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 표현이 국어문법으로 맞는 표현인가?

한글 조회수 : 1,058
작성일 : 2016-06-25 17:01:05
예를 들어 "그것이 알고 싶다"라고 흔히 말하는데
사실은 나는 그것을 알고 싶다는 뜻이잖아요.
국어 문법으로 틀린건가요?

저는 고등학생 영어를 가르치는데
어법 문제에 능동 수동 문제에서
~~하는데 물이 필요하다라고 하면 툴리고
물을 필요하다가 맞는데 우리말은 물이 필요하다러고 흔히 쓰니까
아이들이 잘 틀리거든요.
영어는 확실히 틀린 표현인데
우리말도 틀린 표현인데 그냥 쓰는건지 궁금해서요

IP : 175.192.xxx.23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25 5:14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물이 필요하다
    물을 필요로 하다 아닌가요?

  • 2. 맞는 표현입니다
    '16.6.25 5:28 PM (210.183.xxx.241)

    ~싶다는 보조 형용사이므로
    ~이(가)~ 싶다는 맞는 표현입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도 형용사이므로
    물이 필요하다(o)
    물을 필요하다(x)
    물을 필요로 하다(o) 입니다.

  • 3. 흠...
    '16.6.25 5:29 PM (116.126.xxx.175) - 삭제된댓글

    문법적으로 틀리고 맞고의 문제라기 보다는 나는 그것이(무엇인 지를) 알고싶다로 봐야하지 않나요? 즉 축약형?

  • 4. . .
    '16.6.25 5:38 PM (182.212.xxx.11)

    물이 필요하다
    is needed by water.
    이렇게 해서 틀린다는거죠?
    Water is needed by~ 이렇게해야되는데
    은 는 이 가 들어가면 무조건 주격인지알고.흠;;

  • 5. 그게
    '16.6.25 6:18 PM (121.135.xxx.180)

    이/가, 을/를 중 상황에 따라 어느 것이 자연스러운지 논란이 되고 있고요ㅡ논문 주제임ㅡ
    문법적으로 보면 둘 다 맞아요.
    그것이 알고 싶다로 쓰면 그것이가 싶다의 지배를 받는 거고
    그것을 알고 싶다로 쓰면 그것을이 알다의 지배를 받는 겁니다.
    이게 논문 주제라는 건요
    문법상으로는 둘 다 맞는데

    부모님이 보고 싶다가
    부모님을 보고 싶다보다
    자연스럽잖아요.

    전자가 후자보다 자연스러운 경우가 어떤 건지에 대한 논문들이 있습니다.

    전공자라 주절주절 썼어요^^

  • 6. 원글
    '16.6.25 8:50 PM (121.129.xxx.165)

    그게님...
    이해가 쏙 되네요.고맙습니다.

  • 7.
    '16.6.25 11:07 PM (126.245.xxx.179)

    위에 전공자 분이신데 해설은
    좀 아닌거 같아요...

    한국어교육에서는 기본 문형으로 가르칠 때

    밥을 먹고 싶어요
    티비를 보고 싶어요

    이렇게 가르치게 돼 있어요

    그리고 강조해서 말할 때는
    밥이 먹고 싶다
    티비가 보고 싶다

    조사 -가 도 허용된다고 가르치고 있어요 교재들도

    기본 어법은 -을/를 00싶다
    라고 돼 있습니다.

    사실 회화에서 가장 자연스런 걸 따지자면
    조사 생략형이죠

    남자친구 보고 싶다...

    보통은 이렇게 말하지요

  • 8. 그게
    '16.6.26 10:46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저 통사론 전공자고 대학에서 학생들 가르치고 있어요.
    논문들에서 많이 언급된 현상 말씀드린 거고요. 한국어교육은 쉽게 가르쳐야 되니 당연히 문법과 달리 접근하죠.
    제 설명은 vp를 어떻게 묶느냐와 관련 있는 건데 이해하시려나 모르겠네요.

  • 9. 그게
    '16.6.26 10:49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저 통사론 전공자고 대학에서 학생들 가르치고 있어요.
    논문들에서 많이 언급된 현상 말씀드린 거고요. 한국어교육은 쉽게 가르쳐야 되니 당연히 기술 문법과 달리 접근하죠.
    제 설명은 vp를 어떻게 묶느냐와 관련 있는 건데 이해하시려나 모르겠네요.

  • 10. 그게
    '16.6.26 10:54 A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엥님이 말씀하신 거 뭔지 아는데요
    ㅡ저도 한국어 강사 박사 과정 때 몇 년 간 했었고 교재도 몇 편 냈으니 님보다 잘 알 겁니다ㅡ
    통사론 전공자로서 기술문법적 입장에서 말씀드린 거예요.
    한국어교육은 쉽게 가르쳐야 되니 당연히 규칙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기술 문법과 달리 설명하죠.
    제 설명은 vp를 어떻게 묶느냐와 관련 있는 거고 통사론 쪽에서는 많이 논의되는 사항인데 이해하시려나 모르겠네요.

  • 11. 그게
    '16.6.26 10:59 AM (124.51.xxx.155)

    엥님이 말씀하신 거 뭔지 아는데요
    ㅡ저도 한국어 강사 박사 과정 때 몇 년 간 했었고 교재도 몇 편 냈으니 님보다 잘 알 겁니다ㅡ
    통사론 전공자로서 기술문법적 입장에서 말씀드린 거예요.
    한국어교육은 쉽게 가르쳐야 되니 당연히 규칙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기술 문법과 달리 설명하죠.
    제 설명은 vp를 어떻게 묶느냐와 관련 있는 거고 통사론 쪽에서는 많이 논의되는 사항인데 이해하시려나 모르겠네요.

    국어학에 실린 엄정호(2003), ㅡ고 싶다 구문의 격 교체

    읽어보시든가요.

  • 12. ㅎㅎㅎㅎ
    '16.6.26 2:19 PM (126.247.xxx.243)

    저도 한국어 강사 박사 과정 때 몇 년 간 했었고 교재도 몇 편 냈으니 님보다 잘 알 겁니다

    >>>

    저두요... ㅎ

    말씀하신 거 다 이해해요
    근데 저 논문들의 출발 자체가 틀릴 수도 있어요
    한국어교육 역사가 조금씩 축적되면서
    기존의 이론들이 조금씩 바뀌는 것도 있어요
    기존 논문들은 너무 이론을 위한 이론들이 많아서요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언어 체계인가를 생각해 보면
    답이 쉽게 나오죠

  • 13. 그게
    '16.6.26 3:51 P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헐.. 제가 얘기한 거에 이론이라고 할 만한 게 없는데 뭘 이론이라고 하신 건지 모르겠네요.

    한국어교육 전공하신 분이신가 본데 저 논문 자체가 틀린 거라니... 황당하네요. 저 논문은 현상을 단순히 기술한 논문이라 맞다 틀렸다 할 수 있는 논문이 아니에요.
    저 현상 자체는 국어 통사론에선 이미 상식이 된 거라 학자들 다음 관심은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하는 데 있고ㅡ아직도 말끔한 설명이 안 되고 있지만ㅡ vp 묶는 거는 통사론에서 그냥 문법 기술을 위한 수단인데...

    뭐가 틀렸다는 건지 설명 좀 해 주실래요?

  • 14. 그게
    '16.6.26 4:17 PM (124.51.xxx.155) - 삭제된댓글

    헐.. 제가 얘기한 거에 이론이라고 할 만한 게 없는데 뭘 이론이라고 하신 건지 모르겠네요.
    순수히 기술적인 내용뿐인데요.

    그리고 저 현상 자체는 국어 통사론에선 이미 상식이 된 거라 학자들 다음 관심은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하는 데 있는데...

    설마 한국어 교육 문법이랑 기술 문법 차이도 모르시는 건 아니겠죠?

  • 15. 그게
    '16.6.26 4:19 PM (124.51.xxx.155)

    헐.. 제가 얘기한 거에 이론이라고 할 만한 게 없는데 뭘 이론이라고 하신 건지 모르겠네요.
    순수히 기술적인 내용뿐인데요.

    그리고 ㅡ고 싶다 격 교체 현상 자체는 국어 통사론에선 이미 상식이 된 거라 학자들 다음 관심은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하는 데 있는데...

    설마 한국어 교육 문법이랑 기술 문법 차이도 모르시는 건 아니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1486 할머니옷 스타일을 좋아하는 나 10 2016/06/29 5,083
571485 금연... 평생 참는 거라지만 1년 정도만 고생하면 금연 성공할.. 5 금연 2016/06/29 2,038
571484 닭볶음탕이랑 같이 내놓을만한 음식이 뭐가 있을까요? 8 .... 2016/06/29 2,003
571483 복분자 생과를 받았는데 이걸 어디에 쓰나요? ㅠㅠ 16 워메 2016/06/29 1,787
571482 장시간 비행기 탈때 화장 아예 안하고 공항 가시나요? 30 비행 2016/06/29 17,452
571481 해외여행 자주 가는 남자 어떠세요? 20 ... 2016/06/29 4,706
571480 제3자에게 아버지 이름으로 나를 소개할때.. 2 호칭 2016/06/29 895
571479 마요네즈가 묽어요 2 오뚜기 2분.. 2016/06/29 1,714
571478 박근혜 7시간조사 찬성 53.1%..개헌논의 찬성 52.9% 3 여론 2016/06/29 1,039
571477 아울렛에서 사온물건 도난방지기 제거를 안했는데 8 낭패 2016/06/29 3,847
571476 1년된 매실액기스 5 외동맘 2016/06/29 2,353
571475 아파트 탑층매매요? 18 본드맘 2016/06/29 5,714
571474 수,목 드라마 뭐 보세요?? 12 2016/06/29 1,872
571473 옷 재질 설명과 택이 다를때 2 옥션 2016/06/29 677
571472 뭣이중헌디가 ㅋㅋ대유행어가 돼버렸네요.ㅎㅎ 4 ㅋㅋㅋ 2016/06/29 2,850
571471 투표는 안 하고... 노인 탓하는 영국 젊은이들 1 영국 2016/06/29 1,121
571470 [여자들의 본심] 사실 여자들은 남자들이 여자의 외모를 따져주.. 10 서초동훈남 2016/06/29 4,251
571469 자꾸 아이한테 타박말투가 나오는데요 5 !!! 2016/06/29 1,412
571468 창동, 상계동에 일자리 창출하고 집중 개발한다는데.. 투자? 1 부동산 2016/06/29 1,582
571467 국방부가 제주해군기지 철근 거짓자료를 제출했다네요 1 뭐가구려서 2016/06/29 668
571466 화가가 살아 있는데 왜 그림이 왜 위작 논란이 있죠? 5 .... 2016/06/29 2,405
571465 여름에 오사카 여행 어떨까요? 9 2박,3박 2016/06/29 3,427
571464 시험관리?부탁 거절 후 너무 마음이 불편해요. 4 고등학생 2016/06/29 2,449
571463 빵에 돌이나왔어요ㅠ 5 2016/06/29 1,288
571462 계좌제 받기도 힘드네요..... 2 내일배움카드.. 2016/06/29 1,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