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심리학이나 상담 공부해보신 분

아줌마 조회수 : 1,872
작성일 : 2016-07-03 10:53:45

40대 중반인데요

인문학부 전공이었어서 외국에 나가서 석사학위땄고요

지금이 인생의 전환기라고 느껴요..

주위 또래들은 이제 자기 인생 다 끝난 것처럼 자식에 집중하고 교육시키느라 난린데

저도 금쪽같은 새끼들이 있지만

그보다는 사실 내 인생을 잘사는게 더 중헌디...이렇게 느끼거든요


몇 년 전부터 새로이 관심을 가진 분야는 심리학쪽이에요

어떤 커리어나 돈을 벌려고 하는게 아니고

제 남은 인생을 더 풍요롭게 살며 더 삶을 나누고 싶어서

또다시 새로운 공부를 시작해 보고 싶거든요

상담이냐..심리학이냐..두 가지를 놓고 가늠해보고 있어요


상담은,,사람들과 더 가까이 있고 , 실제적으로 대안학교나 작은 커뮤니티 중심으로

봉사를 할 수 있을거 같고

세월호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또 달려가서

물리적 외상 말고 맘을 들어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끌려요.

하지만,

사람에게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분석하는 듯한 상담자의 태도나

상담자의 가치관이 온전히 상담안에 투영된다는 것에 대한 회의가 있어요.

그리고 수련시간도 지나치게 길고 비용이 많이 들어서

그런 일들로 또 한참을 보내는게 맘에 걸리고요.

상담이란 것이 사람맘에 대한 공부라서 오랜 노력이 필요한건데

어설프게 배우는 건 또 싫고요.


심리학은..사회심리학 쪽에 관심이 있어요

어떤 집단적인 심리를 사회적 관점에서 풀어내 보고 싶고요

제가 관심갖고 있는 작은 커뮤니티가 있는데

그런 곳에서 서로 주고 받으며 배우고 교육하고 소통하는 일 하고 싶어요.


이러다가도,

그냥 책만 읽고 아마추어 수준으로 공부해도 소통하고 남들 돕는데 충분할 것 같기도 하고...

아아...고민이 됩니다.


조언 주실 수 있는 분...꾸벅..잘 받겠습니다

IP : 50.137.xxx.13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심리학은
    '16.7.3 11:16 AM (1.176.xxx.252)

    그냥 방법론입니다.

    많은 경험과 인간에 대한 애착과 호기심이 없이는 나누는것도 참 힘듭니다.

    저 아는 분은 심리학을 배우고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

    시골에 들어가서 산수화 그려요.

    자신 누군지 알게된거죠.

    공부해보세요.
    그러나 그걸 어디에 쓸껀지는 끝내고 생각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 2. 제가
    '16.7.3 11:23 AM (223.62.xxx.93)

    심리학 전공했는데요
    배우면서 얻은것은 제 자신 컴플렉스롤
    극복할수있었다는것과 다른 사람도
    나와 같은 나약한 인간이구나 하는것이였어요
    제 자신한테는 많이 도움이 되었지만
    글쎄요 다를 사람들을 상담해주고 한다는것은
    겁이나요 상담교사하려고 상담을 주로 했지만
    어려운 일이죠
    전공한거에 후회는 없지만 지금은 전혀 상관없는
    일을 하고있네요

  • 3. ...
    '16.7.3 12:57 PM (222.112.xxx.230)

    저도 잘모르지만
    제가 느낀건 요즘 세상엔 방법론은 수만가지인거 같아요.
    심리학 공부를 통해 봉사를 한다는 건 그 방법론을 통해 대상을 실험한다는 접근일거 같구
    그 대상의 특수성 때문에 과연 그 본질에 대한 책임감을 어떻게 극복하실 건지도 생각해봐야 할 부분인 거 같아요,
    그냥 생각나는 거 적었어요.
    심리학의 심자도 모르지만 제 생각입니다.

  • 4. 원글
    '16.7.3 1:13 PM (50.137.xxx.131)

    아..심리학 공부를 통해 봉사 한다는 건
    대상 실험한다는 생각은 아니에요.
    제가 요새 대학에서 재미로 심리학 수업 듣고 있는데
    예전과 달리 기껏 학부 공부, 교과서 보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가 좀 깊어지는 거 같은 느낌이 들어서요
    참 좋더라고요.
    아..절망하지 않아도 되는구나
    아..사람들 다 다르구나..이렇게요.

    그래서 이 사회를 좀 더 이해해보고 싶고,
    제가 속한 커뮤니티에서 좀 더 포괄적인 눈으로 자신과 상대를 바라보고 싶은 맘이 들었던 거에요.

    상담은,,
    개인적으로 경험을 하면 할수록 (몇 번의 상담 받은 경험?)
    조금 더 직접적인 관계를 맺으면서도 자칫하면 해악도 클 것 같은 생각도 들더군요.

    같은 공부를 해보시고 같은 고민을 해보신 분들의 조언이 궁금해서요

  • 5. ...
    '16.7.3 1:32 PM (223.62.xxx.16) - 삭제된댓글

    심리학 공부가 선행되어야 상담이 가능해요.
    어느분께 어떤 상담을 받으셨는지 모르지만
    개인적인 가치관을 투영하는 상담사는 상담사로서
    자격이 부족한 거에요.
    상담사가 가장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 자신의
    가치관, 편견, 개인적인 경험으로 내담자의 상황을
    왜곡하지 않는거에요.
    심리학을 공부하시고 이걸 학문에 적용할지
    상담에 적용할지 자기수련에 적용할지 등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6. ...
    '16.7.3 1:37 PM (222.112.xxx.230)

    댓글 보니 이런 생각도 드네요
    경험만큼의 공부는 없다
    어떤 추상적인 걸 형상화 하는 게 본질이 아닌
    혼자사는 게 아닌 사회에 적응하면서 사는게 그 목적이라면
    그 대상이 겪는 아픔을 사회에 어떤 현상에 대한 부작용(?)이라고만 생각지 않는다면
    (부정적 단어뿐이 생각이 안나네요)
    지금 님께서 가진 그 긍정적 에너지를 그들과 함께 하는 게 가장 좋은 거가 아닐까
    감히 적습니다
    죄송합니다.

  • 7. 원글
    '16.7.3 2:40 PM (50.137.xxx.131)

    성의있는 답변들 모두 도움이 됩니다.

    설익은 공부를 하는 사람은
    내가 아는그 하나와 반대되는 의견과 마주칠때 핏대를 올린다고 하지요.
    저도 그런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서
    깊이 있는 공부를 하고 싶어요.


    그런데 이제 중년의 나이에 입문?하면서 드는 또다른 생각은
    더 정결해지길, 더 깊이가 있어지길...고대하며
    아직도 멀었어 멀었어..이렇게 나 자신을 채찍질하며 달려왔는데
    정작 내가 이 세상에 온 목적인
    나 자신과 이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나아가서 사랑하고
    내 가진 것을 얼마나 흘려보냈는가..에 대해서 자꾸 회의가 생기더라고요.

    그래서 공부를 시작하는 설레임이 있으면서도
    자꾸 돌아보게 되고, 망설이게 되어요.

    내 지적허영심?을 채우기 위한 노력은 (이것도 일부는 선한 동기가 된다고 생각합니다만)
    이제 좀 지양하고 싶어서요.

    윗님의 댓글은 좋은 내용을 담고 있는것 같은데
    제 질문이 추상적이어서 그런지 댓글또한 제게는 명확하게 다가오지 않아서 아쉬워요
    혹시 지나가다 또 들르시면 좀더 설명해주시면 되움이 될 듯..

    생각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3777 싱가폴 여행 가보신분.. 8 dd 2016/07/05 2,475
573776 휜다리 경험자님~~ 11 아이고 2016/07/05 2,422
573775 가라오케는 뭐하고 노는데인가요? 7 ... 2016/07/05 9,298
573774 김치찌개말고 돼지목살넣고 할수있는 찌개 있나요? 6 궁금 2016/07/05 1,729
573773 청와대에서 새누리당 의원들만 초청 하나요? ^^ 2016/07/05 499
573772 선생님이 화를 너무 자주내서, 잔뜩 겁먹은 아이 어떻해야 할까요.. 6 웃자0 2016/07/05 2,027
573771 요즘 기사식당 2 아님 2016/07/05 1,382
573770 디지털 피아노를 살려고 해요,, 어떤걸 사야 할까요?? 꼭좀,,.. 6 피아노 2016/07/05 1,482
573769 사이판 마나가하섬 다녀오신 분들께 질문이요~ 9 월드리조트 2016/07/05 4,065
573768 1년 미국 일정 가야하겠지요?? 4 미쿡 2016/07/05 963
573767 중국 패키지 여행시에 환전 3 나마야 2016/07/05 1,092
573766 자존감 높다/낮다의 기준은 뭔가요? 29 자존 2016/07/05 6,670
573765 이지케이 사용해 보신 분 급 도움요청.. 2016/07/05 3,346
573764 가장 좋은 식기세척기 추천해 주세요 8 ... 2016/07/05 5,262
573763 서울 경기 인근에 수박밭 체험할 수 있는데 있을까요? 1 .. 2016/07/05 736
573762 나를 찾는 사람이 없어 외로운거. 9 2016/07/05 3,688
573761 국민을 무서워하지 않으면서 왜 보도간섭? 3 ㅇㅇ 2016/07/05 522
573760 또 오해영.. 예지원 4 .. 2016/07/05 4,080
573759 러쉬아워 보드게임 차량에서 가능할까요? 7 .. 2016/07/05 794
573758 38사기동대 악역들 목소리 너무 좋네요 7 ,,,,, 2016/07/05 1,603
573757 삼시세끼 고창편 1회 초반에 나온 팝송 1 팝송제목 2016/07/05 1,479
573756 혈압주의..박근혜가 국내여행으로 경제 살리랍니다 11 미친X 2016/07/05 3,354
573755 엠네스티: 한상균 위원장에 징역 5년 선고, 평화 시위 위축시켜.. 1 ........ 2016/07/05 559
573754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좋아하는 한국 음식 뭐가 있을까요? 4 손님 2016/07/05 1,370
573753 넌센스 연극 부모님 보시기 재미있을까요? 3 82쿡스 2016/07/05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