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들 교육비 등등 지출을 계산하는게 이상한가요?

ㅎㅎ 조회수 : 2,144
작성일 : 2016-09-04 13:06:59
저는 모네타 가계부 초기부터 사용하던 사람이고
자영업이다 보니 가계부를 적지 않으면 돈이 어디 나갔는지 알수가 없어서
컴으로 가계부 적기 전에는 종이 가계부도 쓰던 사람입니다.

모네타 이전에 3년간 사용하던 전자가계부 사이트가 어느날 사라져버려서 
정말 황망했던 기억도 납니다.

모네타로 2004년 12월부터 기록을 했네요. 

그리고 저희 애가 지금 스무살인데 
애가 태어날 때부터도 아이에게 사용한 비용은 따로 계정을 만들어
기록을 했죠

그게 뭘 돌려받겠다 내가 얼마 썼다 그런게 아니라
아이가 하나다보니 그리고 제가 일을 하다보니
교육비를 넉넉하게 사용했고 스스로 조절하자는 의미도 있고
솔직히 애 하나 키우는데 얼마나 쓰나 기록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지금 화폐가치로 저희 애 태어나서 대학생이 된 지금까지
매달 월 100만원은 쓴거 같아요. 애를 엄마가 못 키우니 
양육비가 더 들어가잖아요.

그리고 애가 자라면서 영어책 사고 예체능 사교육 시키고
거의 월 백은 들어간거 같습니다.
먹는거는 가족 모두의 식비에 들어가니 대학생이 되어서 자기가 먹는걸
따로 용돈으로 받아가기 전에는 식비 외에 들어간 비용이 늘 월 백만원 정도에서
머무른거 같습니다.
영어 공부시키는데 돈을 많이 투자했습니다. 비싼 과외를 시킨건 아니구요.

하여튼 그런 이야기를 제 대학 동창들과 했는데
울 아이 지금까지 키우느라 든 돈이 이 정도다 가계부에 적어서 다 안다
그랬더니 친구들이 놀라면서 그런걸 기록하냐고 저보고 이상하다 합니다.
제가 설득력있게 잘 설명하지 않아서 그런건지
그 친구들은 월급쟁이라 가계부를 안 적더라구요.
그래서 생활이 빤해서 그런지 하여튼 저와는 다르네요.
특목고 다니면서 교육비 더 쓴 친구도 있는데도 그래요.

하여튼 애 키우는데 국가에서 얼마 든다 그런 자료도 있는데
내가 애 키우면서 얼마 들었다 그런 기록이 있다는게 잘못인지 모르겠네요.

지난달에 기숙사비 왕창 내고 하니 몫돈이 나가는데
다들 기록 안하나 봅니다. 
IP : 218.159.xxx.13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시시작1
    '16.9.4 1:10 PM (182.221.xxx.232)

    이상하지 않아요. 오히려 정확하신 분 같아 존경스럽네요. 저도 친구분들처럼 기록 안 해 놓은 부류인데 가끔 궁금해요.

  • 2. ㅇㅇ
    '16.9.4 1:10 PM (58.121.xxx.183)

    이상하긴요. 아주 바람직하죠. 저도 세세히 가계부를 적진 못했어요.
    대충 수입 안에서 예산 잡아보고 그에 맞춰 지출하고 나중에 결산 대충하는게 끝이었어요.
    원글님 잘하시는 거예요.

  • 3. 00
    '16.9.4 1:11 PM (218.159.xxx.13)

    지금 기록을 찾아보니-그동안 안 보고 살았나봐요 그냥 월 백 정도다 그랬는데-어느해는 2천을 쓰고 어느해는 600을 어느해는 800을 해마다 다르네요.

  • 4. ...
    '16.9.4 1:17 PM (220.75.xxx.29)

    아이 둘인데 저도 앱가계부에 두명 다 따로따로 다 적습니다. 생각이 날 때는 사소하게 몇천원씩 용돈 준거나 문방구에서 각자 샀던 필기구까지 금액 나눠서 적어둬요.
    간혹 합산해서 보다보면 애들 밑에 들어가는 돈이 얼마나 큰 지 딱 나오더라구요.

  • 5. ㅁㅁ
    '16.9.4 1:18 PM (180.230.xxx.54)

    가계부 안 쓰는 사람도 많아요.
    그리고 뭐 받아내겠다..
    이런게 아니고 뭐든 분류해서 산출하고 궁금함이 많고 그런 사람이면 충분히 따로 써볼만하지요.

  • 6. ...
    '16.9.4 1:20 PM (183.98.xxx.95)

    아뇨..안 이상해요
    그정도는 다 하는데..

  • 7. ㅁㅁ
    '16.9.4 1:30 PM (180.230.xxx.54) - 삭제된댓글

    가계부 작성하는 사람 비율은 30~35프로 정도밖에 안되요. 예전에 라디오에서 들었어요 34%였나.
    10년 이상 작성하는 비율은 15% 정도고요.
    안 쓰는 사람이 대부분인데 나는 이렇게 쓰고 이렇게 구분해서 정리한다
    그러면 '아.. 나도 쓰기는 해야하는데' 이런 느낌도 들고 불안한 마음에
    잘 쓰고 있는 상대방 트집잡고 싶고
    그래서 님이 자녀항목에 따로 쓴다는거로 트집잡기 딱 좋은거죠.

  • 8. ..
    '16.9.4 1:45 PM (218.235.xxx.209)

    가계부 안쓰는 사람이 대부분이라서 그래요. 또 진짜 적다보면 생각보다 많은 소비를 하기때문에 일부러 안적기도 하구요. 아마 교육비로 얼마 썼는지 정확히 알고싶지않은 마음일수도...

  • 9. ㅁㅁ
    '16.9.4 2:02 PM (180.230.xxx.54)

    가계부 쓰는 사람이 약 35%정도.. 그 중에서 10년 이상 쓰는 사람은 15% 정도에요.
    모두들 써야 한다는 건 알지만 귀찮아서 안 쓰는거죠.
    그러니 안 쓰는 사람들 있는 자리에서 10년이상 써왔고 그 중에 어떤 항목은 어떻고 이런 이야기 하면
    그 사람들 마음을 조급하게, 불안하게 만드는게 됩니다.
    그러면 그 불안한 사람은 뭔가 트집잡을 것을 찾게 되고요.
    마치 공부해야하는데 하기 싫어 하고 있는 애들 있는데서 이번 기말 준비는 수학은 몇 시간 투자했는데 생각보다 시간 많이 걸리더라. 이렇게 과목별 분석하고 있는 느낌주니까 트집잡으려 드는거에요.

    님이 잘못했다는 건 아니고요.
    그냥 사람 심리가 그러니 사람 많은데서는 적당히 너스레떨고 그러세요.

  • 10. ...
    '16.9.4 2:25 PM (203.228.xxx.3)

    저는 1인가구인데도 네이버가계부 어플로 모든 지출 다 기록해요..그런데도 지출은 안줄어든다는 ㅜㅜ

  • 11. ㅎㅎ
    '16.9.4 2:28 PM (1.239.xxx.146)

    반갑네요.저는 2008년부터 모네타 가계부 쭈욱 써왔어요.처음에는 그냥 무조건 쓰는건만 기록했었는데 쓰다보니 절약도 되는거 같아요.앞으로도 쭈욱 쓸 예정입니다.폰에서 직접 쓰니 편하기도 하구요.

  • 12. ......
    '16.9.4 2:30 PM (218.236.xxx.244)

    우리나라가 노후대비가 취약한 가장 큰 이유가 애들 사교육비 때문인데 파악하고 있는게 당연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5014 행복전도사 정덕희 중과 ㅅㅅ비디오사건 아세요? 20 뜨악 2016/09/10 42,376
595013 안철수 “창조경제센터는 동물원”…대기업들 ‘발끈’ 4 탱자 2016/09/10 750
595012 유방암 수술후 방사선치료 어땠어요? 5 삼산댁 2016/09/10 6,880
595011 몇 년 전 너무 좋았던 글을 찾아요 ㅠㅠ 몇년 전 2016/09/10 861
595010 해외 취업, 혹시 플랜트 관련 일에 대해 아세요? 남편이 하고 .. 6 몽돌이 2016/09/10 1,140
595009 몸에서 냄새가 심하면 자궁암관련있나요? 3 콜라 2016/09/10 4,580
595008 (자차 백탁) 아벤느 선크림(주황색통)써보신분, 어떠세요? 2 콩콩 2016/09/10 1,458
595007 철벽을 친 적이 없는데, 철벽녀래요... 7 ㅇㅇ 2016/09/10 3,016
595006 열감 1 갱년기? 2016/09/10 662
595005 이 시간에 텃밭에서 쓰레기 태우시는 동네 어무니들 9 쓰레기 2016/09/10 1,150
595004 9월 9일자 jtbc 뉴스 룸 필독 뉴스 ㅡ 2 개돼지도 .. 2016/09/10 600
595003 수익형부동산 10%의 함정 주의하세요. 큰코다침 2016/09/10 972
595002 요즘 파는 배 맛있나요? 7 .. 2016/09/10 1,643
595001 기업블로그 너무 기업제품 위주 아니고 좋은 예 있을까요? 1 가을 2016/09/10 268
595000 남자는 사랑하는 사람 아니어도... 6 남자는 2016/09/10 3,145
594999 요즘 한국외대 어떤가요? 6 수시준비맘 2016/09/10 3,083
594998 파슬 가방 매장은 지방에 없나요? 가죽 2016/09/10 1,077
594997 요즘 회 먹어도 괜찮을까요? 5 .. 2016/09/10 1,514
594996 그것이 알고 싶다 - 장준하 그 죽음의 미스터리 편 1 다시봅시다 2016/09/10 2,036
594995 작은 회사 추석선물 7 ㅁㅁ 2016/09/10 2,109
594994 뻐꾸기둥지 위로 날아간새 영화 봤는데요 6 영화 2016/09/10 1,361
594993 한달동안 스킨, 로션은 얼마나 사용할까요? 2 스킨, 로션.. 2016/09/10 1,701
594992 스텐 반짝반짝하게 관리하는 비법 6 세척 2016/09/10 3,725
594991 새벽마다 들리는 이상한 소리 어쩌죠? 3 괴로워요 2016/09/10 3,558
594990 태국이나 베트남 이민 장기체류? 생각해본분들 있으세요? 10 고고씽 2016/09/10 6,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