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돈 잘 모으고 있는 거 맞을까요?

조회수 : 4,110
작성일 : 2016-08-27 09:43:43
서른이구요.
실수령액 230~250 왔다갔다 합니다.
혼자 사니 집값이며 뭐며 170-180은 나가네요.
직업 특성 상 교통비가 한달에 30정도 빠져서요.
교통비 30에 집값 공과금 40정도 빠지면 한달에 100 정도를 식비,용돈 등으로 쓰네요.
나머지 70정도는 저금하구요.
1년 반 일해서 간신히 1200정도 모은 것 같습니다.
어머니는 제 씀씀이가 조금 헤프다네요.
혼자서 어떻게 하면 170을 쓰냐고
저희 집이 편모 가정인데 어렸을 때 정말 가난해서 대학 진학 때까지 120 가지고 세 식구가 살았거든요.
워낙 검소하신 분이라 제 소비패턴을 이해 못 하세요ㅠ
지방이고 제 씀씀이가 큰 편인가요?
돈을 번 지가 얼마 안 돼서 감이 잘 안 옵니다.
잘 모으고 있는 것인지요.
IP : 39.7.xxx.108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8.27 9:55 AM (116.126.xxx.4)

    차도 없으신데 많이 쓰시는거 같긴 하네요. 집값공과금이 40에 비해 식비용돈이 100만원이나? 어디 ?덕후활동하시나요

  • 2. 다른건
    '16.8.27 9:56 AM (119.71.xxx.132)

    다른건 모르겠고
    지금 받으시는 금액의50%는 일단 저축하고 생활하셔야합니다.

  • 3. 혼자~~
    '16.8.27 10:01 AM (175.116.xxx.18)

    많이쓰셔요, 용돈을 혼자 100만원은~~~
    중등딸하나, 세식구 한달순수생활비 80 이예요
    조금더 저축을 하셔요
    아예 저축을 100~120 하고 써보세요
    없으면 없는데로 못 쓰게 되서 안써지게 되어요

  • 4. ...
    '16.8.27 10:19 AM (106.252.xxx.214) - 삭제된댓글

    식비 용돈이라고만 얘기했지만 거기 통신비, 공과금, 옷, 화장품, 미용실 친교비 다 들어가는거잖아요. 요즘 미혼 직장인이면 보통 한달에 100 정도는 쓰게 되던데요... 돈 모으는게 목적이면 옷도 안사고 커피고 안 마시면 아낄 구멍이 나오긴 하겠지만요...

  • 5. 150은
    '16.8.27 10:19 AM (61.82.xxx.218)

    한달 150은 저축 하셔야지요.
    그나마 줄일수 있는건 교통비와 집세예요.회사근처로 집을 옮기시고 집세도 낮춰보세요.
    젊어서 편하고 깔끔하게 사는걸 추구하면 돈 못 모아요,
    쓰러져가는 오두막에서 몇년 고생해 목돈 모아 주거환경을 차차 좋은곳으로 옮겨야해요.
    일년에 1200 저축으로는 부족해요.
    월 150이면 연간 1800만원이예요. 딱 5년 고생하면 9천만원이예요.
    억단위의 돈이 모아지면 대출 당겨서 주거환경을 좋은곳으로 옮기시고요.
    다들 그렇게 부동산을 기반으로 돈 모아요

  • 6. 글쎄...
    '16.8.27 10:37 AM (59.8.xxx.122)

    미혼이고 손벌려 사는것도 아니고..
    잘 살고있는거라고 얘기해주고 싶어요
    그 나이때 누리고 싶은거 맘껏은 못누려도 너무 돈에 얽메어 살 필요 없어요
    한순간에 인류가 멸망할수도 있다는 글도 있던데 너무 미래애 촛점을 맞출 필요는 없어요
    돈이란건 써야 들어오는거구요
    낼 죽을수도 있는게 인생인데 억울하지 않게 사세요

  • 7. ...
    '16.8.27 10:47 AM (223.62.xxx.70)

    돈에 얽매여살 필요가 없다니요...
    돈에 얽매이지 않아도 될 기반을 만들어놓고
    그 다음에 써야죠.
    요새 사람들은 순서가 바뀌었어요. 저 30대 초반이에요..
    그런데 젊어서 10년 고생하면 평생이 편안하거든요.
    사람 그렇게 금방 안 죽고 몸도 그렇게 금방 안 아파요
    건강한 노예로 계속 뺑뺑이 돌거면 그정도 저축해도
    되구요 (문제는 내가 원해도 노예생활울 강제로 그만둘 수
    있다는 거) 젋어서 아끼고 부동산 사고 자산 늘리면 40대 이후에 남들하고 다르게 살 수 있어요. 제 목표이기도 합니다

  • 8. 저축을더
    '16.8.27 11:01 AM (110.9.xxx.73)

    늘리삼요..150 은 저축.
    나머지로 어떻게든 살아보세요.살아집니다.
    70 은 넘 조금이예요.

  • 9. 글쎄...
    '16.8.27 11:16 AM (59.8.xxx.122)

    인생 오래산 경험으로 한 얘기예요
    그 아까운 나이에 저도 너무 돈에 얽메어 산게 지금 제일 후회되는 부분이거든요
    우리애들 금수저란 소리 들을만큼 악착같이 기반닦아 놓긴했는데..돈이란게..한푼두푼 모아서 되는게 아니더라고 한다면 또 한소리 듣겠죠?
    경험해보니..돈이란게..보이지않는 어떤 움직임이 있어요
    그게 지금 느껴져요
    글로 표현하기엔 제한이 많네요

  • 10. ㅇㅇ
    '16.8.27 11:20 AM (223.33.xxx.216)

    근데 소비가 커보여도 미혼여성 사회생활하다보면 저 정도는 쓰게 되어있어요
    사치안해도 그래요

    전 지금도 나쁘시진 않다고보긴하는데
    만약 저축을 더 하시려면 철저히 졸라매야할거예요
    장 하나를 봐도 알뜰살뜰

    그런데 젊은나이에 너무 아끼는거도 지나고보면 허망할 때 있어요

    잘 결정하세요

  • 11. 제가 볼 땐
    '16.8.27 11:36 AM (1.235.xxx.221)

    교통비가 들면 집값이 안들어야 하고,집값이 들면 교통비가 안들어야 하는게 맞다고 봐요.
    회사와 집이 가까운 게 아니라면 굳이 본가에서 나와서 살면서 집값을 또 지출할 필요가 없거든요.
    그 둘중에 하나만 줄여도 지금 저축액 70에 보태서 100은 저금할 수 있겠죠.
    생활비 100이 아껴쓰는 걸로는 안보여요.
    이것도 못줄이고 저것도 못줄이고 ,이러면 못모으죠.
    저축 해놓고 남는 돈으로 살아야 돈을 모을 수 있어요.
    그럴려면 빡빡해지고 한달에 한번 가던 미용실을 석달에 두번 가고 이런 식으로 하는 거구요.

  • 12. 미혼아니더라도
    '16.8.27 11:43 AM (180.230.xxx.39)

    주부도 용돈100은 쓰잖아요 그 용돈에 옷값 화장품 미용실 모임비 포함하면 다들 수긍하실꺼에요.그래서 주부들이 앧ㅇㄹ 학원하나 더 보내려면 그 용돈중에 무언가를 줄여야해서 늘 같은옷에 머리 질끈 묶고 다니고 모임도 안나가고 하는거고...미혼이시니 그 정도 쓰는거 문제없어보여요

  • 13. ㅋㅋ
    '16.8.27 11:58 AM (175.223.xxx.212)

    돈은 내가 안쓰고 모아 놓으면 누군가.다 써버린다네요.

  • 14. 에공
    '16.8.27 12:11 PM (222.112.xxx.150) - 삭제된댓글

    기혼 직장인인데 옷값 미용실 모임비 점심식사 합쳐서 50만원 한도에서 해결합니다.
    여기에 아침 저녁 식비 추가하셔야겠죠.
    소비는 가치관에 따른 거라서 저축보다 현재를 즐기는 게 더 중요하다면 그것도 맞다 생각해요.
    여기에 글 올리신 거 보면 좀 더 모으고 싶으신 것 같아서 드리는 말씀인데
    소비 항목별 한도를 정하고 그 안에서 지출하다 보면 저축액을 늘릴 수는 있어요.

  • 15. ㅅㅅ
    '16.8.27 1:09 PM (124.54.xxx.29)

    혼자서 공과금제외 순수생활비 100이면 정말많네요
    4인가족도 그보다 덜 드는데.

  • 16. 저기요.
    '16.8.27 4:57 PM (175.114.xxx.217) - 삭제된댓글

    여기 제대로 이해 못하고 댓글 다는 분들 넘 신경쓰지 마세요.
    요즘 집에서 학교만 왔다갔다하는 대학생들도 용동 50-60씁니다.
    원글님은 식대, 옷값, 화장품, 생필품, 통신비 등등 다 합해서 100만원
    절대 많은거 아니예요.

  • 17. ...
    '16.8.27 5:44 PM (223.33.xxx.81)

    좋은댓글들많으네요

  • 18. 40대 싱글
    '16.8.27 7:19 PM (175.125.xxx.38)

    저도 공과금 제외하고 한달 100은 쓰게 되네요, 식비, 생필품, 통신비, 교통비, 화장품, 문화비, 미용실 등 해서요, 정말 아껴쓰는 달은 80만원대이고 벼르던 물건 구입하거나 외식 좀 많이 하는 달은 120만원대까지 쓰고요, 70-80만원대로 줄이면 가끔 우울해지더라구요,

  • 19. ......
    '16.8.27 11:24 PM (220.80.xxx.165)

    100만원은 기본으로하세요

  • 20. ....
    '17.1.10 10:22 PM (1.237.xxx.5)

    그나마 줄일수 있는건 교통비와 집세예요.회사근처로 집을 옮기시고 집세도 낮춰보세요.
    젊어서 편하고 깔끔하게 사는걸 추구하면 돈 못 모아요,
    쓰러져가는 오두막에서 몇년 고생해 목돈 모아 주거환경을 차차 좋은곳으로 옮겨야해요.
    일년에 1200 저축으로는 부족해요.
    월 150이면 연간 1800만원이예요. 딱 5년 고생하면 9천만원이예요.
    억단위의 돈이 모아지면 대출 당겨서 주거환경을 좋은곳으로 옮기시고요.
    다들 그렇게 부동산을 기반으로 돈 모아요 ---1억 모으기

  • 21. ...
    '17.4.30 11:36 PM (1.237.xxx.5)

    아껴쓰는 걸로는 안보여요.
    이것도 못줄이고 저것도 못줄이고 ,이러면 못모으죠.
    저축 해놓고 남는 돈으로 살아야 돈을 모을 수 있어요.
    그럴려면 빡빡해지고 한달에 한번 가던 미용실을 석달에 두번 가고 이런 식으로 하는 거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0488 와우 ! 비와요 2 비님 2016/08/28 1,418
590487 애견인이었는데 엄마가 알러지가 있어서.. 고양이는요? 4 애견 2016/08/28 1,024
590486 원래 시모와 아들사이는 싫은 소리 절대 안하나요? 12 시집와서 2016/08/28 4,271
590485 동경의 대상은 사랑받기 어렵나요? 2 ㅇㅇ 2016/08/28 1,399
590484 오래된 냉장고.. 교체 or 세컨 (김치)냉장고 구매?? 7 2016/08/28 1,596
590483 노인분들을 무시한다는 말이 이해가 안되는 분들 계세요? 4 ..... 2016/08/28 1,324
590482 뒷목이 뻣뻣하고 아픈데 어딜 가야 하나요? 4 ........ 2016/08/28 2,535
590481 쓱 쳐다보는 시모 8 ... 2016/08/28 4,088
590480 사주 토정비결은 번화가에서 보면 잘 안맞겠죠? 2 .... 2016/08/28 1,406
590479 요즘 해먹을 맛있는 요리 머있을까요 3 fr 2016/08/28 1,586
590478 벌초가 뭐라고 아침8시부터 가야한다네요 20 ㅇㅇ 2016/08/28 5,026
590477 어제오늘 아이 코피가 자주 나네요. 3 ... 2016/08/28 698
590476 일잔 하고 잘까요? 닭발에다가 6 잠 안오는 .. 2016/08/28 992
590475 김치에서 이물질이 나올 경우 김치 2016/08/28 557
590474 갤럭시 탭 S2 샀는데 광고배너땜에 아메리카노 2016/08/28 387
590473 요거 연음으로 발음 어떻게 하나요? 4 ud 2016/08/28 887
590472 총장도 이대생들한테 못 당하는듯 16 2016/08/28 4,259
590471 36살 초등교사 스트레스로 사망. 41 hh 2016/08/28 25,305
590470 손금, 사주 어디까지 믿어야 될까요? 5 ... 2016/08/28 2,733
590469 사람은 끊임없이 운동하고 가꿔야하는 것 같아요 6 ... 2016/08/28 4,303
590468 초등교사ㅡ벤츠e클래스 17 띠로리 2016/08/28 8,718
590467 황당빵당한 어처구니없는 일 6 .... 2016/08/28 2,408
590466 상가 소음 때문에 미치겠어요.. 3 . . . .. 2016/08/28 1,410
590465 ((청춘시대))낼 아침 7시40분부터 jtbc2에서 전편방송해준.. 1 나나 2016/08/28 1,356
590464 나이 든 노인분들에게 불친절한건 왜 일까요? 49 ... 2016/08/28 6,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