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금저축 해약시 소득세 질문이요..미쳤네요 ㅠㅠ

바나나 조회수 : 4,684
작성일 : 2016-06-21 10:41:15

2011년부터 지금까지 한달에 20만원씩 연금저축 가입중이에요.


엄마가 보험설계사고 그때 제가 취업을 해서 연말정산시 이익이 있기 때문에 직장선배들도 연금저축은 필수라고 해서


당연히 들어야 하는 줄 알았어요.


근데 지금 이사가는데 돈이 모자라서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연금저축을 깨면 어떨까해서 알아보니


원금 1260만원 중 환급율 98%


소득세 169만원 주민세 16만원이래요 ㅠㅠㅠ


여기서 말하는 소득세가 제가 연말정산 때 혜택받은걸 그대로 다시 토해내는 금액인가요?

 

연말정산 때마다 연금저축 항목을 매번 입력하긴 했는데 그것때문에 절세 효과가 얼마나 있었는지 알 수 없어요.


그 당시 연금저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연금저축 항목을 빼고 연말정산 해볼껄 그랬네요.


저 소득세가 무얼 말하는지 모르겠어요. 저는 오히려 원금에서 손해를 봤는데 ㅠㅠㅠ


10년 납입이라 2021년까지 납입하고 55세부터 연금수령이 가능하데요.....


제가 55세인 20년쯤 후에 한달에 20만원이요?? 헐.......차라리 지금이라도 해약하는게 덜 손해인가요?


언제 해약을 해야할까요? 2021년까지 더 붓고 55세 이후에 일시금으로 찾을까요? 그때 화폐가치 하락으로 손해를 볼지 아님 지금 손해를 볼지...그게 그거면 그냥 지금 해약하려구요 ㅠㅠ


진짜 보험회사 상품은 가입하는게 아니네요 ㅠㅠㅠ 큰 교훈 얻었어요..

IP : 39.117.xxx.15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21 10:50 AM (180.92.xxx.57)

    저도 연말정산땜에 들었는데 말이 많기는 한데 전 10년 다 되어가서 그냥 둡니다...

  • 2. 죄송
    '16.6.21 10:50 AM (115.133.xxx.206)

    답이 아니라서 미안합니다만 저도 불입 만기되는 연금저축이 있어 묻어서 질문하고 싶어서요.
    앞으로 십년후에 연금으로 타야할지 지금 해약해서 딥사는데 보태는게 나을지
    고민중이라서요. 제거는 십오년 한달 삼십씩 부어서 다음달에 마지막 납부금 끝나요.

  • 3. 죄송
    '16.6.21 10:51 AM (115.133.xxx.206)

    딥 --> 집

  • 4. 그래도
    '16.6.21 10:52 AM (1.240.xxx.194)

    해약하고 받는 금액이 불입액의 98%라면 아주 양호하네요.
    변액 같은 경우는 형편없는 걸로 알고있는데...

  • 5. 그건
    '16.6.21 11:01 AM (223.33.xxx.71)

    아마 기타소득에 대한 소득세고 내년에 올해귀속 종합소득세 신고하시면서 합산신고로 돌려받으시거나 더 내야할거에요. 원글님 소득수준에 따라 결과가 달라요.
    그리고 그동안 받았단 연말정산은 다시 토해내셔야 할거에요.
    자세한건 국세청 126에 문의해보세요

  • 6. 해지환급
    '16.6.21 11:09 AM (223.33.xxx.98)

    98%나 된다구요? 그리고 연말정산에서 받았던거는 나중에 국세청에서 다시 환수들어와요 여기서 끝이 아니라는거 ㅠ ㅠ 우린 심지어 보험사에서 이걸 안 알려줘서 이자까지 물었다는 ㅠ

  • 7. 바나나
    '16.6.21 11:12 AM (39.117.xxx.15)

    헐 윗님은 국세청에서 어느정도 환수해갔나요? 그 금액이 큰가요?

  • 8. 해약
    '16.6.21 11:17 AM (121.148.xxx.231)

    20년후 20만이면 노후 대책이 아니라 노후 삥땅이네요.
    국민 연금외에는 그 어떤 것도 어리석은 대책입니다.

  • 9. 이래서
    '16.6.21 11:35 AM (119.14.xxx.20)

    제가 오래 전부터 연금저축이 절세는 커녕 앞으로 남는 듯 보여도 뒤로 밑지는 거라 수시로 말해도 주변에서 아무도 듣지를 않더라고요.ㅜㅜ

    연금보험 관련 기사검색 조금만 해봐도 알 수 있어요.
    그런데, 보험사들이 손 쓴 건지 기사도 많이 없어졌더군요.

    해약 안 하고 나중에 연금수령하면 되지 않느냐고요?
    사금융 연금은 거의가 후일 물가상승분을 반영해주지 않습니다.
    지금 큰 돈 넣고, 나중에 잔돈푼 받는 격이 되는 거죠.

    전 오래 전 보험사때문에 크게 손해보고 민원진행하면서 보험사가 얼마나 악질적으로 가입자들 돈을 피 빨아먹듯 갉아먹는 곳인지 알아 일절 보험 안 넣습니다.

    원글님, 환급률 98%는 말장난인 듯 한데요?
    발생하는 소득세/주민세가 대략 15%에 육박하는데, 어찌 해약환급금이 98%나 되나요?

    보험사 말장난에 놀아나시는 듯 해요.

  • 10. 쉬운남자
    '16.6.21 12:06 PM (121.130.xxx.123) - 삭제된댓글

    안녕하세요.
    네이버 보험상담카페(회원수 12,000명↑)를 운영하고 있는
    보험이 [쉬운남자] 김민성 입니다.

    복사, 형식적인 답변이 아닌 도움이 되는 답변 드리겠습니다.



    연금저축의 경우 연말정산때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정기간 유지를 안하고 해약을 하게 되면 그동안 받았던 돈을 다시 내야되는거에요.

    지금 당장 그 돈이 필요한게 아니라면 잘 유지해주시고,
    보험료가 부담스러우신거라면 감액이 아닌 감료를 이용하세요.

    기존까지 납입했던 보험료 피해 없이 앞으로 내는 보험료만 줄일 수 있습니다.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문의사항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운영Cafe - 네이버 보험뽀개기 http://cafe.naver.com/ifczzang / 010-9747-4168

  • 11. 지혜를모아
    '16.6.21 12:27 PM (223.62.xxx.48)

    직장인이시면 해당사항 없는데 직장 안다니시면 일단 해약후 내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하시면 전액환불 나옵니다
    제가 그렇게해서 세금냈던거 그대로 환급받았어요
    전 세금을 더 뗐었어요 금액이 더커서요.
    한 300가까이 세금 냈었고 다음년도에 그대로 다시 환불 받았어요 몇년전이라 지금도 동일하게 되는지는 모르지만요

  • 12. 저는
    '16.6.21 1:59 PM (111.65.xxx.194) - 삭제된댓글

    거의 30프로 정도 때이고 해약했어요..

  • 13.
    '16.11.10 1:04 PM (223.62.xxx.51) - 삭제된댓글

    저라면 그냥 놔두고 은행대출을 받겠어요
    5년만 더 내면 55살부터 죽을때까지 월 20만원씩 받는 건데..
    깨서 900만원 융통하는 것보다 나중을 위해 남겨두는 게 더 좋을 거 같아요
    요즘 저금리라서 그때보다 이율도 더 낮아서 그정도로 연금보장해주는 상품도 별로 없을 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8941 무릎에 좋은 운동 추천해주세요. 6 .. 2016/06/22 2,015
568940 박유천에서 홍상수로 고고! 9 lklk 2016/06/22 1,406
568939 런닝브라 7 좋아요 2016/06/22 1,969
568938 무식한 질문드려요 3 2016/06/22 539
568937 현대중공업 지금 사면... 8 미아리 2016/06/22 2,238
568936 2천만 서울과 수도권 주민들은 바보 칠푼이였나? 4 꺾은붓 2016/06/22 1,315
568935 전쟁이 나도 롯데는 살려야 한다 1 전쟁 2016/06/22 861
568934 남편한테 사기쳤어요. ㅋㅋ 6 ... 2016/06/22 3,111
568933 남편이 집나갔는데 어이없네요 17 ... 2016/06/22 6,904
568932 트럼프 선거 캠프가 재정난에 허덕인다니? 1 .... 2016/06/22 668
568931 어떻게 먹어야하나? 2 들깨 2016/06/22 601
568930 임신 초기인데 감기가 너무 심해요 5 .. 2016/06/22 1,333
568929 어린이집 뉴스보다 진짜 지원금이 80만원이예요? 9 .. 2016/06/22 2,456
568928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 교섭단체 대표연설문 전문 5 경제민주화 2016/06/22 731
568927 사과와 당근 갈아서 먹고 4 변비 2016/06/22 3,059
568926 여중생들 평상시 마스크 쓰는 이유 아시는 분 ??? 17 미리내 2016/06/22 6,346
568925 진상 불변의 법칙 언제 깨질까요? 13 ..; 2016/06/22 1,921
568924 꽃님이.. 8 ㅡㅡ 2016/06/22 2,111
568923 공부랑 사회성 뭐가 더 중요할까요 12 Zz 2016/06/22 3,547
568922 도우미분들 . . .어리고 잘해드리면 만만히보긴하죠. . 12 . . . 2016/06/22 3,169
568921 효소라는 것을 먹으면 몸에서 열이나요 2 2016/06/22 1,213
568920 초등학교 선생님 계신가요? (초등학교 휴학 문의) 4 에휴 2016/06/22 3,908
568919 저번에 하나멤버스 쿠폰 4 ? 2016/06/22 736
568918 여행용 캐리어 추천좀해주세요 5 캐리어 2016/06/22 2,160
568917 백남기 농민 자녀, 백민주화씨.. 유엔 발언 전문입니다. 6 물대포 2016/06/22 1,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