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식>>>>>>>>부동산>물가>금리

자취남 조회수 : 2,279
작성일 : 2016-09-06 15:06:22
미래를 섣부르게 재단한다는 것은 꽤나 위험한 일입니다.

그냥 소시민들의 추측에 불과한거죠.

부동산 예찬론자들이 꽤나 많은것 같아서 제 생각을 적어봅니다.

여전히 서울과 대도시에 거주하고 싶은 욕구는 존재하고

수요크기만큼 부동산은 증가세를 보이겠지만

우리나라는 년 5프로 10프로 성장하는 개발도상국도 아닐 뿐더러

이미 부동산이 투자목적보다는 거주목적으로 크게 전환되었고

그 이상의 뜀뛰기를 보일 확률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해서 부동산이 폭락할거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안정세에 들어섰고 투자를 하더라도 큰 이익을 챙기기는 쉽지 않을거라는 얘기입니다.

물가가 증가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소비자가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것들이 계속해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기업이 수요를 생산하기 때문에 물가가 오릅니다.

결과적으로 현대사회에서

기업외에는 사실상의 투자가치는 거의 없다고 봅니다.

뭐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부동산 건설이 있다면

그 부동산의 투자가치가 높아질 수 있겠지만

원천적으로는 건설회사의 이익이 더 큽니다.

뻔한 얘기지만

이 뻔한 사실도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호랑이 담배필적 프레임에 갇힌 분들이 꽤나 많은 것 같아서

그냥 소시민의 생각 적어봅니다.
IP : 133.54.xxx.231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6.9.6 3:10 PM (58.121.xxx.183)

    주식으로 투자금의 몇 배 벌 수 있나요?
    부동산은 전세 안고 사면 투자금의 두 배는 벌 수 있더라구요.

  • 2. .......
    '16.9.6 3:14 PM (211.200.xxx.177)

    15년전 주식시가총액 상위 30위권에 있던 대기업들중에 현재까지 명맥 유지못하고 망해서 사라진 기업들도 수두룩하죠. 아마 대기업이라 할지라도 망하는 주기는 앞으로는 더 빨라지겠죠.. 10년전에만 해도 세계를 지배했던 노키아나 야후가 이렇게 훅 갈줄 누가알았겠어요. 현재 상황좋은 대기업이라고 하더라도 5년후 상황을 예측할수 있을까요?
    주식전문가도 우량주 장기 가치투자도 도박이 될수도 있다고 말하는 시대예요.

  • 3. 자취남
    '16.9.6 3:16 PM (133.54.xxx.231)

    밑도 끝도 없이 투자금의 몇 배라니요?

    부동산이고 주식이고 매도하기 전까지는 수익이 없는거고

    묶여있는 자산이라면 기회비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서울에 집 한채 사기가 백만배는 어렵겠지만

    그런 목돈 개념과 시기적 기회비용 다 제외하더라도

    삼성전자 주식산 사람이 훨씬 이득입니다.

    그리고 향후는 더 그럴거라는 이야기지요.

  • 4. 필쭈야
    '16.9.6 3:17 PM (118.33.xxx.174) - 삭제된댓글

    글쓴님 의견도 일리가 있네요. 그런데 주식은 좀 단타라던지 도박성이 좀 강해서, 언제 치고 빠져야 하는지를 정확히 하지 않으면 고수익을 올리는 게 그리 쉬운 편은 아니라서요. 물론 그 와중에 잘 맞추는 사람도 있지만 비율적으로 보자면 부동산에서 그런 사람이 더 많을 것 같아요. 아무래도 단타성보다는 장기적으로 내다보고 해야 하는 측면도 있고, 저도 한 때에는 폭락론자였고(살 돈이 없으니까요) 지금도 폭락까지는 아니지만 떨어져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지만, 사실 우리나라는 일본과도 국토면적부터가 다르고, 인구밀도도 다르고, 경제 구조 또한 달라서 부동산이 아무래도 주식보다는 앞설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지방은 계속 떨어지겠지만 수도권 특히 서울은 절대 떨어지지 않고 계속 오를 거라는 생각입니다. 수도권도 서울과 밀집된 지역은 지금도 계속 오르고 있고 그로 인해 수익성도 증가하는 추세라서요.

  • 5. 자취남
    '16.9.6 3:18 PM (133.54.xxx.231)

    투자라는 것이 원리 리스크를 가지고 있는 겁니다.

    계속해서 수요가 발생할만한 서울의 좋은 집 한채를

    적절한 시기에 사는것은

    일반인의 시각에서는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그 외에 그럭저럭한 집 사면

    리스크는 리스크대로 떠안으면서

    수익도 거의 없습니다.

  • 6.
    '16.9.6 3:32 PM (58.120.xxx.233)

    주식은 상폐가 되지만 집엔 들어가서 살면 되는데요

  • 7. 자취남
    '16.9.6 3:35 PM (133.54.xxx.231)

    재산을 가지고 이익을 챙기기 위한 투자개념의 부동산입니다.

    그리고 이익을 챙기기 위한 투자활동에는 언제나 리스크가 따릅니다.

  • 8. ㅎㅎ
    '16.9.6 4:06 PM (218.48.xxx.130)

    그러니까 리스크 측면에서 부동산을 안고 가는 사람들이 있는거죠.
    두 투자재의 성격이 달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3567 법륜스님의 글을 읽고 ....여러분 34 계몽 2016/09/07 3,881
593566 밀정 보신 분들 ? 9 밀정 2016/09/07 1,822
593565 Life of the children 이란 단체 나눔 2016/09/07 295
593564 명문대 보내려고 생기부 조작, 학부모에게 돈 받아 13 ㅇㅇㅇ 2016/09/07 2,467
593563 하루하루가 너무 지루하고 세월만 가는 느낌인데 어떻게 극복하죠?.. 4 ... 2016/09/07 1,237
593562 82 열등감 많은 분들 6 .. 2016/09/07 2,113
593561 사랑, 어디에서나 불어오는 바람 nomad 2016/09/07 704
593560 원어민 영어교사한테 가장 바라는 점이 있다면 뭐가 있으세요? 4 궁금 2016/09/07 862
593559 ......동생 남편감..글 요약했어요 4 미둘턴 2016/09/07 1,803
593558 층간소음 일으키는 윗집 엘베에서 만났네요 9 ㅎㅎㅎ 2016/09/07 3,557
593557 자신의 삶을 정말 사랑하는 분.. 어떤 삶을 사세요? 5 Y 2016/09/07 1,620
593556 임대아파트는 세금 적게내나요?? 4 질문 2016/09/07 1,306
593555 김유정보니 아역에서 성인연기자로 변신하는건 참 쉽지않아보여요 36 2016/09/07 7,388
593554 퇴행성 관절염 2 무릎통증 2016/09/07 929
593553 이 벌레가 뭔가요? 3 진호맘 2016/09/07 1,824
593552 출산 후에 가슴 절벽되신 분들 9 질문 2016/09/07 2,583
593551 자동차는 양도하거나 증여할때 양도세 있나요? 4 안정화 2016/09/07 5,402
593550 우리나라에서 그나마 미세먼지 청정지역은 어디일까요..?? 3 어쩔 2016/09/07 4,246
593549 사워크림 처리법?? 3 hg 2016/09/07 776
593548 박보검, 지휘 동영상 보셨어요? 얘 왜 이렇게 예뻐요? 6 이런~~ 2016/09/07 3,570
593547 에코백 신세계네요 12 ... 2016/09/07 6,728
593546 오토비스 vs 블랙앤데커 스팀맙? 5 청소좀 2016/09/07 909
593545 메신저에서 여친구하는 국립대 교수 클라스 ㅋㅋ 3 ㅇㅇ 2016/09/07 2,037
593544 순천역에서 순천대학교까지 3 순천ㆍ순천 2016/09/07 792
593543 백내장검사 동네병원에서 해도 될까요? 큰병원? 2016/09/07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