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채식주의자 읽었는데요,

한강의 조회수 : 4,331
작성일 : 2016-06-20 10:25:03
맨부커 상 받은 게 이해되고
서양사람들 좋아하겠구나 싶은데,

전 이런 글이
말놀이 글놀이구나 싶어서,

우리 사는 거에 어떤 힘이 될 수 있나 싶어서. 좀 그러네요.

물론 해답은 뻔하면서 어렵고도 다르니까
끊임없이 묻고 성찰해야겠지요.

시험 끝난 기념으로 읽은 첫 책이었는데,
문학 소녀 글 본 것 같아서, 그냥 평생 책 읽고 문장 다듬은 여인이 쓴 글 본 것 같아서 조금은 아쉽네요
IP : 218.144.xxx.116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20 10:30 AM (211.36.xxx.71)

    기괴한 내용을 좋아하는부죠. 맨부커는... 감동도 없고 교훈도 없고.. 전 시간낭비라 생각해서 형부앞에서 하는 거 보고 책 덮었어요.

  • 2. 허걱
    '16.6.20 10:35 AM (175.118.xxx.187) - 삭제된댓글

    말도 안 되는...
    주제나 내용이 맘에 취향상 안 든다면 몰라도,
    한강 글을 보고 문학소녀의 글, 평생 책 읽고 문장 다듬은 여인이 쓴 글이라니...
    하이고 그건 좀...

  • 3. 허걱
    '16.6.20 10:35 AM (175.118.xxx.187)

    말도 안 되는...
    주제나 내용이 취향상 맘에 안 든다면 몰라도,
    한강 글을 보고 문학소녀의 글, 평생 책 읽고 문장 다듬은 여인이 쓴 글이라니...
    하이고 그건 좀...

  • 4. ...
    '16.6.20 10:38 AM (125.141.xxx.67) - 삭제된댓글

    빌려서 읽었는데
    중간이야기는 어디서 읽은거 같은거예요
    뭐지 표절인가 했는데
    10년전쯤 이상 문학상 받은 거였어요
    암튼 우리나라 문단에서도 인정은 받았다는 거죠

  • 5. 원글
    '16.6.20 10:41 AM (218.144.xxx.116)

    문학 소녀의 글, 평생 책 읽고 문장 다듬어 온 여인의 글
    이 부분은 칭찬이기도 합니다.
    글쓰기에 빠져 평생토록 한길 가는 사람이니까요.
    동시에 그렇기에 아쉬움이 생기기도 해서요.

  • 6. ..
    '16.6.20 10:49 A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문학의 존재이유가 사고의 뒤집기, 확장을 위한 것이라면
    이 책은 그 목적에 부합한 것 같아요.

    단어가 적절하고, 표현이 군더더기 없으면서 절묘하고,
    문장이 힘이 있으면서도 깔끔하고,
    다음 문장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고.
    그래서, 단숨에 읽게 만드는 힘..을 가지면서
    내용도 아주 좋았습니다.

  • 7. 문호에게
    '16.6.20 10:56 AM (203.247.xxx.210) - 삭제된댓글

    문학소년, 책 읽고 문장 다듬어 온 남인이라고 하나요?

  • 8. 식물
    '16.6.20 11:04 AM (112.186.xxx.96)

    아직 못 읽어본 사람입니다...
    그런데 이 작품의 내용이 육식을 거부하고 모든 폭력을 거부하며 식물이 되기를 꿈꾸는 사람의 이야기라고 하던데... 동/식물의 이분법으로 식물의 수동성 비폭력성을 내세운다는 점에서 작가가 참 도회인스럽다는 생각이 좀 드네요ㅠ ㅠ 최소 마당에 자라는 잡초랑 안 싸워 본 사람인 것은 분명한듯... 식물이 얼마나 힘이 센데요... 식물도 서로 치열하게 영역다툼하면서 다른 종을 죽이기도 하고 그러는데...ㅠ ㅠ
    궁금하긴 합니다 작품을 읽어봐야겠네요...

  • 9. ..
    '16.6.20 11:04 AM (119.18.xxx.198) - 삭제된댓글

    문호??

    좋아하는 작가이긴 하지만 ㅎㅎ

  • 10. ..
    '16.6.20 11:05 AM (119.18.xxx.198) - 삭제된댓글

    문호??

    좋아하는 작가이긴 하지만 ㅎ

  • 11. ..
    '16.6.20 11:06 AM (119.18.xxx.198) - 삭제된댓글

    문호??

    아직 책 읽어보긴 전이지만요 ㅎ

  • 12. ..
    '16.6.20 11:16 A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식물님 의견 참신하네요.
    최소 식물은 폭력행위는 않죠.
    영역다툼은 있을 지언정, 주먹을 휘두르거나, 무기를 사용하지는 않죠.
    피를 흘리지도, 아파서 몸부림 치지도 않고요.
    눈에 보이는 행위가 없다고 폭력적이지 않다고 할 수는 없지만,
    최소 표면적인 폭력은 없는 거죠.

    단세포 동물처럼, 세포로만 이뤄진 거대한 생명체..
    뇌가 따로 없어 가학도 고통도 슬픔도 없는 생명체..
    식물의 두드러진 특징만을 강조하며 접근할 수 있겠죠.

  • 13. ..
    '16.6.20 11:17 A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식물님 의견 참신하네요.
    최소 식물은 폭력행위는 않죠.
    영역다툼은 있을 지언정, 주먹을 휘두르거나, 무기를 사용하지는 않죠.
    피를 흘리지도, 아파서 몸부림 치지도 않고요.
    눈에 보이는 행위가 없다고 폭력적이지 않다고 할 수는 없지만,
    최소 표면적인 폭력은 없는 거죠.

    단세포 동물처럼, 세포로만 이뤄진 거대한 생명체..
    뇌가 따로 없어 가학도 고통도 슬픔도 없는 생명체..
    식물의 두드러진 특징만을 강조하며 소설처럼 접근할 수 있겠죠.
    소설에서의 식물과 채식은 불가의 채식과 연결되었다고 봐요.

  • 14. ..
    '16.6.20 11:18 A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식물님 의견 참신하네요.
    최소 식물은 폭력적인 행동(폭력행위)는 않죠.
    영역다툼은 있을 지언정, 주먹을 휘두르거나, 무기를 사용하지는 않죠.
    피를 흘리지도, 아파서 몸부림 치지도 않고요.
    눈에 보이는 행위가 없다고 폭력적이지 않다고 할 수는 없지만,
    최소 표면적인 폭력은 없는 거죠.

    단세포 동물처럼, 세포로만 이뤄진 거대한 생명체..
    뇌가 따로 없어 가학도 고통도 슬픔도 없는 생명체..
    식물의 두드러진 특징만을 강조하며 소설처럼 접근할 수 있겠죠.
    소설에서의 식물과 채식은 불가의 채식과 연결되었다고 봐요.

  • 15. ..
    '16.6.20 11:18 A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식물님 의견 참신하네요.
    최소 식물은 폭력적인 행동(폭력행위)은 않죠.
    영역다툼은 있을 지언정, 주먹을 휘두르거나, 무기를 사용하지는 않죠.
    피를 흘리지도, 아파서 몸부림 치지도 않고요.
    눈에 보이는 행위가 없다고 폭력적이지 않다고 할 수는 없지만,
    최소 표면적인 폭력은 없는 거죠.

    단세포 동물처럼, 세포로만 이뤄진 거대한 생명체..
    뇌가 따로 없어 가학도 고통도 슬픔도 없는 생명체..
    식물의 두드러진 특징만을 강조하며 소설처럼 접근할 수 있겠죠.
    소설에서의 식물과 채식은 불가의 채식과 연결되었다고 봐요.

  • 16. ..
    '16.6.20 11:21 A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식물님 의견 참신하네요.
    최소 식물은 폭력적인 행동(폭력행위)은 않죠.
    영역다툼은 있을 지언정, 주먹을 휘두르거나, 무기를 사용하지는 않죠.
    피를 흘리지도, 아파서 몸부림 치지도 않고요.
    눈에 보이는 행위가 없다고 폭력적이지 않다고 할 수는 없지만,
    최소 표면적인 폭력은 없는 거죠.

    단세포 동물처럼, 세포로만 이뤄진 거대한 생명체..
    뇌가 따로 없어 가학도 고통도 슬픔도 없는 생명체..
    식물의 두드러진 특징만을 강조하며 소설처럼 접근할 수 있겠죠.
    공격 보다는 방어 위주이고 평화롭게 공존하죠.
    소설에서의 식물과 채식은 불가의 채식과 연결되었다고 봐요.

  • 17. ..
    '16.6.20 11:26 A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식물님 의견 참신하네요.
    최소 식물은 폭력적인 행동(폭력행위)은 않죠.
    영역다툼은 있을 지언정, 주먹을 휘두르거나, 무기를 사용하지는 않죠.
    피를 흘리지도, 아파서 몸부림 치지도 않고요.
    눈에 보이는 행위가 없다고 폭력적이지 않다고 할 수는 없지만,
    최소 표면적인 폭력은 없는 거죠.

    단세포 동물처럼, 세포로만 이뤄진 거대한 생명체..
    뇌가 따로 없어 가학도 고통도 슬픔도 없는 생명체..
    공격 보다는 방어 위주이고 평화롭게 공존하죠.
    식물의 두드러진 특징만을 강조하며 소설처럼 접근할 수 있겠죠.
    소설에서의 식물과 채식은 불가의 채식과 연결되었다고 봐요.

  • 18. 식물
    '16.6.20 11:26 AM (112.186.xxx.96) - 삭제된댓글

    점두개님... 기생식물도 많습니다^^ 나무를 휘감고 수액을 빨아먹고 살죠... 공생이라 보기에는 숙주가 된 식물의 고통은 참 커 보이던데요... 피가 나지 않고 몸부림을 치지 않는다고 식물이 이른바 고통이라는 걸 느끼지 못할까 싶기도 하고... 식물이 잘려나갈때는 특정한 화학 성분을 내뿜기도 한다던데요... 방어라 하기에 시물의 영역다툼과 생존경쟁은 너무 치열해서 정말 적자생존의 적나라함을 텃밭만 관찰해도 볼 수 있습니다... 식물의 세계는 참 재미있어요^^

  • 19. 식물
    '16.6.20 11:27 AM (112.186.xxx.96)

    점두개님... 기생식물도 많습니다^^ 나무를 휘감고 수액을 빨아먹고 살죠... 공생이라 보기에는 숙주가 된 식물의 고통은 참 커 보이던데요... 피가 나지 않고 몸부림을 치지 않는다고 식물이 이른바 고통이라는 걸 느끼지 못할까 싶기도 하고... 식물이 잘려나갈때는 특정한 화학 성분을 내뿜기도 한다던데요... 방어라 하기에는 식물의 영역다툼과 생존경쟁은 너무 치열해서 정말 적자생존의 적나라함을 텃밭만 관찰해도 볼 수 있습니다... 식물의 세계는 참 재미있어요^^

  • 20. ..
    '16.6.20 11:35 AM (211.210.xxx.21) - 삭제된댓글

    식물님 견해 흥미로와요..

  • 21. ..
    '16.6.20 11:36 AM (211.210.xxx.21) - 삭제된댓글

    식물님 견해 흥미롭고 좋은데요.ㅎㅎ

  • 22. 내용은 불편하지만
    '16.6.20 1:17 PM (121.161.xxx.44)

    여운은 남는 소설이에요, 비록 좀 불쾌한 여운이지만 생각할 거리는 남기는..

  • 23. 저는
    '16.6.20 1:21 PM (125.132.xxx.178)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이 되어서 한참동안 우울했어요. 뉴스에서 폭력적인 기사들 나올때마다 이 소설이 생각났고요. 폭력에 무감각해져가는 현대인들에게 보내는 메세지라고 이해했어요.

  • 24.
    '16.6.20 2:50 PM (175.199.xxx.127)

    저는 책은 안 읽고 영화를 봤는데 식물공포증이 도지는 공포영화 같았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8453 초등3학년 교정해도 될까요? 9 배고파 2016/06/20 1,603
568452 젤라틱네일샀는데~ 신세계네요ㅎ 6 오오 2016/06/20 3,674
568451 이쁜 여자는 조금 살쪄도 이쁘던데.... 13 제목없음 2016/06/20 6,028
568450 너무너무 답답한 세월호 13 ... 2016/06/20 1,418
568449 생애 처음으로 내 마음대로 집 수리할 수 있는 기회. . . 근.. 7 집수리 2016/06/20 1,715
568448 하 오늘 정말 gk 2016/06/20 858
568447 부산사는분들 계신가요!! 15 급질문 2016/06/20 2,349
568446 지금 매실 장아찌 담글 수 있나요? 5 장아찌 2016/06/20 1,280
568445 단독주택 구입조언부탁드려요? 8 올리 2016/06/20 2,537
568444 3학년되면 알아서 친구 사귀나요? 5 ... 2016/06/20 1,298
568443 말주변 기르려면 어떤모임에? 4 버벅이 2016/06/20 1,714
568442 미친교사의 폭행장면 ㅠㅠ 8 미친악마 2016/06/20 4,424
568441 아이라인 반영구 지워야하는데 도움 좀... 3 망할타투 2016/06/20 1,647
568440 돈벌고 싶으면 교수들과 학자들의 헛소리를 멀리하시면 됩니다. 5 푸헐 2016/06/20 2,393
568439 생리 3일째에만 갑자기 생리통이 생겨요 통증 2016/06/20 3,580
568438 몸에 받지도 않는 커피를 마셨어요. 잠 드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9 ㅜㅜ 2016/06/20 1,619
568437 아들 잃은 이학영 의원에, 동료 의원들 박수로 격려 2 힘내세요ㅠ 2016/06/20 2,346
568436 맞은편집 무섭습니다 5 일전에 2016/06/20 5,008
568435 남편이 아이가 순한게 제탓이래요.. 1 ㅇㅇ 2016/06/20 1,310
568434 서울 풍경이 아름답게 담긴 영화나 드라마 추천 부탁드립니다! 5 푸른 2016/06/20 936
568433 에어컨 매립배관? 일반배관? 질문드려요. 3 에어컨 2016/06/20 21,221
568432 책 읽다가 나오는 오타 보면... 7 아이사완 2016/06/20 1,155
568431 '중산층 총체적 위기가 몰려온다.' - 서울대 국제대학원 김현철.. 12 물방울 2016/06/20 4,627
568430 가정용 노래방 기계 추천 부탁드립니다 노래방 2016/06/20 1,053
568429 데이트 할때 식당에서 물컵 수저놓기 등 손하나 까딱 안하는 남자.. 23 ... 2016/06/20 7,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