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불확실성이 주는 폭력을 어떻게 극복

ㅇㅇ 조회수 : 1,332
작성일 : 2016-07-06 20:57:00

하세요..

눈에 보이는 문제가 아니라

겉으로 아무 문제 없어도 전 문득문득

아무것도 보장된게 없다는 생각이 들때마다

제 자신이 유목민 같다는 생각이 들때마다

무섭기까지 해요..


글읽다가 굶어 죽은 사람들 얘기 읽으면

정말로 굶어서 죽을수도 있구나....


난 어떻게 죽을까..

아무것도 없는데...내집도 ..번듯한 직장도..

든든한 가족도 없는데...


농담으로 설마 굶기야 하겠냐는 말을 하지만

실제로 어떤일도 일어날수 있다는 생각이 들때마다


왜들 가정을 이루고 가정의 울타리 안에서 사는지

이해가 가더라는.....


또는 공황장애라는 병도 이해가 가고..


다들 불확실성의 폭력을 어떻게 견디시는지..

IP : 211.37.xxx.154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qqq
    '16.7.6 9:07 PM (223.62.xxx.73)

    가정도 똑같습니다. 불확실성은
    심지어 문제가 발생하면 내뜻대로 깔끔히 정리도 안됩니다. 늘 바람불면 흔들리고 출렁거리며 살아가는것같습니다.

  • 2. --
    '16.7.6 9:27 PM (14.49.xxx.182)

    가정이야말로 어떤일도 일어날수 있죠. 나는 통제되지만 남은 통제 안되는데 가정을 이루고 사는게 훨씬더 불확실성이 큽니다. 그냥 사는 거지요 극복은 못해요.

  • 3. 많이 생각하면 머리 아파서
    '16.7.6 9:28 PM (211.205.xxx.148)

    그냥 운명이거니 하고 살아요. 자살하거니, 타살되거니, 병으로 죽거니, 사고로 죽거니, 노쇠하여 자연사하거니, 갑자기 돌연사하거니....태어난 이상 빈부귀천에 관계없이 각자에게 해당된 죽음은 있겠죠. 가난이 사람을 죽이는 것보다도 굶어 죽을거라는 공포심이 자살로 사람을 더 죽이겠죠. 막말로 죄 짓고 감옥에 가도 밥은 주잖아요. 기초생활 수급자 규정도 있고,... 의식주 문제와 사랑(번식과 관계되거나 공존과 관계된))과 죽음, 외로움과 문화 예술, 불안관 안정같은 감정같은 것은 종이 멸하지 않는한 인간의 영원한 테마죠. 머리를 비우고 규칙적으로 생활하고 생계에 힘쓰면 그런 감정도 덜들고, 서민인 사람들의 젊음의 홍역 치르듯 그런 감정도 바람처럼 물결처럼 지나갈것 같은데요.

  • 4. ;;;;;;;;;;
    '16.7.6 9:30 PM (222.98.xxx.77)

    걱정도취미 생활이라고 떨치고 일상 사세요.

  • 5. 내비도
    '16.7.6 9:35 PM (121.167.xxx.172)

    오히려 불확실성 때문에 살아가는 건 아닐까 생각해요.
    인간은 결핍과 궁핍, 갈망이 없으면 살아가지 못할 것 같아요.
    모든 것이 다 정해져 있다면, 사람은 무엇을 위해 살아가나요.
    자신이 바라는 것만 정해져 있다면야 좋겠지만,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모든 것이 정해져 있다면, 기억하고 사고하는 인간의 뇌는 가장 큰 재앙이 될거예요.

  • 6. 안전이란 미신 같은 것이다.
    '16.7.6 9:41 PM (203.230.xxx.131) - 삭제된댓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며,
    일반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위험을 회피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보면
    솔직히 노출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지 못하다.
    인생이란 과감한 모험이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 헬렌 켈러

    인생이 원래 그렇다는 것을 인정해야지요. 머.. 위안이라면 나한테만 그런 것도 아니고 누구한테나 그렇다는 것. 가정이 있어도 울타리가 되지 못하는 가정도 부지기수라는거~

  • 7. 이츠프리리
    '16.7.7 1:50 AM (223.62.xxx.71) - 삭제된댓글

    화ㅏㅑㅕㅛㅎㄹ

  • 8. ....
    '16.7.7 2:17 AM (211.108.xxx.216)

    죽는 건 다 똑같아요.

    후회하는 사람은 과거에 얽매여 사느라 현재를 놓치고
    걱정하는(불안해하는) 사람은 미래에 얽매여 사느라 현재를 놓칩니다.
    지금 이 순간 우리는 굶지도 않고 숨을 쉬며 살아 있잖아요.
    엉뚱한 데 정신 팔지 말고 숨이 들어오고 나가는 한 순간 한 순간의 소중함을 온전히 느껴보세요.
    그래서 숱한 종교인들과 영성가들이 그토록 강조하는 거예요. 지금, 여기에 깨어 있으라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3677 65세 엄마 친구분들과 일본여행지 추천 부탁합니다. 1 ^^ 2016/07/07 1,023
573676 피아노 콩쿠르대회 문의드립니다.. 6 더운여름 2016/07/07 1,318
573675 스팀 청소기 뭐 쓰세요?? 3 ... 2016/07/07 1,097
573674 달러환율 어떻게 될까요?? ***** 2016/07/07 498
573673 미국 살다온 중학생..영어 80점대에요 26 ㅠㅠ 2016/07/07 6,634
573672 식기세척기 린스, 구연산이나 식초로 대체 방법 문의드려요. 3 ... 2016/07/07 7,705
573671 아이가 학원을 5월24일에 첨 갔는데요 10 중딩수학 2016/07/07 1,471
573670 [만평] 35억짜리 크리에이티브 2 창조세금도둑.. 2016/07/07 890
573669 어머니들 안경알 보통 얼마정도 하나요? 5 안경 2016/07/07 1,377
573668 고등학생이 쓸만한 진동이어폰이요 진동이어폰 2016/07/07 436
573667 중간이 없어요 청소스타일. 10 힘들어 2016/07/07 2,743
573666 시어미니 앞에서 '너 대학나온거 맞냐?' 13 우울 2016/07/07 3,705
573665 양날의 칼 된 롯데의 반일반한 셔틀..재산세 80원... 3 ... 2016/07/07 1,146
573664 싱가폴 밤에 도착해 마리나베이샌즈 가려면 8 동글 2016/07/07 1,620
573663 키즈폰 준2 as 받아보신 분? 2 키즈폰 2016/07/07 2,227
573662 중1 ..책 어떤거 읽어야 할까요..추천좀 해주세요 9 .. 2016/07/07 851
573661 서울 남부 지방 전세가 하락 반전이예요. 10 서울 남부 2016/07/07 3,585
573660 다이어트 중... 저 지금 잘되가고 있는 것 맞을까요? 6 dd 2016/07/07 1,696
573659 샌프란에서 금문교위로(소살리토쪽?)이 더 추운거 맞죠? 5 ㅇㅇ 2016/07/07 849
573658 로이창과 페어창이 많이 차이날까요. 4 샤시 2016/07/07 4,537
573657 혹 부동산이나 법과 관련 잘 아시는 분 도와주세요. 4 미라클 2016/07/07 723
573656 김포 풍무동 사시는분이나 아파트 잘 아시는분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7 매매전세 2016/07/07 2,990
573655 늘어나는 빈집 임대주택으로 활용 3 대한민국 2016/07/07 1,608
573654 하와이는 몇 월에 가는 게 가장 좋나요? 9 여행 2016/07/07 4,008
573653 MLB 김현수선수요. 요즘 안타만 주로 많이 치는데 괜찮은건가.. 10 몰라서요 2016/07/07 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