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재산이 많은 사람들은 아들을

dd 조회수 : 3,408
작성일 : 2016-08-31 09:46:00

확실히 원하더라구요..

자기 재산이나 사업, 또는 노하우등등을 물려주기 위해..


딸의 경우 결국 딸을 거쳐

손주로 해서 남의 가문으로

재산이 간다고 생각해서

남 좋은 일 시킨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더라구요..


정말 몇백억 부자들인경우

저런분 봤고..


실제 딸만 있는 경우

부인에게 위자료주고 이혼후

젊은여자랑 재혼해서 다시 아들낳고 싶은 사람도 있었는데

아들이라는 보장이 없어서 관두더라구요..


엄마성을 따를수 있도록 그런 경우가 많아지면

저런 생각이 없어지려나요?



IP : 58.123.xxx.86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8.31 9:51 A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여자는 임신, 출산을 하면서 육아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되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래서 돈 발라 가르쳐봤자 전업하는 사람도 흔하고,
    자기 것을 남편한테 그냥 넘겨버리는 순진이들도 너무 많아요.
    갑부 입장에서는 사위한테 홀라당 뺏긴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거 같아요.
    딸한테 안 줘야 한다는 건 아니고 명의와 권리를 확실히 지키는 법을 가르쳐야죠.

  • 2. 인정
    '16.8.31 9:51 AM (182.230.xxx.3) - 삭제된댓글

    사업하시는 부자 시댁입니다. 아들, 딸 다 있는데 항상 아들 하나 더 낳으라고 하십니다. 손녀들이 애교도 많고 더 이뻐하시는데 그래도 마음속 묵직한 정은 손주들에게 향해 있음이 느껴져요.

  • 3. ...
    '16.8.31 10:00 AM (211.177.xxx.39) - 삭제된댓글

    이런집은 양반이죠.
    딸들도 사업은 안물려줄 지언정 전폭적 지원할테고...
    문제는 쥐뿔도 없는 집에서 대를잇니 제사를 지내니 하는 남자들과
    그 핏줄 이어주고 할일 다했다고 당당해하는 여자들이 대다수인 것이 문제.

  • 4. 그러나
    '16.8.31 10:03 AM (222.111.xxx.10) - 삭제된댓글

    종국엔 망조 들어요. 케케묵은 구시대적 사고죠.
    똑똑한 자식에게 딸이든 경영수업 시키든 해야지.
    부자 3대 가기 어렵다는 말이 왜 있겠어요.
    재벌들 역사 보면 다 보이잖아요.
    그 소중한 돈이 인간을 망치기도 하죠. 우리가 숱하게 봐오잖아요.

  • 5. ㅍㅍ
    '16.8.31 10:09 AM (58.230.xxx.247)

    보령제약 외손이 성을 바꿨나요
    옛 동료가 보령사위 친구였다던데
    그분이 옛날 양반집 산지기 아들인데 사시통과한 아주 똑똑한 개천용
    본인가문이 보잘것없으니 처가가문으로 입적했나보군요

  • 6. ㅇㅇ
    '16.8.31 10:14 AM (58.123.xxx.86)

    외손자는 y염색체가 다르다고 하고..그래도 미토콘트리아는 모계 유전이니 같을거고...

  • 7. 보령
    '16.8.31 10:18 AM (223.62.xxx.113) - 삭제된댓글

    딸만 넷이에요.
    사위도 넷이겠죠.
    그 중 물려받을 외손자(부모 이혼)만 성 바꾼 거예요.

  • 8. 애초에
    '16.8.31 10:41 AM (175.223.xxx.26)

    재산유지 방법으로 결혼제도가 생긴 거니까요.
    후대에 종교적, 문화적으로 의미를 붙인거지.

  • 9. ...
    '16.8.31 12:33 PM (211.209.xxx.104)

    전 오히려 딸이 더 나은 것 같아요.
    삼성만 봐도 이건희회장 처가는 재벌인데 이건희 회장 조카는 생활고로 자살했잖아요.
    그 가부장제 쩌는 현대도 아들들 처가식구들하고 어울리지 형제들끼리는 제사때나 모이고..
    그리고 생물학적으로 봐도 아들은 외탁이 더 쉬울 수 밖에 없는 게요.. 미토콘드리아 유전도 모계유전이지만 무엇보다 y염색체가 x염색체처런 유전정보가 많은 게 아니라 성을 구별해주는 것 말고는 딱히 없잖아요.
    엄마 유전정보가 더 많이 간다는 거죠.
    아들만 해도 처가 유전이 더 강하고 손자대로 가면 정말 유전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며느리 집안 따라가기가 쉬운데 외손주는 특히 외손녀가 유전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내가 키운 딸의 영향을 많이 받잖아요.
    물론 사유재산이라는 게 생기면서 문명사회가 거의 가부장제로 유지된 건 맞는데 역사를 봐도 사람은 본능을 이기기 어렵다는 걸 실감하는 것 같아요.
    중국이나 우리나라나 아들에게 권력이 이어진 건 맞는데 실제 쥐고 흔드는 건 외척이었잖아요.
    왕의 핏줄인 공주나 왕자는 사약이나 안 받으면 다행인데 자기 딸이나 누나가 왕의 여자면 집안 팔자가 늘어지는..
    그런데 측천무후때처럼 딸에게 권력이 가면 사위집안 팔자가 늘어지진 않거든요.(신세계 이명희 회장만 봐도..)
    전 그래서 딸에게 물려줘야 남 좋은 일 안 시키는 게 맞다고 봐요.

  • 10. 거의 그래요
    '16.8.31 1:14 PM (14.52.xxx.171) - 삭제된댓글

    온라인에서 아무리 딸이 좋네 어쩌고 해도
    현실의 부자들은 다 아들 선호하죠
    애초 딸 선호의 이유가 키울때 돈 덜들고.결혼할때 목돈 안들고,늙어서 내 노후 눈치안보고 의지하고
    뭐 이런류의 부모가 기대는 이유들이 많잖아요
    그거 뒷감당 되는 사람들이 결국 아들도 좋아하고 아들한테 물려줄것도 있고 그렇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1576 셀프인테리어, 셀프페인팅 관심 있는 분들? 제제 2016/08/31 533
591575 박보검이 큰배우가 될감인게 41 .... 2016/08/31 8,458
591574 해컷스라는 학원은 알바가 아쥬 판을 치네요 2 ㅇㅇ 2016/08/31 1,102
591573 한진해운 직원들은 어떻게 되나요? 10 ........ 2016/08/31 4,854
591572 박근혜에게도 사람 보는 눈이 있었네 그려! 꺾은붓 2016/08/31 1,247
591571 기내식, 12살이면 아동식 신청하나요? 11 여행초보 2016/08/31 2,296
591570 방울토마토랑 마요네즈 드시는분 없나요? 1 호롤롤로 2016/08/31 798
591569 헬스 클럽 에서 pt 받고 있는 중 pt 계약 권유. 5 닉네임안됨 2016/08/31 2,256
591568 초등아들이 엄마아빠 돈모으는데 도움 안주고 싶다네요 7 2016/08/31 1,827
591567 저는 왜 응모당첨 넣어도 안될가요? 6 당첨자되고싶.. 2016/08/31 1,037
591566 고양이는 씻으면 안되나요? 24 고양이 2016/08/31 4,989
591565 초등4학년ㅡ예체능 수업만 받고있는데 이래도 될까요 11 초딩4학년 2016/08/31 1,443
591564 순대1일분, 육개장 사발면, 오징어 튀김...점심으로 혼자 다 .. 9 미쳤나보다... 2016/08/31 1,701
591563 mri촬영 입원해서 찍을수 있을까요? 2 2016/08/31 1,337
591562 40대 중반도 젊은 나이인거 같은데... 26 xdf 2016/08/31 8,579
591561 코스트코 종가집 김치 맛있나요? 7 .. 2016/08/31 3,937
591560 24평옷방에 놓을 행거-까사마루2단행거 괜찮을까요? 포리 2016/08/31 1,204
591559 세입자가 월세놓는거 가능한가요 4 징검다리 2016/08/31 2,043
591558 고추가루 1근 600그램 가격이요 8 가격 2016/08/31 4,321
591557 지금 비가 오는데요 . 2016/08/31 416
591556 오늘 뭐입고 나오셨어요? 9 2016/08/31 1,963
591555 이준기는 정말 멋지네요 ㅠ 23 포로리 2016/08/31 3,566
591554 부동산 다른 지역도 중개 가능한가요? 4 HOUSE 2016/08/31 835
591553 폐업신고를 안하네요. 2 상가 세를 .. 2016/08/31 1,313
591552 계절마다 옷을 넣었다 뺏다 안하면 너무 좋을것 같지 않아요? 10 계절 2016/08/31 3,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