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말린나물중에서 좀 부드러운거좀 알려주세요

예비새댁 조회수 : 785
작성일 : 2016-07-16 08:08:14

말린 취나물은 좀 질기더라구요

제가 솜씨가 부족해서 그런지...

말린 나물 중에서 좀 부드러운게 어떤건가요?

 

IP : 220.71.xxx.22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7.16 8:14 AM (110.70.xxx.153)

    같은 나물이어도 상태가 다르겠지요.
    제가 볼때는 끓는 물에 불리지 않은 마른 나물을 바로 넣어서 원하는 만큼 무르게 삶아서
    그물에 그대로 담가서 식히세요.
    그후에 찬물 갈아가면서 몇번 우려내고요.
    그러면 크게 질기지 않아요.
    시래기는 소주를 넣으니 잡내도 제거되고 잘 무르는 기분이 들어요.
    물론 좋은 상태로 잘 말린 시래기면 더 쉽겠지요.

  • 2. 나물
    '16.7.16 8:15 AM (211.36.xxx.72)

    다래순이 부드러워요

  • 3.
    '16.7.16 8:27 AM (122.34.xxx.30)

    나물 종류를 가리기보다 조리 방법을 제대로 숙지하면 돼요.

    --- 취나물 같은 푸른 잎 나물은
    1. 물이 끓을 때 불리지 않은 채 나물을 넣고 15분쯤 삶은 뒤
    2. 꺼내서 찬물에 씻지 말고 그대로 끓인물 냄비에서 식을 때까지 둡니다. (보통 6~7시간 이상 걸리죠)
    3. 그후에 찬물에 깨끗하게 여러번 씻은 뒤 양념하면 돼요.

    ---- 고사리나 고마순 같은 줄기 나무 류는 푸른잎 나물보다 5분 정도 더 삶아야 부드러워집니다.

  • 4. 아 그렇군요
    '16.7.16 8:42 AM (220.71.xxx.222)

    불리지 않고 삶는거군요.
    저는 푸욱 불린후 데쳤어요
    하나 더요
    말린 가지도 저는 껍질이 너무 질겼어요
    그것도 끓는물에 데치면 될까요?
    말린 도라지도 어떻게 해먹고 싶은데 엄두가 안나요
    도라지무침도 질긴데 마른것은 얼마나 질길까 하구요

  • 5. ㅁㄴㅇ
    '16.7.16 10:26 AM (59.1.xxx.33)

    윗분들에 이어서
    다 삶아서 찬물에 우려서 물기 꼭 짜고 적당히 썰어서
    웍에 기름 두르고 볶다가 멸치다시마 육수 조금 붓고 살짝 끓이듯이 볶아보세요
    끝내주게 부드럽습니다

  • 6. ...
    '16.7.16 12:24 PM (125.186.xxx.13) - 삭제된댓글

    끓는 물에 데치는게 아니구요 삶아야해요
    삶으면서 줄기가 부드러워졌는지 만져보세요
    도라지도 삶으면 부드러워 진답니다
    가지나 도라지는 삶아서 바로 냉수에 행구시구요
    묵나물종류는 삶아서 그대로 냄비에 둔후 물이 식으면 냉수에 헹궈서 담갔다가우려냅니다

  • 7. ...
    '16.7.16 3:17 PM (223.62.xxx.76)

    배워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8083 지나가다 강아지에게 물렸어요 3 바지에 구멍.. 2016/07/19 1,950
578082 용인에 아파트 지어대는거 보니 걱정되요. 52 용인 2016/07/19 22,716
578081 중3 하위권 수학 방학특강 3 . . 2016/07/19 1,697
578080 고등 수행평가 이찌 해야 하나요? 3 웃자 2016/07/19 1,337
578079 지마켓, 11번가, 옥션 어디 이용하세요? 13 온라인쇼핑 2016/07/19 2,972
578078 무선 다리미 어떤가요? 9 다리자 2016/07/19 3,208
578077 율무라면 제가 좀 아는데, 99 ㄱㄱ 2016/07/19 34,622
578076 파인애플식초 끓여도 되나요? 4 다요트힘들어.. 2016/07/19 1,396
578075 냉동 모짜렐라 활용요리 부탁요. 5 ... 2016/07/19 946
578074 흑설탕팩이 엿이 되었어요 ㅠ 실패인가요? 12 쿠쿠 2016/07/19 2,078
578073 매수할집에 빚이 많음 위험할까요? 18 이사 2016/07/19 2,438
578072 차사면 보험료가 오르나요? 6 돈이 걱정 2016/07/19 831
578071 집에서 나는 이 기체의 정체, 도대체 뭘까요? 3 냄새 2016/07/19 1,637
578070 벽걸이 추천부탁합니다 1 사과향 2016/07/19 526
578069 바로아래 웃긴글인지뭔지 클릭하지마세요!!!! 1 바이러스글 2016/07/19 565
578068 이 뉴스를 보니 82 연령대가 대충 60대 이상 같네요. 10 82 연령대.. 2016/07/19 2,392
578067 잉어를 고아 먹었는데 몸에서 열기가 느껴지는건 좋은건가요? 꼬마사과 2016/07/19 585
578066 서울시내 자연식. 식당 추천해주세요..^^ 16 스테파니11.. 2016/07/19 1,774
578065 패션에 대해 물으면 기분 좋아요 ㅎㅎ 42 ㅇㅇ 2016/07/19 6,390
578064 우울증약 처방 받고 싶은데 병원 추천해주세요 1 마토 2016/07/19 646
578063 후쿠시마옆 현에서 생산한제품을 포장해요 2 이럴땐 2016/07/19 1,358
578062 4 5학년 어린이등 하루 공부 몇시간이나 하나요? 14 .... 2016/07/19 2,845
578061 알러지 비염약 먹었더니 살꺼 같네요 4 ttt 2016/07/19 1,888
578060 어느정도까지 차이나는 결혼 보셨나요 9 ㅇㅇ 2016/07/19 4,835
578059 ... 48 슬픈... 2016/07/19 23,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