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적성무시하고 무조건 인서울 하면

나중에 후회하나요 조회수 : 3,028
작성일 : 2016-08-12 13:16:57

문과라 크게 취업에 관련된 과 아니라도 나중에 적성에 맞게 자기가 하고 싶은거

하라고 무조건 인서울만 하라고 했어요


그랬더니 아이가 자기는 무조건 적성에 맞는과만 가겠다고하네요

적성에 맞는 과는 다 높아서 좀 무리인데 상향으로 써야하고


그냥 좀 낮은과는 충분히 갈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정치외교, 일어일문, 독어독문, 불어불문, 철학


아이가 펄쩍 뛰며 절대로 그런과는 안간다고 하네요

모의고사 성적이 너무 안나와서정시는 생각도 못하고 무조건 수시로 가야하거든요

재수도 절대로 안한다고 하고


저는 낮은과 가서 붙고 복수전공이나 전과 생각하라고 했는데

아이가 고집을 부리니 어쩌면 좋나요


다 떨어지면 기술 배우겠다고 하는데..........

눈만 높아가지고  상황 파악을 못하는데요

IP : 211.37.xxx.6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ㅅㅅ
    '16.8.12 1:18 PM (182.222.xxx.32)

    헉 제가 쓴 글인줄 알았음요...
    어찌 이리 똑같을까요?

  • 2. 경험
    '16.8.12 1:19 PM (121.166.xxx.237)

    인서울 쉽지않은거 아시죠?
    두세요 시험치고나서 고민해도 늦지않아요
    지금 그러는거 큰의미없어요
    수시든정시든 입시 너무어려워요

  • 3. ......
    '16.8.12 1:19 PM (125.186.xxx.68) - 삭제된댓글

    적성에도 안맞는 문과 4년 꾸역꾸역 공부하고 나와서 뭐해먹고 살라구요?
    지금 예로 드신 학과들은 완전 비인기학과에다 공부도 쉽지 않아요.
    자기가 하고싶은 공부하면 오히려 길이 많지요.
    인서울은 이제 하나도 안중요해요.
    자기 분야에서 얼마나 잘하느냐 문제죠.

  • 4. 나중에
    '16.8.12 1:25 PM (1.239.xxx.146) - 삭제된댓글

    무슨 원망을 들을려구요?제 조카 적성에 안맞는과 학교만 보고 갔다가 결국 자퇴하고 수능 다시봐서 갔어요.복수전공은 하고 싶다고 다 할수있는게 아니예요.학교마다 다르지만 4.3 이상이어야 하는 학교도 있고..

  • 5. 낮고 높은건
    '16.8.12 1:27 PM (14.52.xxx.171) - 삭제된댓글

    뚜껑 열어봐야 알아요
    정시에선 선호도와 입결이 정반대로 나오는 경우가 더 많구요
    수시에선 선호도 따라 경쟁율은 올라간다지만
    그 경쟁률 중에서 최저기준 충족시킨 애들이 얼마나 되는지는 또 아무도 모르죠
    일단 애가 싫다는건 시키지마세요,나중에 다 엄마핑계로 원망만 늘어요

  • 6. 그러니까
    '16.8.12 1:29 PM (119.14.xxx.20)

    학생은 지방대라도 적성 찾아 가겠단 거죠?
    그렇다면 오히려 생각 있는 학생 아닌가 싶어요.

    높다고 하시는 걸 보니, 경영/경제나 요즘은 미디어 관련과들도 성적이 좋아야 가던데, 그런 쪽이 아닌가 싶어요.
    복전/전과는 정말 힘들어요.

    그게 아니라, 무조건 인서울 상향으로만 쓰겠다고 고집하는 거면, 얘기가 달라지고요.

  • 7. ㅇㅇ
    '16.8.12 1:30 PM (211.237.xxx.105)

    82쿡에서 정말 현실과 동떨어진 답변 다는게 몇가지 있는데 그게 바로
    복수전공과 전과예요.
    복수전공과 전과 엄청 힘들고 거의 가능성도 없는건데.. 너무들 쉽게 말씀하셔서..

  • 8. 윗님
    '16.8.12 1:34 PM (223.62.xxx.40)

    말이 맞아요 생각없이 복수전공.전과 얘기 하는사람들은 도대체 언제 대학을 다녔는지..시대에 뒤떨어진 현실성이 없는 말만 하고...

  • 9. 저기요
    '16.8.12 1:35 PM (122.34.xxx.207)

    문과니 의대 약대는 아니고 미디어나 광고나 그런쪽이죠?
    그냥 인서울 보내는게 맞긴해요. 어차피 그런곳은 전공이 아무 의미없는 거고..
    진짜 아이디어랑 실력이에요.
    문과는 과따지는게 아니라 학교따진다는게 진짜죠.
    게다가 전과는 어려운 거지만 복수전공 이중전공은 차고 널려요.
    경영 경제 그런과는 정원이 50이라도 복수 부전공 이중전공은 백명이 넘어요.,
    그런상태에서 원전공은 의미가 덜하죠. 미디어나 광고도 그런 학생이 많구요.

    근데 따님이 그렇게 반응한다는게... 어려서 그럴수도있고 진짜 자기 고집대로 하고싶어서.....
    아직 어린 학생은 전공이 직업이라고 믿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는 그 전공하는 멘토 붙여서 얘기하는데 더 빠를 수는 있겠네요.
    글보니 고3인가본데.. 좀 급하시겠어요.

  • 10.
    '16.8.12 2:01 PM (165.194.xxx.102) - 삭제된댓글

    문과는 차라리 학교라도 네임 밸류가 좀 있는 곳이 나아요.
    전공 좀 나은 거 했다고 취업이 잘 되는 것도 아니고 상경계도 취업하기 힘든 세상이에요.
    미디어나 광고 쪽은 그 전공 했다고 그 분야로 취업되는 것도 아니고요.
    복수전공은 학교마다 하기 쉬운지 어려운지가 다른데 졸업하고 얼마나 인정 받는지도 문제예요.

  • 11. ..
    '16.8.12 2:07 PM (210.90.xxx.6)

    복수전공이나 전과가 그렇게 말처럼 쉽지 않아요.
    전과해도 적응하기도 쉽지 않고요. 인기학과나 입결 높은과에 낮은 과에서
    전과해 오면 인정 안해주는 경우 많아요.

  • 12. ㄴㄴ
    '16.8.12 2:13 PM (14.52.xxx.171) - 삭제된댓글

    복수전공이 잘 되는 학교가 따로 있어요
    서강대 이대는 잘되요ㅡ복전이 필수인 학과도 있구요
    전과도 생각보다 주위에 많긴 한데 어차피 애들이 빠져나간 과가 좋은 과가 아니라서 그게 그거인것 같아요
    입시도 그렇고 들어가서 복전 전과도 그렇고 꼭 여기서 묻지마시고 학교 요강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13. 문과는
    '16.8.12 2:18 PM (218.50.xxx.151)

    전공보다 학교 레벨이 훨씬 더 중요해요.
    자기 비위에 맞지 않으면 무조건 다 시대에 뒤쳐졌다니....말을 말죠.

  • 14. ...
    '16.8.12 2:37 PM (175.114.xxx.217)

    전과제도가 잘되어 있는 학교가 경희대, 건국대, 동국대
    인데 중요한것은 이 학교에서도 인기과(경영, 경제등)
    학점이 4점이 넘어야 해요. 경쟁률이 어마어마해서요.
    인기 덜한과들은 규정에 나온 학점 이상만 되면 되구요.
    경쟁률이 1 이하인 과도 많으니까요.
    근데 경희 건국 동국 문과는 특히 수시는 1등급이어야
    갑니다. 들어가기 힘들어요.

  • 15.
    '16.8.12 2:44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문과는 학교 타이틀이 우선이죠.
    적성 따지면 그 적성에 맞는 학과 전공해서 박사하고 교수한대요?
    취업은 자신 있대요?

  • 16. gg
    '16.8.12 3:30 PM (119.200.xxx.6)

    문과는 학교 타이틀이라는 할머니들의 쌍팔년 얘기도 82 단골 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8568 꿈 맞았던 경험 얘기해주세요~~ 4 2016/08/22 1,003
588567 집안 곳곳을 사진으로 찍어서 보세요 6 돼지우리 2016/08/22 3,568
588566 추락사한 adhd 7세 아이 기저귀만 차고 있었대요 12 .... 2016/08/22 6,721
588565 초등학교때 1~2년 해외 나갔다온 아이들 한국어 영향받나요? 2 궁금해요 2016/08/22 1,206
588564 날씨가 이렇게 더운데 통조림.멸균우유는 괜찮을까요. 1 통조림 2016/08/22 910
588563 렌트카와 접촉사고 ㅠㅠㅠ 2 Help m.. 2016/08/22 2,758
588562 전 회사까지 와서 청첩장 돌리는 사람 13 이해불가 2016/08/22 4,282
588561 초중고 친구들과 연락하는데 1 ㅇㅇ 2016/08/22 854
588560 어제올린 왕십리 상가 매매 관련 다시한번 질문드려요 3 ryumin.. 2016/08/22 1,147
588559 길고양이 카라에가면 받아주나요? 14 냥아 2016/08/22 1,129
588558 유통기한 지난 베지밀 먹어도 될까요? 5 양파 2016/08/22 4,397
588557 일반인 여자인데 발이 250보다 큰 분들 많으신가요? 22 .... 2016/08/22 10,410
588556 가락시장과 소래포구중 회가 어디가 좋을까요? 11 2016/08/22 1,971
588555 양배추 채썬거 먹을 때 소스좀 알려주세요 6 아주 2016/08/22 1,983
588554 조리원 나가는 순간 헬 이라던데... 왜죠 18 kol 2016/08/22 4,997
588553 법원 검찰 경찰 죄다 못 믿겠어요 6 사법불신 2016/08/22 932
588552 풋귤청 맛이 어떤가요?? 4 2016/08/22 1,161
588551 선풍기 마트가면 살수있나요? 10 ㅇㅇ 2016/08/22 1,564
588550 대명콘도 이불 정말 짜증나지 않나요? 7 대명 2016/08/22 4,618
588549 중학생 아이 책상의자 회전되도 괜찮을까요 1 ㅇㅇ 2016/08/22 652
588548 홍진영 부친 뉴라이트. mb땐 유세반장 22 쥐새끼 2016/08/22 4,722
588547 나 잘난줄만 아는 잘난 자식과 한없이 효자인 못난 자식중에 17 .. 2016/08/22 3,589
588546 브라 내장된 튜브탑이요 3 찾아요 2016/08/22 1,563
588545 올여름이 다른해에 비해서 더 더운건가요? 25 ㅇㅇㅇ 2016/08/22 3,543
588544 직장생활에서 이런경우 어찌하시나요 12 힘내라도토리.. 2016/08/22 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