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큰애 가르치는데 동생이 더 빨리 이해할 경우

.... 조회수 : 3,346
작성일 : 2016-06-27 10:36:32
어제 남편이 초 2인 아들에게 분수의 개념을 설명했어요.
몇번 설명하면서 퀴즈도 내가며..재밌게요.
퀴즈를 내는 중에...옆에서 지켜보던 7세 아들인 둘째가
먼저 답을 계속 맞추네요.
그러면서 분수는 밑에수가(분모)가 작을수록 큰수가 되는거네라며 나름 정의를;;
옆에서 듣던 큰애 표정이 안좋아지더니 급기야는 퀴즈 맞추기 안한다고.
이런 경우가 종종잇어요.
은연중에 큰애가 둘째를 라이벌로 생각하고..위쭉되는거같아 좀 걱정이예요
IP : 175.223.xxx.193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6.27 10:39 AM (112.150.xxx.220) - 삭제된댓글

    어깨너머로 배운다고 큰애는 억지로 배우는거가 있어서 머리속에 잘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동생은 형 공부하니 방해 된다고 저리가라고 하면 더 궁금해서 달라붙어서 둘째가 더 똘똘한 경우 많아요.

    공부할땐 공부방에 가르치는 사람하나 배우는 사람 하나가 제일 좋습니다. 둘째가 저런 경우는 특히요.

  • 2. ///
    '16.6.27 10:42 AM (124.49.xxx.100)

    둘을 같이 앉혀놓는 것부터 잘못 같아요.

    동생이야 틀려도 부담없으니 잘맞추는 거고(영특하기도 하지만)
    첫째는 부담이 있으니...

    원래 첫째들이 신중해서 속으로 생각해도 바로 대답하지 않는 편인데..
    따로 가르쳐주세요..

  • 3. 연년생
    '16.6.27 10:43 AM (112.162.xxx.61)

    여동생이 딱 그랬어요
    초1때 나는 몰라서 우물쭈물하면 옆에서 바로 바로 답말하고
    안그래도 이쁜 딸래미인데 똑똑하기까지 하니 얼마나 더 이쁘겠어요 - -;
    그땐 성질났지만 지금은 이해해요 저두 애둘 낳고보니 밑에가 더 이쁘니까요 ㅠㅜ...
    어쨌거나 결론적으로 그땐 그랬어도 학창시절에 공부도 제가 더 잘했고 시집도 제가 더 잘갔습니다 ㅎㅎ

  • 4. ....
    '16.6.27 10:43 AM (220.126.xxx.20) - 삭제된댓글

    저랑 저희 언니가 그랬어요.둘이 시켜보면 과외선생이 어렸을때.. 그걸 엄마한테 말했나봐요.
    엄마도 약간 느끼던 부분이었고.. 뭐.. 머리는 작은애가 더 좋을거여요.
    여기서... 어차피 사람 사는게 결국 굳이 머리 좋다고 더 잘 살고 더 못사는건 아닌거 같아요.
    자신의 꾸준한 노력 근성이 중요하죠.
    큰애는 큰애대로.. 칭찬해주면 되고.. 작은애는 작은애대로.. 칭찬해주면 되요.
    작은애가.. 마음이 좀 넓은 유형이면.. 무난 하겠네요.

  • 5. ㅁㅁ
    '16.6.27 10:44 AM (180.230.xxx.54)

    작은애는 틀려도 본전... 큰애는 맞춰야 본전
    애들 타고난 머리가 다를 수도 있지만
    똑같은 정도로 똑똑해도 상황 자체가 큰애가 위축되는거에요.

  • 6. ....
    '16.6.27 10:46 AM (175.223.xxx.193)

    앞으른 이런 작은 것..조심해야겠단 생각이 드네요.

  • 7. ,,
    '16.6.27 10:50 AM (121.143.xxx.67)

    첫째를 배려해주셔야죠. 첫째 가르칠 때 둘째 못들어오게 하세요. 첫째 아이 마음이 글만 읽어봐도 느껴져서 안쓰럽네요

  • 8. hgd
    '16.6.27 10:55 AM (121.168.xxx.196)

    첫째는 맞아야 본전
    둘째는 틀려도 본전
    ㅎㅎㅎㅎ
    각각의 본전 마지노선이 다르네요
    첫째 배려해주시는 엄마들 존경합니다

  • 9. 그건
    '16.6.27 10:55 AM (118.220.xxx.62) - 삭제된댓글

    그렇다고 둘째가 학습면이 뛰어나고 큰애가 덜 똑똑하고는 아니에요
    둘째는 칭찬 받는걸 좋아하는 경우가 많고 큰애에 비해서 앉아서 공부하는 습관이 덜된 경우가 많아서...순간순간 집중력 이해력.. 기발한 발상의 경우는 확실히 둘째들이 빠르죠

  • 10. 이러다가
    '16.6.27 10:59 AM (203.226.xxx.121)

    둘이 사이도 나빠지죠.
    형은 그러는 동생이 얄밉고 위축되고,
    동생은 자기도 맞추는 문제를 번번이 못맞추는 형을 은연중 무시하게되고..

  • 11. ....
    '16.6.27 10:59 AM (175.223.xxx.193)

    그러게요. 저희 부모가 별 생각없이 신중하지 ㅇ
    못한거같아 아이에게 미안한 맘이 드네요.
    그런데 어제같은 경우.
    학습하려고 시작한게 아니구 간식먹으면서 무슨 대화하다가 학습으로까지 자연스레 이어진 경우라(이런 경우가 간혹 있어요)
    따로 분리하고할 생각과 여유가 없었던거같아요

  • 12. .....
    '16.6.27 10:59 AM (211.232.xxx.94) - 삭제된댓글

    둘째가 머리가 훨씬 좋고
    첫째는 동생에 어림 없고..
    어쩔 수 없어요. 머리는 타고나는 것이니까요.
    앞으로 둘째에 기대를 거세요.
    부모가 애들을 빨리 파악하셔야 돼요.

  • 13. 생각이 나네요
    '16.6.27 11:00 AM (42.147.xxx.246)

    제가 구구단을 외우려고 고생을 하는데 옆에 있던 동생이
    제가 먼저 외워서 저는 동생 보다 못하다는 소리를 들어서 동생을 미워했죠.
    저는 9단 까지 외우는데 동생은 3단 만 외웠는데 잘하다는 칭찬을 듣고 자존심이 상했던 기억이 지금도 나네요.

    공부할 때는 형 만 따로 가르치시고
    동생도 가르치고 싶으시면 그 때도 따로 가르치고 절대로 형 무시 못하게 하세요.
    형을 무시하는 것 같으면 야단을 치세요.
    형은 형이다.라고요.
    형을 무시하면 부모가 없을 때 형이 동생을 때릴 때가 있어요.
    아이들은 상처 받기 쉬워요.
    외국의 예이지만
    부모가 여동생을 아주 무시하고 그랬는데...공부도 안하고 야한 잡지에 모델로 나오고 그래서..
    그런데 여동생은 오빠가 공부 못한다고 무시했던 것 같기도 하고요.(부모가 둘 다 의사인데 아들은 재수 중이었어요. 일본에서 일어난 일 임)
    어느 날 오빠가 여동생을 부모가 없을 때 죽였어요. 그것도 잔인하게...
    제 생각에는 자식들이 서로 서로 너는 부모가 무시하는 인간이라고 생각한 것 같은 느낌이 들데요.

    칭찬을 해 주고 격려해주는 게 자식들이고 이 세상이고 필요한 거구나 ...깨달았어요.

  • 14. ㅎㅎㅎ
    '16.6.27 11:00 AM (125.129.xxx.193)

    저도 공부시키면 동생이 그랬대요.

    그렇다고 동생이 더 공부잘한 것도 아녜요.

  • 15. 근데
    '16.6.27 11:02 AM (175.223.xxx.193)

    학습면에선 윗분이 말씀하신것처럼 둘째는 순간 집중력? 순발력 같은게 뛰어나지만
    첫째가 뒤진다는 생각은 전혀 해본적 없었는데....
    서로가 그렇게 느낀다라면 좀 걱정이되고 신경써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16.
    '16.6.27 11:04 AM (112.150.xxx.220) - 삭제된댓글

    네 신중하지 못하셨어요. 맨 윗댓글 쓴 사람인데요.
    놀이에서 갑자기 학습으로 연결하시지 마세요.
    그런 경우에 부모가 의외의 작은 아이가 똘똘하니 잘 대답하면 신기하기도하고 기특하기도해서 막 이것저것 막 물어보거든요. 그럼 둘째는 의기양양하고 첫째는 기가 죽어서 평소에도 위축될수 있어요. 부모님은 뭐만 하면 꼭 공부로 바뀌니 스트레스 받을꺼구요.

    그냥 공부할때 저번에 우리 피자 먹었잖아. 그거 여덟조각이었지? 이런식으로 학습이면 학습. 놀땐 그냥 노세요. 원글님네 같은 부모님 사실. 첫째 애들에게 독이될수 있어요. 편애 안한다고 하지만. ㅅ실 그런게 편애이죠. 첫째가 어버버하는데 자꾸 둘째 앞에서 문제내고 물어보는거 참 안좋은거에요. 윗분 말씀처럼 둘째도 형 은근히 무시할꺼구요.

  • 17. 진짜
    '16.6.27 11:13 AM (1.230.xxx.76)

    나 산수 못하고 국어 잘했고 동생은 반대. 아빠 둘 앉혀놓고 암산 문제를 내곤 했어요. 아빠가 암산의 신 수준. 본인은 재미있으셨겠죠. 진짜 동생한테 안 지려고 너무 스트레스였어요. 지금도 앙금이 남아 있어요ㅡㅡ 엄청 싸우면서 컸는데 아빠 공?이 이주 컸다고 생각해요. 평생 동생이랑 경쟁하는 느낌으로 살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0787 빠른 생일 20살은 알바 못하나요? 5 2444 2016/06/27 988
570786 해외여행시 유심칩 유용할까요? 9 유심침 2016/06/27 1,457
570785 미국 공무원에 대해 잘 아시는 분? 2 ... 2016/06/27 1,289
570784 성적기록부 영문번역 공증 얼마나 걸리나요? 어디서 하면 좋을지요.. 2 영문생활기록.. 2016/06/27 1,170
570783 눈이 안매운 썬크림은 어딨을까요? 19 자외선 2016/06/27 5,480
570782 태국 패키지 여행 가는데요 좀 알려주세요 22 태국 2016/06/27 3,237
570781 군대 간 아들에게 보낼 책 추천해 주세요! 1 지수 2016/06/27 667
570780 알러지가 없어짐 5 언블리버블 2016/06/27 2,604
570779 위챗 페이 어떻게 쓰는건가요? 2 ... 2016/06/27 637
570778 공부 못하는 일반고 남아..문과 이과 고민이요. 11 문과이과 2016/06/27 2,576
570777 술술 쉽게 읽히는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추천 2016/06/27 1,528
570776 복분자나 오미자 청과 액기스 1 2016/06/27 1,100
570775 한국전쟁은 냉전시대 전쟁의 시발점이었다. 1 잊혀진전쟁 2016/06/27 508
570774 요즘 참 희한한 사람을 알게 되었는데요 21 사람 2016/06/27 8,103
570773 파리바게트 vs 뚜레쥬르 17 Z 2016/06/27 6,838
570772 혼자서 수채화를 배울수 있을까요....? 3 수채화 2016/06/27 1,762
570771 제과자격증 시험보고 왔는데..멘붕..망했어용 ㅜㅜ 6 시험.. 2016/06/27 2,228
570770 아들, 부장검사 폭언에 힘들어했다 4 좋은날오길 2016/06/27 2,678
570769 잘못된 말 이었을까요? 4 2016/06/27 1,012
570768 허리디스크수술 받으신분 있나요 1 졍이80 2016/06/27 691
570767 수학선생님 또는 중고등자녀 두신 어머님들 제 고민 들어주세요.... 3 고민맘 2016/06/27 1,701
570766 돈과 인기 중 고르라면? 8 . 2016/06/27 1,515
570765 연행되신 유가족 아버님, 어머님 방금 석방되셨다는 소식입니다! 8 bluebe.. 2016/06/27 850
570764 노안인거 같아 고민.. 4 ... 2016/06/27 1,556
570763 2012년 옷을 백화점에서 판매!! 11 예뚱 2016/06/27 4,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