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가 8년전 집살때도 갑자기 급등해서 거품이라고들 했어요.

집값 조회수 : 5,631
작성일 : 2016-06-18 17:30:29
8년전 집을 처음 샀는데, 역세권 소형 아파트구요.
당시 요기를 계속 살까말까했는데
갑자기 3천 넘게 올라버리는거에요.
실거주할 집이라서 어쩔수없이 최고 오른 금액으로 매매했는데
당시 주변서도 모두 만류했고
재테크 카페에서도
거기 위치도 별로고 너무 많이 올라서 별로라고들..

저는 그냥 집값 내려손해봐도 이사비용 복비 안정감 생각하면 손해는 아니겠다 생각했고
지금 그때보다 40프로 올랐구요.

2014년 또 소형을 한채 매입했는데
당시 분의기도 집값 거품 곧 꺼진다고
다들 매수를 꺼리던 상황.
거기다 제가 사려는 집은 브랜드나 평수에 비해 너무 고평가라고..
이때도 좀있음 집값 내릴텐데 뭐하러 집을 사냐는 분위기..
재테크 카페서도 그집은 안오를 거라고..별로라고..

지금 요기는 20프로 올랐구요.

집값은 아무도 예측못해요.
사라마라 얘기는 안할께요
IP : 211.36.xxx.15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요즘
    '16.6.18 5:39 PM (112.173.xxx.198)

    82쿡에 집값 오른다는 글이 하루에도 두세개는 보이는 듯 해요.
    먾이둘 사주세요
    대출 빵빵하게 받아서..^^
    어차피 나라 망해가는데 이래 사나 저래 사나..

  • 2. 그래서
    '16.6.18 5:40 PM (180.70.xxx.79)

    뭐요?? 핵심이 뭐예요 ?

  • 3. ..
    '16.6.18 5:43 PM (121.167.xxx.241)

    어디길래 그렇게 올랐나요?
    우리동네는 쭉 내리다가 8년전 가격 회복했어요.

  • 4. ..
    '16.6.18 5:52 PM (39.7.xxx.6)

    뭔가 불안하가 하죠.
    지방은 지금 집값 떨어졌는데.
    내년 내후년에 입주 예정 아파트들이 쏟아진다고 하죠.

    수요에 비해 공급이 초과할 때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죠.
    우리 경제가 그거 감당할 여력이 될지가 관건이겠네요.

  • 5. ..
    '16.6.18 6:01 P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단기로는 즉 10년~20년 바라보면..
    오를 수는 있어도..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내리는 것 아닌가요?
    내리는 것을 imf 때도 보았고..지금이 그때와 좀 비슷하고,
    일본의 경제상황과 흡사하게 돌아가고..
    지금 두가지 모두 겹쳐서 다들 몸 사린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양적완화로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화폐가치에 맞게 부동산이 값을 찾는다고 생각해요.
    정확히 모르긴 몰라도 양적완화가 많이 된 것으로 알아요.
    사대강때도 그렇고, 또 .. 이 정부에서도 양적완화가 거론된 것 같고..
    부동산이 가격이 오르겠죠.
    상반되는 변수들이 있어서, 오른다, 내린다 말 못하고..
    개인들이 피하고 싶은 악수를 감안해 선택하겠죠.
    사실 떨어질까봐서 안 샀는데 부동산이 오르는 것도 큰 고통이죠.
    꾸준히 오르길래 샀는데, 떨어지는 것도 큰 고통이고요.

  • 6. ..
    '16.6.18 6:02 P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단기로는 즉 10년~20년 바라보면..
    오를 수는 있어도..
    현재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내리는 것 아닌가요? 우리가 화장품, 관광 등에서 강세를 보여.. 일본처럼 급하강 하리라고 생각하지 않지만요.
    내리는 것을 imf 때도 보았고..지금이 그때와 좀 비슷하고,
    일본의 경제상황과 흡사하게 돌아가고..
    지금 두가지 모두 겹쳐서 다들 몸 사린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양적완화로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화폐가치에 맞게 부동산이 값을 찾는다고 생각해요.
    정확히 모르긴 몰라도 양적완화가 많이 된 것으로 알아요.
    사대강때도 그렇고, 또 .. 이 정부에서도 양적완화가 거론된 것 같고..
    부동산이 가격이 오르겠죠.
    상반되는 변수들이 있어서, 오른다, 내린다 말 못하고..
    개인들이 피하고 싶은 악수를 감안해 선택하겠죠.
    사실 떨어질까봐서 안 샀는데 부동산이 오르는 것도 큰 고통이죠.
    꾸준히 오르길래 샀는데, 떨어지는 것도 큰 고통이고요.

  • 7. ..
    '16.6.18 6:02 P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단기로는 즉 10년~20년 바라보면..
    오를 수는 있어도..
    현재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내리는 것 아닌가요? 우리가 화장품, 관광 등에서 강세를 보여.. 일본처럼 급하강 하리라고 생각하지 않지만요.
    내리는 것을 imf 때도 보았고..지금이 그때와 좀 비슷하고,
    앞으로는 우리나라 경제가 일본의 경제상황과 흡사하게 돌아가고..
    지금 두가지 모두 겹쳐서 다들 몸 사린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양적완화로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화폐가치에 맞게 부동산이 값을 찾는다고 생각해요.
    정확히 모르긴 몰라도 양적완화가 많이 된 것으로 알아요.
    사대강때도 그렇고, 또 .. 이 정부에서도 양적완화가 거론된 것 같고..
    부동산이 가격이 오르겠죠.
    상반되는 변수들이 있어서, 오른다, 내린다 말 못하고..
    개인들이 피하고 싶은 악수를 감안해 선택하겠죠.
    사실 떨어질까봐서 안 샀는데 부동산이 오르는 것도 큰 고통이죠.
    꾸준히 오르길래 샀는데, 떨어지는 것도 큰 고통이고요.

  • 8. ..
    '16.6.18 6:03 P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단기로는 즉 10년~20년 바라보면..
    오를 수는 있어도..
    현재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내리는 것 아닌가요? 우리가 화장품, 관광 등에서 강세를 보여.. 일본처럼 급하강 하리라고 생각하지 않지만요.
    내리는 것을 imf 때도 보았고..지금이 그때와 좀 비슷하고,
    앞으로는 우리나라 경제가 일본의 경제상황과 흡사하게 돌아가고..
    지금 두가지 모두 겹쳐서 다들 몸 사린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양적완화로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화폐가치에 맞게 부동산이 얼른 제값을 찾는다고 생각해요.
    정확히 모르긴 몰라도 양적완화가 많이 된 것으로 알아요.
    사대강때도 그렇고, 또 .. 이 정부에서도 양적완화가 거론된 것 같고..
    부동산이 가격이 오르겠죠.
    상반되는 변수들이 있어서, 오른다, 내린다 말 못하고..
    개인들이 피하고 싶은 악수를 감안해 선택하겠죠.
    사실 떨어질까봐서 안 샀는데 부동산이 오르는 것도 큰 고통이죠.
    꾸준히 오르길래 샀는데, 떨어지는 것도 큰 고통이고요.

  • 9. ..
    '16.6.18 6:04 P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단기로는 즉 10년~20년 바라보면..
    오를 수는 있어도..
    현재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내리는 것 아닌가요? 우리가 화장품, 관광 등에서 강세를 보여.. 일본처럼 급하강 하리라고 생각하지 않지만요.
    내리는 것을 imf 때도 보았고..지금이 그때와 좀 비슷하고,
    앞으로는 우리나라 경제가 일본의 경제상황과 흡사하게 돌아가고..
    지금 두가지 모두 겹쳐서 다들 몸 사린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양적완화로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화폐가치에 맞게 부동산이 얼른 제값을 찾는다고 생각해요.
    정확히는 모르지만 양적완화가 많이 된 것으로 알아요.
    사대강때도 그렇고, 또 .. 이 정부에서도 양적완화가 거론된 것 같고..
    부동산이 가격이 오르겠죠.
    상반되는 변수들이 있어서, 오른다, 내린다 말 못하고..
    개인들이 피하고 싶은 악수를 감안해 선택하겠죠.
    사실 떨어질까봐서 안 샀는데 부동산이 오르는 것도 큰 고통이죠.
    꾸준히 오르길래 샀는데, 떨어지는 것도 큰 고통이고요.

  • 10. ㅇᆞ
    '16.6.18 6:17 PM (119.70.xxx.204)

    맨날하는소리예요
    십년전에 집살때도
    꼭대기라고 난리였어요
    결과적으로 그집 복도식소형임에도 1억가까이올랐어요

  • 11. 답답한게
    '16.6.18 6:21 PM (119.70.xxx.204)

    내가 돈없다고 우리나라가 돈이없는게아니잖아요
    부자들은돈이차고넘쳐요
    우리나라 경제순위가 세계9위인가그래요
    부동산을 움직이는건 부자들입니다
    이걸모르더라고요 사람들이

  • 12. 그냥
    '16.6.18 6:25 PM (121.167.xxx.59)

    그냥 사고 싶은 사람은 사는거고 못사는 사람은 못사는거고
    집한채 있는 사람은 그냥 입다물고 있는거고
    그런거지 무슨....
    집값이 오르니 내리니 무슨 소용있나요.

  • 13. 남의 말
    '16.6.18 7:42 PM (61.82.xxx.167)

    결국 남의 말 듣지 말란 소리겠죠.
    전 진짜 거의 집값 바닥일때 샀는데, 지금보다 더 떨어질꺼다, 집을 왜 사냐 전세살지.
    이런 소리 진짜 많이 들었네요.
    집을 딱 세번 거래해봤는데, 그중 두번은 집을 왜사? 이런 반응이었어요.
    남들이 집을 사건 말건 집값이 오른다, 떨어진다 소리는 진짜 함부로 할게 아니예요.
    그냥 내 능력범위 내에서 집값 등락을 좀 조사해보고 필요할때 적기다 싶을때 사야해요.
    부동산이야 말로 어떤 공식도 안맞고, 전문가의 예측도 빗나가요.

  • 14. ...
    '16.6.18 7:46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집이 많이 모자라고
    더 좋은 주거 환경에서 살고 싶어서 아파트 구매자가 늘 넘치고
    경제가 그럭저럭 돌아가니 열심히 돈 모으고 빛내서 집사고
    모두가 주어진 가격 이상으로
    건설사 배불려주고 투기꾼 이익 왕창 남겨주고
    점점 하늘 놏이 치솟는 아파트 사고 싶어 했죠 ㅠ.ㅠ
    여전히 강남 서울 선호하니 수도권 아파트는 가격이 잘 안떨어지고
    돈 가진 사람 너무 많으니 오히려 더 오를수도....
    그러나 장기적으로 여러가지 경제적 사회적 요인은
    분명 전국적으로 지방 도시는 집값 하락이 논리적 필연입니다.
    얼마 지나면 중소도시는 남아도는 빈집에 들어가 헐값에 살아도 될만큼 집이 남을겁니다...
    지금도 지방에서는 1인 가구 원룸 오피스텔이 넘쳐서 공실이 나고 임대가 안되는데도
    나대지에 계속 다가구 주택을 짓고 있어요 ㅎㅎ

  • 15. ...
    '16.6.18 7:46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집이 많이 모자라고
    더 좋은 주거 환경에서 살고 싶어서 아파트 구매자가 늘 넘치고
    경제가 그럭저럭 돌아가니 열심히 돈 모으고 빚내서 집사고
    모두가 주어진 가격 이상으로
    건설사 배불려주고 투기꾼 이익 왕창 남겨주고
    점점 하늘 놏이 치솟는 아파트 사고 싶어 했죠 ㅠ.ㅠ
    여전히 강남 서울 선호하니 수도권 아파트는 가격이 잘 안떨어지고
    돈 가진 사람 너무 많으니 오히려 더 오를수도....
    그러나 장기적으로 여러가지 경제적 사회적 요인은
    분명 전국적으로 지방 도시는 집값 하락이 논리적 필연입니다.
    얼마 지나면 중소도시는 남아도는 빈집에 들어가 헐값에 살아도 될만큼 집이 남을겁니다...
    지금도 지방에서는 1인 가구 원룸 오피스텔이 넘쳐서 공실이 나고 임대가 안되는데도
    나대지에 계속 다가구 주택을 짓고 있어요 ㅎㅎ

  • 16. 대략
    '16.6.18 7:57 PM (14.52.xxx.171)

    15년 전부터 일본 버블 얘기 했지만
    아직도 수도권은 불패에요
    지금도 갈곳없는 돈이 몇조라죠 ㅠ

  • 17. . . .
    '16.6.18 11:07 PM (223.62.xxx.100)

    이젠 집값을 일반적인 집값으로 얘기할수 없는 시대인거 같아요 집값도 상가 처럼생각해야돼요 강남이나 홍대상가냐 아님 비비역세권 왕래드문곳 상가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듯요 부자들은 아무곳에나투자하지 않더라구요 가격이 오를만한 요소가 있는데에만 투자해요 제가 넉달전 집을 팔고 샀는데 한곳은 지금이 그때보다 더떨어졌고 다른곳은 더 올랐어요 그런데 앞으로 가격차는 더 커질거 같아요 . . . 결론은 부동산도 무작정 오르는것이 아니라 상가처럼 유동인구가 많은곳이 오른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8238 인간관계에서 속상한거 어찌 푸나요? 8 어디에 2016/06/20 2,562
568237 푸켓 아웃리거 자유여행시 라차섬 투어 ? 도와주세요 4 오리 2016/06/20 1,112
568236 차 긁힌 거 수리하려면 어디로 가는 게 좋을까요? 휴 집에 아는.. 5 자동차 2016/06/20 941
568235 오이지 10개 정도의 레시피 좀 부탁드립니다.꾸벅! 8 부산촌사람 2016/06/20 1,559
568234 l*전자 공기청정기 쓰시는 분 1 필터 2016/06/20 1,024
568233 이마트 알뜰폰 3 00 2016/06/20 932
568232 와인 파티 상차림 잘 아시는 분 도움좀 주실래요~ 6 ㅇㅇ 2016/06/20 984
568231 효소만들까요? 복분자 2016/06/20 426
568230 수건 뱀부얀100%vs 면50 뱀부50 혼방중에 어떤게 날까요?.. 4 골라주세요 2016/06/20 3,776
568229 오늘자 장도리.jpg 4 ㄱㄱㄱ 2016/06/20 1,245
568228 시조카결혼 올림머리 고민 1 지방살고 서.. 2016/06/20 1,000
568227 애가 너무 예뻐서 자꾸 눈물이나요;; 비정상인가요... 8 ..... 2016/06/20 2,423
568226 재판에 갈때 법정 옷차림 문의 8 법정 온도 2016/06/20 5,361
568225 단점만 이야기하는 과외강사 싫으시죠? 5 .. 2016/06/20 1,207
568224 맞고도 가만 있는 아이를 어찌 교육 시켜야할까요?? 15 속상한 맘 2016/06/20 2,438
568223 다디어트 보조제 그린티 펫버너 4 ... 2016/06/20 1,472
568222 채식주의자 읽었는데요, 9 한강의 2016/06/20 4,331
568221 간식이나 과자 끊으신분들. 비법 좀. 11 2016/06/20 3,610
568220 실업급여 수령중, 알바뛸경우.. 2 질문 2016/06/20 5,008
568219 시내면세점에서 구입하면 결제후 바로 상품수령인가요? 5 ㅇㅇㅇ 2016/06/20 1,507
568218 부착식 씽크선반 파는 곳 ? 우리 2016/06/20 786
568217 '간호사 실수로 군인 사망'…병원은 조직적 증거 은폐 2 노동집회한 .. 2016/06/20 2,019
568216 디마프에서요 2 가는귀 2016/06/20 1,752
568215 장아찌 담글때 멸치육수로 하면? 1 ... 2016/06/20 743
568214 변비인건가요? (더러움주의)죄송 ㅜ eunyar.. 2016/06/20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