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2년된 에어콘. 어느 경우가 전기세 적게 들까요?

... 조회수 : 1,586
작성일 : 2016-08-12 23:20:47
저희집 20평. 거실만 식히고 거의 거실에서만 지내요. 잠도 거실에 나와서 자고요. 실내온도 33이 최고. 33으로 오르면 에어콘 켭니다.
실내온도 27에 맞추고 풍량은 두가지 옵션. 중 또는 강.
저는 온도 27에 중으로 맞추는데 아들이 jtbc에서 실내온도 설정을 18정도로 낮게 낮춰서 실내온도릉 식힌다음 다시 온도 설정을 높히는게 에너지가 절약된다고 했답니다.

즉 아이말은 18로 설정하면 바람세기가 센 바람이 나오는거다 얘기하는데 제 생각은 설정온도가 18도던 27도던 바람의 세기는 일정하게 나오고 18도까지 식히는데 더 오래걸린뿐. 바람의 세기는 같은거다라고 했어요.

어찌 생각해보니 차라리 풍량을 제일 세게 강풍으로 해놓고 실내온도 27로 맟춰놓으면 빨리 실내온도를 식혀주고 얼른 끄는게 27도 약풍으로 놓는거보다 에너지 절약을 하지 않을까 싶어서 여쭤봐요.
IP : 125.177.xxx.17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8.12 11:28 PM (220.75.xxx.29)

    빨리 식히는 게 실외기 돌아가는 시간을 줄이니까요.

  • 2. ..
    '16.8.13 1:28 AM (211.46.xxx.191)

    에어컨 종류마다 다르겠지만.. 전달되는 냉매온이 다른 에어컨도 있습니다.
    최저온 최대 냉방으로 처음에 전체 면적 온도 떨구고.. 18도든 27도든 실외기가 도는건 같은데 소비되는 전력은 다를 수 있습니다.
    현재온도대비 설정온도차에따라서.. 냉방출력이 변화하는 모델이 있는데..
    결론은 토출구 온도나 총열량에 따라서.. 전기소비량이 최고치를 쓰거나, (2단계 전기사용) 평균치를 쓰거나 이러는 수가 있지요..

    또 각 모델에 따라서 기온차에따라 팬속도도 변화하는 모델이 있구요..

    가장 전기를 많이 소비하게 하여 최대 냉각효과로 온도를 일단 떨구는게 중요하고, 그 다음에 적정온선에서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실내온도 아무리 식혀봤자.. 벽,지열,외기유입등의 단열 문제로 온도는 빠르게 다시 상승합니다.

    26도를 원하는데 23도까지 실컷 내려놨다가 에어컨을 끄면.. 23도까지 냉방하는데 쓴 전기 26도로 돌아가는 시간 대비 26도 도달했을때 26도 온도 유지로 돌리는게 더 전기를 적게쓰고 오래 쾌적하다는 이야기죠.
    26도 되자마자 끄면.. 곧 30도로 다시 올라갈겁니다.. 다시 26도 내리기 위해 쓰는 전기소비량이 더 많을거라는것이지요. 에어컨 자체의 팬도 선풍기팬만큼의 효과는 있으니까요..

    이게 최근 에어컨이라고 하면 뭐 차이는 커지구요

    결국 이게 다시 올라가지 않을정도로 식히려면 시간이 오래걸리니 내기온이 원하는 온도까지 내려가면.. 그뒤로는 한동안 온도를 유지하게 해놔서 실외기 가동시간/동작횟수를 줄이는게 좋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5704 생리할때 몸무게 다들 얼마나 느나요...? 4 치즈케이키 2016/08/13 12,368
585703 어제 택시타고가다가 개가 차에 치었어요 24 로드킬 2016/08/13 4,403
585702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인식 3 ........ 2016/08/13 831
585701 노안수술... 3 2016/08/13 2,134
585700 가스 순간 온수기를 구입 하려 하는데. 5 ... 2016/08/13 849
585699 에어컨때문억 머리가 깨지네요 13 사과 2016/08/13 5,052
585698 회사서 불편한 사람이 생겨서 소리지르고 싸웠네요 5 회사 2016/08/13 2,661
585697 지금 50,60대들은 어떤 남편, 아빠였나요? 11 담이 2016/08/13 2,927
585696 인간관계에서 한결같이 좋은 사람 정말 흔하지 않죠? 6 성품 2016/08/13 3,720
585695 결혼한 남녀한정으로 금슬좋은 부부 얘기 나오면 그 집 남편이 아.. 12 ... 2016/08/13 4,466
585694 스시 집에서 3 ..... 2016/08/13 1,551
585693 학습동기부여 안된 아들 인강 별로인가요? 8 ... 2016/08/13 1,794
585692 밖에둔 강된장 쉬었을까요? 2 아까워라 2016/08/13 678
585691 드라마를 썼다고 하는데, 이름은 안 나온다면 무슨 일을 하는 건.. 16 모르는세상 2016/08/13 2,042
585690 여초 직장에서 우아하게 살아남는법 없나요? 4 2016/08/13 3,652
585689 오메가3 ㅡ식물성과 동물성의 학술적인 이해 ........ 2016/08/13 980
585688 요즘 딩크가 많은데 애 둘 가진 저는 뭔지... 89 ㅇㅇ 2016/08/13 20,546
585687 서울 강남에서 살아야 하는 이유.jpg 6 소돼지 2016/08/13 7,099
585686 어제 올린 기사 모음입니다. 2 기사 모음 2016/08/13 485
585685 사촌 오빠가 이혼한 아버지 수술비로 수천만원 드렸다고 26 사촌 동생 2016/08/13 19,192
585684 뭐한테 물렸길래 이토록 미치게 가려울까요? 11 모기? 2016/08/13 3,126
585683 방통심의위 노조도 반발하는 사드 유해성 글 삭제 결정 1 후쿠시마의 .. 2016/08/13 412
585682 개에게 물리면 어느병원으로 가야하나요? 9 2016/08/13 3,711
585681 호텔 투숙객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들 중에 4 질문 2016/08/13 3,193
585680 홈플러스랑 이마트 차이나요? 아님 브랜드 차이가아니라 지점차이인.. 8 .... 2016/08/13 3,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