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2년된 에어콘. 어느 경우가 전기세 적게 들까요?

... 조회수 : 1,586
작성일 : 2016-08-12 23:20:47
저희집 20평. 거실만 식히고 거의 거실에서만 지내요. 잠도 거실에 나와서 자고요. 실내온도 33이 최고. 33으로 오르면 에어콘 켭니다.
실내온도 27에 맞추고 풍량은 두가지 옵션. 중 또는 강.
저는 온도 27에 중으로 맞추는데 아들이 jtbc에서 실내온도 설정을 18정도로 낮게 낮춰서 실내온도릉 식힌다음 다시 온도 설정을 높히는게 에너지가 절약된다고 했답니다.

즉 아이말은 18로 설정하면 바람세기가 센 바람이 나오는거다 얘기하는데 제 생각은 설정온도가 18도던 27도던 바람의 세기는 일정하게 나오고 18도까지 식히는데 더 오래걸린뿐. 바람의 세기는 같은거다라고 했어요.

어찌 생각해보니 차라리 풍량을 제일 세게 강풍으로 해놓고 실내온도 27로 맟춰놓으면 빨리 실내온도를 식혀주고 얼른 끄는게 27도 약풍으로 놓는거보다 에너지 절약을 하지 않을까 싶어서 여쭤봐요.
IP : 125.177.xxx.17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8.12 11:28 PM (220.75.xxx.29)

    빨리 식히는 게 실외기 돌아가는 시간을 줄이니까요.

  • 2. ..
    '16.8.13 1:28 AM (211.46.xxx.191)

    에어컨 종류마다 다르겠지만.. 전달되는 냉매온이 다른 에어컨도 있습니다.
    최저온 최대 냉방으로 처음에 전체 면적 온도 떨구고.. 18도든 27도든 실외기가 도는건 같은데 소비되는 전력은 다를 수 있습니다.
    현재온도대비 설정온도차에따라서.. 냉방출력이 변화하는 모델이 있는데..
    결론은 토출구 온도나 총열량에 따라서.. 전기소비량이 최고치를 쓰거나, (2단계 전기사용) 평균치를 쓰거나 이러는 수가 있지요..

    또 각 모델에 따라서 기온차에따라 팬속도도 변화하는 모델이 있구요..

    가장 전기를 많이 소비하게 하여 최대 냉각효과로 온도를 일단 떨구는게 중요하고, 그 다음에 적정온선에서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실내온도 아무리 식혀봤자.. 벽,지열,외기유입등의 단열 문제로 온도는 빠르게 다시 상승합니다.

    26도를 원하는데 23도까지 실컷 내려놨다가 에어컨을 끄면.. 23도까지 냉방하는데 쓴 전기 26도로 돌아가는 시간 대비 26도 도달했을때 26도 온도 유지로 돌리는게 더 전기를 적게쓰고 오래 쾌적하다는 이야기죠.
    26도 되자마자 끄면.. 곧 30도로 다시 올라갈겁니다.. 다시 26도 내리기 위해 쓰는 전기소비량이 더 많을거라는것이지요. 에어컨 자체의 팬도 선풍기팬만큼의 효과는 있으니까요..

    이게 최근 에어컨이라고 하면 뭐 차이는 커지구요

    결국 이게 다시 올라가지 않을정도로 식히려면 시간이 오래걸리니 내기온이 원하는 온도까지 내려가면.. 그뒤로는 한동안 온도를 유지하게 해놔서 실외기 가동시간/동작횟수를 줄이는게 좋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7688 바보 변호사.JPG 13 감동이네요 2016/08/19 2,263
587687 혹시 주위에 조현증 있는 분들 어떻게들 사시는지... 14 크로바 2016/08/19 3,614
587686 다른 집 개 냄새가 나기도 하나요? 5 ... 2016/08/19 1,275
587685 고루한 성격의 모범생 아이는 어떻게 키워야하나요 9 .. 2016/08/19 1,744
587684 여자가 집안청소는 깨끗이 하면서 자신은 안가꾸는거 바보인가요 35 ㅂᆞㅂ 2016/08/19 7,812
587683 대일밴드 대량으로 사 가지고호사를 하네요 4 구두 2016/08/19 2,524
587682 한번 정떨어지면 마음도 안가고 같이 있기도 싫어요 5 ..... 2016/08/19 3,698
587681 생크림 없어 식초넣고 리코타 치즈 만들었는데요.. 1 이름 2016/08/19 1,315
587680 아롱사태 수육 압력솥 vs 무쇠냄비 1 아롱이 2016/08/19 4,531
587679 카페에서 공부할때 허용될 소음? 23 눈치 2016/08/19 2,304
587678 도대체 언제쯤시원해지나요? 넘더워요! 7 미치겠다 2016/08/19 1,813
587677 계란 보관 케이스 숨구멍 없으면 오래 보관이 안 될까요? 3 더워요 2016/08/19 746
587676 부산에서 기장으로 이사갈려고하는데 2 2016/08/19 985
587675 정말 싫은사람인데 좋게 생각하고 싶을때 어떤 노력을 하세요? 22 해탈하고싶다.. 2016/08/19 4,486
587674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 취소소송” 국민소송단 모집  후쿠시마의 .. 2016/08/19 295
587673 요즘 어딜가나 빨래 덜 마른 냄새를 자주 맡아요 10 .... 2016/08/19 4,041
587672 해*콜 브런치팬... 잘 되나요? 살까말까 망설... 10 .. 2016/08/19 2,635
587671 길냥이들 진드기약이나 심장사상충약 저렴히 살곳 있을까요? 4 질문 2016/08/19 848
587670 기사) 이진욱 사건 영장 또 기각된 의미는? 3 ㅇㅇ 2016/08/19 2,514
587669 약. 어떻게 버리세요? 5 ** 2016/08/19 1,064
587668 네이버 날씨 또 은근슬쩍 바꿔놨네요 1 망할 2016/08/19 1,685
587667 카페가 가맹점인지 직영점인지 구분이 딱 되나요? .. 2016/08/19 664
587666 부모님 식사..대전 맛집좀 알려주세요.. 8 ... 2016/08/19 1,661
587665 호텔 같은 우리 집...자랑 좀 할게요 80 ss 2016/08/19 28,599
587664 썬글라스끼면 좀 차가워 보이나요? 개저씨들 개짜증 13 ㅁㅁ 2016/08/19 2,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