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을 잘하는데 싫어할 수 있나요?

Ddd 조회수 : 933
작성일 : 2016-07-01 11:18:12
중3아들 이야기인데 수학문제 푸는걸 너무 싫어해요.
학원숙제땜에 수학문제만 풀라고 하면 몇시간동안 멍때리고 앉아서 하염없이 시간을 보내요. 다른 과목은 저정도는 아닌데... 근데 또 막상 시험보면 점수는 잘 나오니 몰라서 그러는건 아닌거 같은데 뭐가 문제일까요...?
본인은 이과를 간다는데 이런 아이 이과가면 안되겠죠?
IP : 14.35.xxx.1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7.1 11:22 AM (119.67.xxx.194)

    잘한다고 좋아하는 거 아니고
    좋아한다고 잘하는 거 아니죠.
    수학머리는 있어서 잘하지만
    좋아하지 않을 수 있는 거 당연해요.
    그런데 본인이 이과 간다면 왜 말려요.

  • 2. ㅡㅡ
    '16.7.1 11:26 AM (223.62.xxx.95)

    저요^^;
    수학을 젤 잘하는데 문제푸는건 정말 싫었어요.
    그렇지만 중고등때 문제푸는게 싫었지 대학와서 증명하고 알고리즘하고 이런건 즐거웠어요.

  • 3. ...
    '16.7.1 11:28 AM (220.86.xxx.131) - 삭제된댓글

    아들이 수학 100점만 받고 과학고도 다니고 대학도 수학 많이하는과 다니는데 수학 싫어해요.ㅎㅎ아니 이과를 싫어한다는게 정확하겠네요.

  • 4. ........
    '16.7.1 11:57 A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수학 개념은 좋아하지만
    문제푸는건 싫어할수 있죠. 전혀 안이상함.

  • 5. ........
    '16.7.1 11:57 A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수학 개념은 좋아하지만
    문제푸는건 싫어할수 있죠. 전혀 안이상함.
    진짜 수학머리 있는 애들은 오히려 문제푸는거 싫어해요.

  • 6. ........
    '16.7.1 11:58 A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수학 개념은 좋아하지만
    문제푸는건 싫어할수 있죠. 전혀 안이상함.
    진짜 머리좋은 애들이 오히려 문제집 푸는거 싫어해요.
    문제집 죽어라 풀어서 점수내는건 평범한 머리의 우등생들이죠.

  • 7. ........
    '16.7.1 11:58 AM (1.241.xxx.218)

    수학 개념은 좋아하지만
    문제푸는건 싫어할수 있죠. 전혀 안이상함.
    진짜 머리좋은 애들이 오히려 문제집 푸는거 싫어해요.
    평범하거나 좀 떨어지는 머리의 애들이 문제집 죽어라 풀어서 점수 내죠.

  • 8. 당연하죠
    '16.7.1 12:04 PM (110.8.xxx.3)

    특히 잘하는 애들은 어려워서가 아니라 지루해서 싫어해요
    유형별 문제집은 풀이 빤한데 계속 노가다 처럼 손가락아프게 계산 많이 하는 문제도 흔하구요
    김연아가 피겨 잘한다고 연습이 안힘들었을까요?
    공부는 정말 하기 싫다와
    할만은 하다 정도로 나뉘는데
    그게 학원 숙제이면 거의다 하기 싫어요
    숙제니까 하는거죠
    오히려 창의수학은 도전의식 자극하고 단순 계산부분은
    적어서 재밋어 하죠
    그러나 지루한 기초공사 완료해야 창의도 심화도
    튼튼히 올라가요

  • 9. 윗님
    '16.7.1 1:12 P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운동과 악기는 근육을 사용하는 분야라서 어릴때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이나 미술쪽은 조금 다릅니다.
    기초부분은 거의 타고나고 오히려 생각을 다양한 각도에서 많이 하는 훈련이 훨씬 더 중요해요.

  • 10. 윗님
    '16.7.1 1:14 P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운동과 악기는 근육을 사용하는 분야라서 어릴때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이나 미술쪽은 조금 다릅니다.
    기초는 타고나야 하고 훈련면에선 남들과 다르게 접근하는게 훨씬 더 중요해요.

  • 11. 윗님
    '16.7.1 1:16 P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운동과 악기는 근육을 사용하는 분야라서 어릴때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이나 미술쪽은 조금 다르다고 봅니다.
    오히려 최고가 되려면 타고난 기초에 남들과 다른 노선으로 접근하는 훈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12. 윗님
    '16.7.1 1:24 P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운동과 악기는 일종의 기술이고 근육을 사용하는 분야라서 어릴때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이나 미술쪽은 다르다고 봅니다.
    기초는 그냥 취미수준으로 해도 오히려 남들보다 더 뛰어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히려 남들과 차별화하는 훈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13. .........
    '16.7.1 1:25 P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운동과 악기는 일종의 기술이고 근육을 사용하는 분야라서 어릴때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이나 미술쪽은 다르다고 봅니다.
    기초는 그냥 취미수준으로 해도 오히려 남들보다 더 뛰어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히려 남들과 차별화하는 훈련이 더 유효하다고 봐요.

  • 14. .........
    '16.7.1 1:26 P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운동과 악기는 일종의 기술이고 근육을 사용하는 분야라서 어릴때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이나 미술쪽은 다르다고 봅니다.
    기초는 아무런 고통없이 취미로만 해도 이미 월등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히려 남들과 차별화하는 훈련이 더 유효하다고 봐요.

  • 15. .........
    '16.7.1 1:27 PM (1.241.xxx.218) - 삭제된댓글

    운동과 악기는 일종의 기술이고 근육을 사용하는 분야라서 어릴때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이나 미술쪽은 다르다고 봅니다.
    이쪽은 기초같은건 아무런 고통없이 취미로만 해도 이미 월등한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오히려 남들과 차별화하는 전략에 신경써야지 기초 다진다고 남들과 똑같이 하면 재능 망치기 쉽상입니다..

  • 16. .........
    '16.7.1 1:29 PM (1.241.xxx.218)

    운동과 악기는 일종의 기술이고 근육을 사용하는 분야라서 어릴때의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이나 미술쪽은 다르다고 봅니다.
    이쪽은 기초같은건 아무런 고통없이 취미로만 해도 이미 월등한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오히려 남들과 차별화하는 전략에 신경써야지 기초 다진다고 남들과 똑같이 하면 재능 망치기 쉽상입니다.
    한국 교육환경과는 다소 동떨어진 주장이지만 그래도 멀리보면 그래요..

  • 17. 오로나민씨
    '16.7.1 5:19 PM (210.183.xxx.144)

    아는 아이...수학이 싫었대요. 근데 못하지는 않았대요.점수는 잘나오니 그냥그냥 하긴했는데...대학갔는데 ㅎㅎ 설대 경영이더라고요. 국영수 다 잘하는데 그중 수학이 재미가 없었다는건지 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3125 대치동 (상위권 위한)수학학원 알아보고있어요. 7 고1 남학생.. 2016/07/05 3,576
573124 복부 임파선 조직검사 문의 2 콩쥐 2016/07/05 4,190
573123 욕실 비린내 ㅜㅜ 26 궁금 2016/07/05 19,813
573122 혹시 퍼시스 모션 데스크 써보신분있으세요? 책상고민 2016/07/05 517
573121 못생겨서 혼자 살 것 같아요. 38 .. 2016/07/04 8,506
573120 저는 흑설탕에 성공~~ 12 ㅇㅇ 2016/07/04 5,495
573119 강냉이가루 만드는 방법 아시는 분 계세요? 2 ... 2016/07/04 754
573118 발망치 층간소음 기준이 뭘까요..? 8 ㅠㅠ 2016/07/04 6,326
573117 뭘 사재기하면 좋을까요? 11 양적완화 2016/07/04 3,511
573116 어떡하죠. 약을 먹고보니 일년지난 거네요.ㅠㅠ 2 2016/07/04 1,581
573115 한상균 징역 5년…경찰 물대포엔 면죄부 14 노조 2016/07/04 934
573114 대리운전이 왜이리 안되나요? 4 봄이오면 2016/07/04 2,038
573113 나이들수록 입술이 얇아지는 느낌인데 맞나요? 5 ........ 2016/07/04 2,522
573112 살면서 '신의 한 수'라고 할만한 경험 가지고 있나요? 17 신의한수 2016/07/04 5,836
573111 물건 살까말까 사놓고 후회하는 우유부단한 성격 고칠 수 있나요?.. 1 .. 2016/07/04 1,013
573110 꿀잠 잘 수 있는 침구 추천해주세요~ 1 .... 2016/07/04 711
573109 지금 오해영 스페셜해요 8 ^^ 2016/07/04 2,554
573108 진주 냉면 진짜 원조가 어디인가요? 6 진주냉면 2016/07/04 1,994
573107 옷이 많아서 1년 365일 다른 코디가 가능한데 이거 이상한가요.. 14 2016/07/04 4,665
573106 중1 도덕시험 답좀 봐주세요.. 19 자연을 2016/07/04 2,810
573105 갑자기 생각나는 예전 드라마 미남이시네요. 재미있게 보신 분 계.. 21 .. 2016/07/04 2,568
573104 사소하게 거짓말을 했던 남자...어떤가요 13 우산우비 2016/07/04 4,915
573103 서울 안내 1 에머랄드 2016/07/04 498
573102 요리할때 설탕대신해서 뭘 쓰면 좋을까요? 16 ,,, 2016/07/04 3,380
573101 어버이연합"더욱강력해진 모습으로 등장할것" 2 ㅎㅎ 2016/07/04 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