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피아노 전공하신 분 계시면 알려주세요.

피아노 조회수 : 1,506
작성일 : 2016-08-29 15:11:44

아이 친구 얘기구여. 제 아이도 이 친구가 다니는 피아노 학원을 다녀요(초1이에요)

보통 저 어릴때 피아노 배울때

도레미치고 파부터 다시 엄지손가락으로 시작해서 파솔라시도까지 치는 연습 했던것 같은데요

 

지금 우리 아이나, 우리 아이 친구 "라" 까지 배웠대요.

그것도 어떻게 배웠냐 하면 도레미파솔(다섯손가락으로 치고) 라 칠때는 새끼 손가락을 뻗어서 "라"를 친대요

그리고 "시"와 "도"는 아직 안 배웠구여

 

우리 애는 현재 바이엘 3 나가기 시작했구여(5개월 배웠어요)

우리 애 친구는 1년되었어요. 바이엘 4 나간다고 하더라구여.

요즘 피아노 이렇게 배우는거에요?

피아노 전공하신분들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1년을 다녔는데 (머리 나쁜 아이도 아닌데) 아직도 시,도 치는 것을 안 배웠다고 하니

넘 이상해서요. 그리고 1년다녔는 체르니100도 안 들어가고 있으니 넘 이상해요

이 피아노 학원 이상한건가요?

 

글고 아이들은 (그 친구&우리아이) 피아노 매일가요.

전공하신 분들  요즘 피아노가 이렇게 바뀐건지 그 학원이 이상한건지 좀 알려주세요

특히 도레미파솔 치고 라 칠때 새끼 손가락 뻗어서 라를 치는거에요?

요즘 이렇게 바뀐거에요? 그것이 진심 궁금합니다.

IP : 112.221.xxx.6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8.29 3:17 PM (211.243.xxx.186) - 삭제된댓글

    뻗어서 라칠수도 있긴한데,,어느상황인지 정확히 들어봐야 알수있을거 같아요. 보통은 도레미까지 치고 파부터 엄지손가락 안으로 돌려 파솔라시도...까지 치는걸로 배우는데,,,ㅎㅎ

  • 2. ㅇㅇ
    '16.8.29 3:18 PM (61.255.xxx.67)

    새끼뻗어서 라 치는건 완전 잘못된 방법이고

    실제로 곡연주할때 저렇게 불가능함

    그리고 바이엘 삼이나 사나 도긴개긴...

  • 3. ㅇㅇ
    '16.8.29 3:18 PM (61.255.xxx.67)

    그리고 그 피아노학원 이상하네요
    애가 저능아가 아니고서야 어찌
    학원을 바꾸세요

  • 4. ....
    '16.8.29 3:50 PM (180.67.xxx.126) - 삭제된댓글

    아들이 초등 입학하고 바로 3월부터 피아노 학원을 다녔는데 2학년 마칠 때 까지 바이엘이 안끝났어요. 중간에 몇 번 너무 오래하는 거 아니냐 말을 했더니 아니라고 저 다닐 때는 6개월이면 바이엘 끝났다고 말씀을 드렸는데도요 자꾸 아니라고 결국 그만뒀어요 집에 피아노를 사면서 아들이 아주 잘하진 않았지만 충분히 진도를 뺄 수 있음에도 시간만 잡아먹었다는 걸 알고 다른 학원으로 옮겼어요. 지금도 1년 6개월이라는 시간을 낭비한 거 생각하면 학원에 화가 나는 건 둘째고 엄마인 제 늦은 결정에 화가 나요 아...그 시간이면 정말....으으윽..

  • 5. 문외한
    '16.8.30 1:34 AM (175.223.xxx.133)

    들은 댓글 좀 안 쓰면 좋겠네요.
    어릴때 잠깐 배웠거나, 자기 애들 겨우 해봤자 체르니30도 못 떼게 가르쳤으면서
    진도가 어쩌니 저쩌니 겨우 일년 배웠으면서 시간이 아깝다느니

    윗님! 우리나라에서 피아노선생들 가장 많이 모인 카페가면 진도로 선생님들끼리도 서로 자주 물어보거든요.
    바이엘 6개월만에 떼면 영재급이에요.
    그런데 영재급 재능 가진 애는 10%도 안되거든요.
    결국은 뭔지 아세요?
    6개월만에 뗀 애들 대부분은 엉터리로 배울거 다 익히지도 못하고 말그대로 '진도'만 나간거라구요.
    구구단으로 비유하면 4단도 제대로 못 외우면서, 5단 6단 막 나가는거랑 비슷.
    9단 까지 어찌어찌 외우기는 했는데, 완벽하지가 않아서 두자리수 세자리수 계산 하면 죄다 틀림ㅋㅋ
    피아노로 치면 점점 더 어려워지는 악보를 못 보니까 포기하게 되는거랑 같은거죠.

    요즘 바이엘 교재 거의 네권으로 나눠졌는데, 거의 년~ 1년 반 걸린다고 가르치는 선생님들 대부분이 하는 말이에요.
    그리고 기초 정확히 제대로 다져주는 학원일수록 진도 그렇게 몇개월만에 떼도록 안 가르쳐요.

    엄마들은 진도 몇개월 가지고 빠르니 늦니 난리치는데, 피아노는 4년 이상 배워야하는 악기라 책 조금 늦게 떼도 나중에 더 빨리 잘할 수도 있고, 처음에 진도 휙휙 나갔는데 기초가 부족해서 점점 어려움 느끼고 결국 그만두는 애도 있고 천차만별이니
    잘 모르면서 지도가 빠르니 늦지 소리는 좀 그만하시길요~~
    전공자 입장에서 보면 정말 정말 무식해 보이고, 그런 모자란 엄마 만난 애가 불쌍해져요.

  • 6. 그리고
    '16.8.30 1:49 AM (175.223.xxx.133)

    원글님이 알고 계신
    도레미(123) 파솔라시도(12345) 는 도~도까지의 한 옥타브 음계 칠 때의 손가락 번호 맞아요.
    그런데 친구가 말한 도~라 칠때 라를 5번 손가락으로 친것도 맞는거예요.
    그 친구가 친건 한 옥타브의 음들을 하나 하나 다 치며 올라간게 아니라
    도에서 라를 칠때 손을 확장 시킨거예요.
    기초 배울때야 도 1번 레 2번 미 3번 이렇게 손가락 번호를 고정되게 치지만, 바이엘 3권 부터는 솔 위로 라, 시 까지 음이 확장 되니까
    당연히 솔을 치던 5번 손가락을 벌려서 라, 시 까지 치는건 당연한거잖아요.

    원글님이 알고 계신대로 치자면 도 1번 치고, 다음
    음을 라를 쳐야 하는데 3번 손가락을 벌려서 치는게 아니거든요.
    중간에 1번 회전 시키는건 옥타브 이상 음을 칠때 필요한거구요.
    저도 설명하면서 표현이 부족해 답답하긴 한데, 이해되셨는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도긴개긴하신 분 말 그대로 6개월 미만의 진도는 정말 나중에 시간 지나서 보면 아무것도 아닐때가 많아요.
    결국 피아노는 진도 빠른애가 잘 하는게 아니라
    오래 길게 배운애가 잘 하는 애로 남는거더라구요.
    바이엘 마치기 전까지는 진도 신경쓰지 마시고, 그 과정에서 배우는걸 '정확히' '잘' 치고 있는지를 신경 쓰시면 좋겠어요.

  • 7. ......
    '16.8.31 9:09 PM (180.67.xxx.126) - 삭제된댓글

    윗님 그런 설명은 말씀인지는 말 하지 않아도 알아요 문제는 제대로 가르치지도 않으면서 시간만 보냈다는 거예요 본인이 잘났다면 겸손하시구요 문외한이라고 남 무시하는 발언 하지 마세요 모든 아이들이 피아니스트 될 것도 아니고 많은 아이들을 대충 치고 빠지기기식으로 학원에서 시간만 떼우는 걸 비난 한 거니까 그런 원장을 님은 두둔하는 겁니까

  • 8. .....
    '16.8.31 9:24 PM (180.67.xxx.126) - 삭제된댓글

    그럼 그 카페 학원선생님들께 말씀 드리고 싶네요 본인들 실력은 얼마큼인지 모르겠지만 제발 제대로 가르치기나 하면서 길게 하라고요. 윗님은 가르치시는 분이신가본데 그럼 겸손하세요 문외한이라고 무시하지 마시고 댓글 달지마라 그러지마시고요 2년간 제대로 가르치고 시간 보냈다면 좋았죠 하지만 아이들 대충대충 가르치고 시간만 떼웠어요 어이가 없어서.... 솔직히 말해서 칼만 안든 도둑으로 보여요 마치 모든 피아노선생들이 제대로 가르치는 것 마냥 말하는게 불쾌하네요 님은 아이들에게 제대로 가르치시는 분이라면 그 아이들 복이지만 제 아들은 아니었으니까요 저도 여러 학원 원장님께 여쭤 본거예요 저 혼자 판단했겠습니까. 아무리 그래도 바이엘 2년은 아니라고 다들 그러셨어요. 님은 특이하나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1157 꼬치 꼬지 산적.. 2 어떻게 다른.. 2016/08/30 684
591156 전도연 앞머리숱 없어서 대머리되겠다고 16 비치 2016/08/30 14,598
591155 이불류 포장 가방 어찌 버리나요? 2 .. 2016/08/30 1,160
591154 생크림빵을샀는데 안에 생크림이 없네요 ㅎㅎ 3 지혜정원맘 2016/08/30 1,342
591153 결혼18년차 외며느리 생일 안챙겨주신 시어른들 제가 섭섭한맘 가.. 31 가을이 조아.. 2016/08/30 5,906
591152 아파트 매수 고민 한번들 봐주세요^^ 3 아줌마 2016/08/30 1,891
591151 치매가 나을 수 있을까요? 4 다시시작 2016/08/30 1,691
591150 호칭좀 알려주세요 (엄마의 사촌동생) 5 ... 2016/08/30 4,839
591149 용접공옆에서 보조하는일 6 궁금 2016/08/30 1,014
591148 해피콜 양면팬 잘 사용하세요? 9 자취생 2016/08/30 2,615
591147 밥 먹을때 쩝쩝거리는 것 고칠 방법 없을까요? 9 습관 2016/08/30 1,650
591146 너무 이쁜여자 부러워 마세요 16 ㅇㅇ 2016/08/30 10,420
591145 이준기때문에 일이 손에 안잡히네요 ㅋㅋ 10 호롤롤로 2016/08/30 2,606
591144 패션센스 없는 30대 초반이예요~ 추석맞이 어떤 옷을 사야할지 .. 2 패션꽝선택장.. 2016/08/30 966
591143 10년이란 세월 .. 2016/08/30 515
591142 수영하시는분들, 눈가 주름과 피부관리 어떻게 하세요? 4 수영 2016/08/30 3,070
591141 옛날에 결혼식 뒤풀이때 신랑 발바닥 왜 때린거예요...?? 4 궁금 2016/08/30 3,857
591140 아침부터 남편의 카톡에 울컥;; 3 2016/08/30 3,732
591139 신혼집 몇 평에서 시작하셨나요? 14 신혼 2016/08/30 4,269
591138 초등고학년 여자아이 선물 추천 부탁해요 숙모 2016/08/30 331
591137 지카 바이러스 감염? 1 여행 2016/08/30 656
591136 교통약자 주차장 9 주는데로 2016/08/30 814
591135 실리트에 요리하면 맛이 없어요 13 실리트 2016/08/30 3,897
591134 치약이 만능이네요 4 ㅇㅇ 2016/08/30 3,325
591133 오현경 전남편 홍모씨요.. 3 궁금 2016/08/30 12,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