴 확률이 크고 그 안에 물건들이 사람을 덮쳐 흉기가 될수도 있고. 그러니 1층이 가장 안전한거죠. 1층은 땅속으로 들어가버린다는 이상한 글은 뭔가요? 고층은 그럼 가만히 있나요? 무너져서 건물에 깔려 죽는거지. 좀 논리성이 떨어지는 분들이 많네요. 앞으로 지진이 잦아지면 아무래도 고층아파트 가격이 떨어질것 같으네요. 저쪽 지방은 아파트는 저층이 대세가 될수도 있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7829 조선왕조실록으로 본 문종 독살설 게시판 2017/01/08 755
637828 간호학과, 서비스디자인공학과 어디가 좋을까요? 10 정시 2017/01/08 1,995
637827 현재.라이븐데.소름ㄷㄷ깽판 ㅇㅇ 2017/01/08 785
637826 10억엔 돌려 주면 안 되나요? 26 치욕적 2017/01/08 3,002
637825 통신사 소형중계기 대신 임대료로퉁치네요. 통신3사 2017/01/08 1,038
637824 法, '한일 위안부 합의' 관련 "12차례 협의 전문 .. 3 후쿠시마의 .. 2017/01/08 547
637823 갈바닉,메르비,누페이스...뭘 사야할까요? 6 콩콩 2017/01/08 15,282
637822 SNS에서 얻는 유용한 정보들 ... 2017/01/08 503
637821 독감 3일째~~ 4 독간 2017/01/08 1,501
637820 39인데 써마지 받기에 이른 나이일까요.? 1 etoile.. 2017/01/08 3,089
637819 요즘엔 논술 안중요한가요? 11 ㅇㅇ 2017/01/08 3,235
637818 혼밥하신분들~ 점심에 뭐드셨어요? 4 혼자먹기 혼.. 2017/01/08 1,430
637817 날씬해 보이는 패딩 뭐가 있을까요?? 4 .. 2017/01/08 2,085
637816 80대 할머니 생활비 18 2017/01/08 6,171
637815 공유 멋있게 나오는 작품 뭐있나요? 16 공유 2017/01/08 3,306
637814 생리중에 영양제 챙겨먹는게 도움되나요? 1 궁금한데 2017/01/08 988
637813 라떼 마시면 설ㅅ하는 거 왜 그래요? 7 에구 2017/01/08 2,601
637812 (실제현장 다큐) 노무현 대통령 서거 후 72시간 7 기록 2017/01/08 2,240
637811 김장에 부재료 아무것도 안넣고 해도 될까요? 2 늦은 김장 2017/01/08 1,670
637810 [속보] 새로 창당하는 보수신당 당명 '바른정당'으로 확정!! 20 ㅇㅇ 2017/01/08 2,624
637809 어제 그것이 알고 싶다를 보고 6 천벌 2017/01/08 2,326
637808 조카 입학선물로 버버리 책가방을 사주려고 하는데 어떤 경로로 사.. 20 가방 2017/01/08 4,619
637807 에어브러쉬(에어 스타일러) 참 편해요. 28 막손 2017/01/08 7,259
637806 시댁일 내가 안하면 그만인거 맞죠? 18 결혼해보니 2017/01/08 5,816
637805 내일이 엄마 환갑이세요. 4 워킹맘 2017/01/08 1,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