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제가 쑨 묵은 찰찰찰 탱글하지가 않을까요? ㅠ

나무꾼 조회수 : 2,058
작성일 : 2016-08-19 17:39:08

먼저 도토리 가루가 문제는 아니구요.. 여러곳에서 국산 100프로 가루로 해봐도 맨날 똑같아요..ㅠ

 

사먹는 묵도 그렇고 엄마가 쑤어준 묵도 그렇고,

묵이 식으면 찰찰찰,,,탱글탱글 하잖아요....

 

근데 저는 아무리 설명서대로 요렇게조렇게 해봐도 매번

묵이 흐물거려요..ㅠ   식감이 영 이상...

 

이번에는 홈쇼핑에서 파는 묵가루로 해봤는데요 설명서 고대로 했음에도 똑같아요..ㅠ

 

엄마는 약불로 오래 저으라고 해서 그렇게 했고,

또 마지막에는 뜸을 들여야 한다고 해서 안젓고 몇 분 놔뒀더니 묵 누룽지가 생기네요..

 

제가 한 방법은 가루1, 물6,  소금 조금, 식용유 1숟가락 넣고 휘휘 젓어서

불에 올리고 계속 저음..

끓으면서 묵이 엉기면  불 줄이고 한 10분정도 계속 저음..

2~3분 그대로 뜸들이다가  

그릇에 옮겨 붓고 실온에서 식힘..  

 

그 결과 흐물거리는 묵 탄생....ㅠㅠ

 

대체 뭘 잘못한 걸까요?  ㅜ   찰찰찰 탱글한 도토리묵 먹고파요..

IP : 58.226.xxx.1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8.19 5:42 PM (211.36.xxx.127)

    물이 좀 많은데요

  • 2. ㅇㅇ
    '16.8.19 5:42 PM (211.36.xxx.127)

    전 식용유 안 넣어요
    한 방향으로 젓는 거는 확인하셨죠?

  • 3. monn
    '16.8.19 5:45 PM (1.236.xxx.151)

    설명서대로 하면 절대 탱글탱글 묵 안나옵니다.10분으로는 부족하구요.처음 센불로해서 폭닥폭닥?끓어오르기 시작하면 불 낮춰서 30분이상ㅊ계속 저어줘야해요.오래 끓밀수록 탱글탱글해져서 굳고나서 던지면 튕겨오릅니다

  • 4. silverdonkey
    '16.8.19 5:59 PM (118.200.xxx.174) - 삭제된댓글

    가루 : 물=1:5 가 잘돼요 6은 묽어요
    불도 중강 불에서 계속 끓을때 까지저어주다 퐉퐉 끓음 중약 불로 줄이고 10-15분정도 계속 저어줘야 쫄깃쫄깃 하더라구요.

  • 5. silverdonkey
    '16.8.19 6:05 PM (118.200.xxx.174) - 삭제된댓글

    양이 많으면 오래 저어줘야 해요
    저는 딱 한끼 먹을 만큼해서 15분정도

  • 6. 나무꾼
    '16.8.19 6:44 PM (58.226.xxx.12)

    윽.. 30분이나 더 저으면서 끓여야한다니... 이 더위에 괜히 묵은 만들어먹겠다고 사서는..사서 고생이네요..ㅎ 암튼 날 좀 선선해지면 오래오래 끓여서 다시 재도전 해보겠습니다...~

  • 7. ...
    '16.8.19 7:05 PM (211.104.xxx.172)

    물 5배로 넣고 냉장고에 전날 놔두어요. 쌀 불리듯이요.
    그다음 식용유 조금. 소금 조금 넣어 센불에서 끓이다가 엉기면
    약불에서 총 30분이상 저어줘요. (도토리가루1컵기준)
    중간에 반컵 정도 물 붓고 다시계속 저어줘요
    (국수 끓일때 속 잘익으라고 찬물 부어주는 것처럼요)
    그리고 뚜껑닫고 뜸 들이고 물로 헹군 그릇에 담아 굳히는데
    어느정도 뜨거운 기가 사라지면 랩으로 윗면을 덮어 공기와 닿지 않게하면 껍질이 생기지 않아요
    첨엔 가루 반컵이나 1/3 컵으로 해보세요. 30분까지 안끓여도양이 작으면 금방 수분이 날라가 잘 만들어져요.
    잘되면 점차 양을 늘리시고요.
    많은 양을 하면 한시간 넘게 끓이기도해요.

  • 8. 수분이
    '16.8.19 7:13 PM (49.169.xxx.196)

    많아서 그래요~

  • 9. ...
    '16.8.19 8:08 PM (122.32.xxx.40)

    5배/5.5배/6배 다 괜찮아요.
    단단하고 부드러움의 차이지 탱글거려요.
    기름 소금은 기호인데사실 필요없고요.
    10분쯤 저으면 굳어져요.
    근데 계속 저으면 다시 물러지고 30분쯤 되면 다시 굳는데 주걱을 세우면 어느정도 고정되면 불 끄고 틀에 옮기면 되요~

  • 10. 묵 쑤는 방법
    '16.8.19 8:11 PM (120.136.xxx.239)

    저장 합니다

  • 11. ..
    '16.8.19 9:32 PM (39.119.xxx.30)

    좀 되다 싶게 물붓고.. 끓이다가
    묵 쑤는 중간중간 되직해지면
    옆에 뜨거운 물을 준비했다가 그걸로 부어주세요.
    정말 오래 쑤어야 합니다.
    맑은 유리알 같은 느낌이 들때까지
    묵 누룽지 조금 생기는게.맞아요.

  • 12.
    '16.8.19 9:52 PM (49.169.xxx.8)

    시집가자마자 제일 처음 배운 것이 묵쑤는 것이었어요 ....17년째 묵을 쑤고 있어요
    며느리들이 해 온 묵을 매번 품평하는 시부모님들이시죠 ... 한식대첩 심사위원 저리가라 ~~~

    맛은 가루에 따라 조금씩 다르구요
    빛깔은 국산이 맑고 곱구요

    물의 양은 브랜드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 설명서 대로 하시면 좋구요

    저희 시어머니는 묵은 오래 쑤어야 한다고 주걱이
    잘 돌아가지 않을 때까지 하라고 가르치셔서
    양 많은 날은 1시간 넘게 저어 본 적도 있어요

    그런데 꼭 그래야 탄력이 있는 것은 아니더라구요

    요즘은 한식대첩 출연한 장인이 묵 쑤는 것 따라해요

    먼저 가루와 물의 비율 맞춰 냄비에 넣고 불려요
    30분이상 불린 주걱으로 한번 저어서 불 위에 올려요 그냥 올리면 가루가 가라앉아 뭉칩니다

    그리고 서서히 젓다가 폭폭 끓으면
    들기름과 소금을 넣고 힘차게 15-20분 젓고
    불 끄고 뜸 들여요

    그리고 그릇에 담아 상온에서 굳히기

    시부모님은 탱글탱글에 집착하셔서 너무 스트레스 받았는데
    저나 아이들은 직접 쑤어 먹는 묵 맛 그 자체를 좋아해서 즐겁게 하다보니

    요즘은 탱글탱글 잘 나오네요 .... 성공하세욧

  • 13. ....
    '16.8.20 3:22 PM (219.240.xxx.75)

    탱글탱글한 묵 참고합니다.

  • 14. ^^
    '23.3.25 10:36 AM (222.121.xxx.232)

    도토리묵 쑤는법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5524 학교를 한번도 안나가 교수가 경고하면 교수교체 해주는 이대.. 6 ... 2016/10/12 2,072
605523 궁금합니다 상식의 문제...(편의점) 8 궁금합니다 2016/10/12 1,326
605522 삭제 7 ㅁㅁ 2016/10/12 1,202
605521 버건디 립스틱과 핑크 립글로즈? 추천해 주세요. 5 화장품 무식.. 2016/10/12 1,346
605520 응답하라 다음 74래요 19 응답 2016/10/12 6,437
605519 둘 중에 어떤 게 나을지 3 할 수 있다.. 2016/10/12 425
605518 아파트1층은 얼마 가격 낮춰서 내놔야 하나요? 18 아파트 2016/10/12 5,511
605517 부동산에서 청산금이 뭐에요?? 4 질문 2016/10/12 1,054
605516 건강검진은 꼭 받는 게 좋아요 ... 2016/10/12 1,337
605515 서울 집값 안 내린다에 몇 표 겁니다. 15 저는 2016/10/12 3,886
605514 이걸 속았다고 해야하는지 3 . . . 2016/10/12 961
605513 바이레도 향수 아시는 분? 6 보검매직 2016/10/12 3,872
605512 런던과 파리만 가려는데 2주면 긴가요? 12 여행 2016/10/12 2,218
605511 임신 중단권은 여성의 자유권 2 초코파이 2016/10/12 762
605510 대치동 학원가 주차할 수 있는 곳 좀 가르쳐 주세요 10 대치동 2016/10/12 5,995
605509 요즘 너무 춥네요...보일러 언제부터 트세요? 11 홍콩할매 2016/10/12 3,661
605508 고양이와 같이 있는 시간이 거의 없는데 키우는게 나을까요, 입양.. 12 2016/10/12 1,959
605507 기부나 봉사활동이 운 좋아지는 방법이라는 데 공감하시는 분 있나.. 9 궁금 2016/10/12 2,228
605506 요즘 독감주사 얼마정도 하나요? 8 ㄹㅅ 2016/10/12 1,884
605505 지수..라는 배우 잘 생기거나 연기 잘 하나요? 16 ??? 2016/10/12 2,713
605504 성장기 아이에게 돼지고기만 먹여도 되나요? 5 몰라서 2016/10/12 3,264
605503 1층사는분들.. 이런일흔한가요? 우리집오는것도 아닌데 5 ㅇㅇㅇ 2016/10/12 3,397
605502 카톡에서 짤방 이용할 수 있나요 ?? 환갑할멈 2016/10/12 310
605501 82에 기자들이 많네요. 내가 쓴글 감히 도용하다니~~ 7 푸핫 2016/10/12 2,333
605500 삼성 망할거 보다 우리나라 망할게 더걱정이네요 10 .. 2016/10/12 2,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