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 동원 등 '의혹' 배후에 청와대어버이연합과 관련해 가장 먼저 제기된 의혹은 돈을 주고 집회 참가자들을 동원했다는 것이다. 관련해선 2014년 4~11월 어버이연합 집회에 동원된 탈북자 1259명에 일당 2만 원씩을 지급한 내역이 담긴 장부가 존재하고 "탈북자들에게 집회에서 2만 원을 준 것은 맞다"고 김미화 탈북어버이연합 대표가 언론과 인터뷰한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현재까지 언론을 통해 '일당 2만 원'에 대해 밝혀진 것은 탈북자들을 동원한 부분에 국한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탈북자가 아닌 노인들을 조직해 집회에 참가시키고 일당을 지급했는지에 대해서도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 사건이 불거진 직후 추 사무총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부터 한·일 위안부 합의안 체결과 관련한 집회를 열어달라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추 사무총장은 '청와대로부터 지시를 받은 게 아니라 협의를 했다'고 해명했지만, 그간의 각종 친 정부 집회시위의 배후에 청와대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짙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어버이연합이 청와대의 의중에 따라 각종 친 정부 집회시위를 적극 실행한 것은, 자금은 전경련 등 여러 단체에서 나왔지만 자금지원을 조직한 실질적인 자금원은 청와대이기 때문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추 사무총장에 문자메시지를 보낸 행정관의 통신내역부터 시작해 관련 논의가 청와대 어느 선부터 시작됐는지에 대한 수사가 필요하다.
어버이연합이 청와대의 의중에 따라 각종 친 정부 집회시위를 적극 실행한 것은, 자금은 전경련 등 여러 단체에서 나왔지만 자금지원을 조직한 실질적인 자금원은 청와대이기 때문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추 사무총장에 문자메시지를 보낸 행정관의 통신내역부터 시작해 관련 논의가 청와대 어느 선부터 시작됐는지에 대한 수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