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이 표현이 국어문법으로 맞는 표현인가?

한글 조회수 : 1,148
작성일 : 2016-06-25 17:01:05
예를 들어 "그것이 알고 싶다"라고 흔히 말하는데
사실은 나는 그것을 알고 싶다는 뜻이잖아요.
국어 문법으로 틀린건가요?

저는 고등학생 영어를 가르치는데
어법 문제에 능동 수동 문제에서
~~하는데 물이 필요하다라고 하면 툴리고
물을 필요하다가 맞는데 우리말은 물이 필요하다러고 흔히 쓰니까
아이들이 잘 틀리거든요.
영어는 확실히 틀린 표현인데
우리말도 틀린 표현인데 그냥 쓰는건지 궁금해서요

IP : 175.192.xxx.23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25 5:14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물이 필요하다
    물을 필요로 하다 아닌가요?

  • 2. 맞는 표현입니다
    '16.6.25 5:28 PM (210.183.xxx.241)

    ~싶다는 보조 형용사이므로
    ~이(가)~ 싶다는 맞는 표현입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도 형용사이므로
    물이 필요하다(o)
    물을 필요하다(x)
    물을 필요로 하다(o) 입니다.

  • 3. 흠...
    '16.6.25 5:29 PM (116.126.xxx.175) - 삭제된댓글

    문법적으로 틀리고 맞고의 문제라기 보다는 나는 그것이(무엇인 지를) 알고싶다로 봐야하지 않나요? 즉 축약형?

  • 4. . .
    '16.6.25 5:38 PM (182.212.xxx.11)

    물이 필요하다
    is needed by water.
    이렇게 해서 틀린다는거죠?
    Water is needed by~ 이렇게해야되는데
    은 는 이 가 들어가면 무조건 주격인지알고.흠;;

  • 5. 그게
    '16.6.25 6:18 PM (121.135.xxx.180)

    이/가, 을/를 중 상황에 따라 어느 것이 자연스러운지 논란이 되고 있고요ㅡ논문 주제임ㅡ
    문법적으로 보면 둘 다 맞아요.
    그것이 알고 싶다로 쓰면 그것이가 싶다의 지배를 받는 거고
    그것을 알고 싶다로 쓰면 그것을이 알다의 지배를 받는 겁니다.
    이게 논문 주제라는 건요
    문법상으로는 둘 다 맞는데

    부모님이 보고 싶다가
    부모님을 보고 싶다보다
    자연스럽잖아요.

    전자가 후자보다 자연스러운 경우가 어떤 건지에 대한 논문들이 있습니다.

    전공자라 주절주절 썼어요^^

  • 6. 원글
    '16.6.25 8:50 PM (121.129.xxx.165)

    그게님...
    이해가 쏙 되네요.고맙습니다.

  • 7.
    '16.6.25 11:07 PM (126.245.xxx.179)

    위에 전공자 분이신데 해설은
    좀 아닌거 같아요...

    한국어교육에서는 기본 문형으로 가르칠 때

    밥을 먹고 싶어요
    티비를 보고 싶어요

    이렇게 가르치게 돼 있어요

    그리고 강조해서 말할 때는
    밥이 먹고 싶다
    티비가 보고 싶다

    조사 -가 도 허용된다고 가르치고 있어요 교재들도

    기본 어법은 -을/를 00싶다
    라고 돼 있습니다.

    사실 회화에서 가장 자연스런 걸 따지자면
    조사 생략형이죠

    남자친구 보고 싶다...

    보통은 이렇게 말하지요

  • 8. 그게
    '16.6.26 10:46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저 통사론 전공자고 대학에서 학생들 가르치고 있어요.
    논문들에서 많이 언급된 현상 말씀드린 거고요. 한국어교육은 쉽게 가르쳐야 되니 당연히 문법과 달리 접근하죠.
    제 설명은 vp를 어떻게 묶느냐와 관련 있는 건데 이해하시려나 모르겠네요.

  • 9. 그게
    '16.6.26 10:49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저 통사론 전공자고 대학에서 학생들 가르치고 있어요.
    논문들에서 많이 언급된 현상 말씀드린 거고요. 한국어교육은 쉽게 가르쳐야 되니 당연히 기술 문법과 달리 접근하죠.
    제 설명은 vp를 어떻게 묶느냐와 관련 있는 건데 이해하시려나 모르겠네요.

  • 10. 그게
    '16.6.26 10:54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엥님이 말씀하신 거 뭔지 아는데요
    ㅡ저도 한국어 강사 박사 과정 때 몇 년 간 했었고 교재도 몇 편 냈으니 님보다 잘 알 겁니다ㅡ
    통사론 전공자로서 기술문법적 입장에서 말씀드린 거예요.
    한국어교육은 쉽게 가르쳐야 되니 당연히 규칙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기술 문법과 달리 설명하죠.
    제 설명은 vp를 어떻게 묶느냐와 관련 있는 거고 통사론 쪽에서는 많이 논의되는 사항인데 이해하시려나 모르겠네요.

  • 11. 그게
    '16.6.26 10:59 AM (124.51.xxx.155)

    엥님이 말씀하신 거 뭔지 아는데요
    ㅡ저도 한국어 강사 박사 과정 때 몇 년 간 했었고 교재도 몇 편 냈으니 님보다 잘 알 겁니다ㅡ
    통사론 전공자로서 기술문법적 입장에서 말씀드린 거예요.
    한국어교육은 쉽게 가르쳐야 되니 당연히 규칙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기술 문법과 달리 설명하죠.
    제 설명은 vp를 어떻게 묶느냐와 관련 있는 거고 통사론 쪽에서는 많이 논의되는 사항인데 이해하시려나 모르겠네요.

    국어학에 실린 엄정호(2003), ㅡ고 싶다 구문의 격 교체

    읽어보시든가요.

  • 12. ㅎㅎㅎㅎ
    '16.6.26 2:19 PM (126.247.xxx.243)

    저도 한국어 강사 박사 과정 때 몇 년 간 했었고 교재도 몇 편 냈으니 님보다 잘 알 겁니다

    >>>

    저두요... ㅎ

    말씀하신 거 다 이해해요
    근데 저 논문들의 출발 자체가 틀릴 수도 있어요
    한국어교육 역사가 조금씩 축적되면서
    기존의 이론들이 조금씩 바뀌는 것도 있어요
    기존 논문들은 너무 이론을 위한 이론들이 많아서요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언어 체계인가를 생각해 보면
    답이 쉽게 나오죠

  • 13. 그게
    '16.6.26 3:51 P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헐.. 제가 얘기한 거에 이론이라고 할 만한 게 없는데 뭘 이론이라고 하신 건지 모르겠네요.

    한국어교육 전공하신 분이신가 본데 저 논문 자체가 틀린 거라니... 황당하네요. 저 논문은 현상을 단순히 기술한 논문이라 맞다 틀렸다 할 수 있는 논문이 아니에요.
    저 현상 자체는 국어 통사론에선 이미 상식이 된 거라 학자들 다음 관심은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하는 데 있고ㅡ아직도 말끔한 설명이 안 되고 있지만ㅡ vp 묶는 거는 통사론에서 그냥 문법 기술을 위한 수단인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설명 좀 해 주실래요?

  • 14. 그게
    '16.6.26 4:17 P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헐.. 제가 얘기한 거에 이론이라고 할 만한 게 없는데 뭘 이론이라고 하신 건지 모르겠네요.
    순수히 기술적인 내용뿐인데요.

    그리고 저 현상 자체는 국어 통사론에선 이미 상식이 된 거라 학자들 다음 관심은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하는 데 있는데...

    설마 한국어 교육 문법이랑 기술 문법 차이도 모르시는 건 아니겠죠?

  • 15. 그게
    '16.6.26 4:19 PM (124.51.xxx.155)

    헐.. 제가 얘기한 거에 이론이라고 할 만한 게 없는데 뭘 이론이라고 하신 건지 모르겠네요.
    순수히 기술적인 내용뿐인데요.

    그리고 ㅡ고 싶다 격 교체 현상 자체는 국어 통사론에선 이미 상식이 된 거라 학자들 다음 관심은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하는 데 있는데...

    설마 한국어 교육 문법이랑 기술 문법 차이도 모르시는 건 아니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2098 전세계약기간 전에 매매로 인해 집 뺄 경우 5 ... 2016/06/29 1,381
572097 강화도펜션 괜찮은 곳 추천해주세요 4 만두맘 2016/06/29 1,879
572096 이와중에 또 북한식당 여성근로자 8명 집단탈출중 5 북괴멸망 2016/06/29 1,380
572095 자꾸 불미스러운 일(자살)이 일어나는 아파트.. 7 ,,, 2016/06/29 5,968
572094 영화 사냥 보신분 계신가요? 6 고민 2016/06/29 1,484
572093 남자들의 질투? 열등감을 자극하는 여자가 있나요? 28 ... 2016/06/29 19,503
572092 육개장 냉동 시켜도 될까요? 10 ... 2016/06/29 3,485
572091 일산에 전세 7~8천짜리가 있을까요? 5 dd 2016/06/29 2,429
572090 이천수 축구선수 보면요 7 뻘 얘기 2016/06/29 4,402
572089 비행기 시간이 일러서 밤을 새야할 것 같은데... 7 2016/06/29 1,637
572088 댓글부대 조사안한다네요 4 ... 2016/06/29 869
572087 안·천 물러난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로 가나? 7 좋은날오길 2016/06/29 1,165
572086 7월 말에 홍콩 여행 날씨 12 어떤가요? 2016/06/29 2,303
572085 콘도 잡아준 아이친구네 답례 해야 할것 같은데요 48 뭘로해야할지.. 2016/06/29 4,235
572084 뷰티풀마인드에서 허준호가... 5 궁금 2016/06/29 2,288
572083 대형마트 시식코너 일하는건 6 두번 2016/06/29 2,412
572082 항상 피해자여야 하는 사람 심리 뭔가요? 5 노이해 2016/06/29 1,609
572081 왕좌의 게임은 .. 19 ㄷㄷ 2016/06/29 3,236
572080 삼풍 사고때 임원들만 쏙 빠져나온게 너무 이해가 안가요. 12 ,,,, 2016/06/29 4,924
572079 163cm 몸무게별 느낌 19 2016/06/29 15,605
572078 영업용 냉장고는 전기를 많이 먹나요? 4 영어 2016/06/29 1,405
572077 3 억대 매매 가능한 학군무난한 단지 추천부탁드려요~~ 4 SJ 2016/06/29 2,413
572076 대학을 수시로 보낸 학부모가 26 ㅇㅇ 2016/06/29 7,085
572075 자기만족만큼 남에게 보이는 삶도 중요해요 20 .. 2016/06/29 5,634
572074 2, 3급지 학교라는 말의 기준이 알고싶어요 7 학부모 2016/06/29 2,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