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에서 아파트의 인기는 죽 계속될 듯합니다

아리수 조회수 : 2,065
작성일 : 2016-06-13 14:06:11

땅사고 집지어서 3층주택짓고 25년 살다가 지은지 13년 되는 ㄹㅁㅇ아파트로 이사왔습니다

요즘같은 이런 후덥지근한 날씨에는 주택에서 항상 에어컨을 틀어야 살수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정남향이지만 저층임에도 불구하고 참 시원하네요

맞바람치고 베란다앞에는 인공폭포가 흐르고 주택살때보다 관리비 11만원을 더 내기는 하지만 주택 한여름 전기세에 비할까요?


일단 동간간격이 주택간의 간격과는 어마어마한 차이가 있지요

주택은 차 두대 정도폭의 골목길을 사이에 두고 건물들이 지어지니 바람이 들어올 틈이 없고 태양의 열을 그대로 흡수하는데 아파트는 신기하게도 덥지가 않네요


올여름 에어컨 안살랍니다

그냥 선풍기나 한대 더 사야겠어요

장마철 습기는 장난 아니니 방마다 거실에 부엌에 선풍기 6대로 한번 살아보겠습니다


한국은 아파트가 진리같아요

그러므로 아파트가격은 안떨어질듯 합니다  



 

IP : 1.229.xxx.6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6.13 3:07 PM (122.46.xxx.157)

    주택 사서 리모델링 하던지 아님 새로 지어서 아래는 세주고 윗층에 사는 게 꿈인데
    잘못된 생각인가요? 주택에 안살아봐서 주택의 단점을 모르겠네요.

  • 2. ㄹㄹㄹㄹㄹㄹ
    '16.6.13 3:28 PM (192.228.xxx.119)

    윗분...
    주택은 아파트관리사무소에서 해 주고 우리가 관리비내고 있는것을 직접 하셔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대신 다른 장점이 있겠죠..

    우리 라이프생활이 아파트에 최적화되긴 했는데 저 일들을 직접 하는걸 즐기신다면 주택도 좋을겁니다.
    남이 해주면 더 편하고 좋죠..ㅎㅎ
    밥도 남이 해주는것 먹기만 하면 좋지만 가끔 내 스타일대로 내입맛에 맞게 하고 싶기도 하죠...

  • 3. ㅇㅇ
    '16.6.13 3:32 PM (152.99.xxx.38)

    좋은주택에 살면 아파트보다 좋아요. 다닥다닥 붙은 다세대 같은 주택은 당연히 안좋죠 ㅠ.ㅠ

  • 4. ..
    '16.6.13 4:55 PM (211.224.xxx.159)

    요즘 새로 지은 집들은 단열 잘되어 있어서 여름에 에어컨 없이도 시원해요. 겨울에도 많이 안추우어 난방 덜해도 되고

  • 5. 원글
    '16.6.13 5:30 PM (1.229.xxx.60)

    신축빌라에 사시는 분이 5월부터 에어컨 틀었다고 하더군요
    도대체가 바람 한점이 안 들어오고 태양열 흡수장치가 있는지 아주 쪄죽는다고 하더군요
    집지을때 단열 다 하고 집 지었다고 합니다
    요즘 집들뿐 아니라 옛날 집들도 시멘트로 대충지은 후진집 아닌 벽돌집들은 다 단열이 되어있어요

    그래도 더워요
    아파트처럼 넓은 동간간격으로 주택들을 띄엄띄엄 지을수는 없잖아요

    서울의 어느 동네가 아파트 간격으로 지은 집들이 있나요?
    하여간 삶의 질이 나아지네요

    노인분들 절대로 주택 살지마시길..

  • 6. ㅇㅇ
    '16.6.13 5:49 PM (203.234.xxx.81)

    끄덕끄덕하며 읽다가 신축빌라에 사는 지인이 5월부터 에어컨 틀었다는 말에 엥? 하네요. 신축빌라라 하더라도 건축 완성도, 향 등에 따라 변수가 얼마나 많은데요ㅡ.ㅡ
    동간 간격, 단지 조경 등 환경에 대해서는 아파트가 우위인 걸 인정하는데요 내구연한이 지난 뒤에 어쩔거냐,에 대해 우려하는 거 아닌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9152 홍삼 엑기스요 아기사자 2016/06/22 466
569151 김현정 뉴스쇼 -김성완의 행간 “연애스캔들에 묻힌 뉴스들” 1 미키미니 2016/06/22 847
569150 이정재 임세령은 총각 이혼녀니까 사겨도 ... 2016/06/22 2,076
569149 설*나면 굶어야겠죠? 3 점심 2016/06/22 898
569148 부모님 병원비 분담..(펑) 14 . 2016/06/22 3,538
569147 대파가 많아서 대파김치 담가 보려고 하는데 6 ... 2016/06/22 1,278
569146 만15세이전이면.. 3 보험문의 2016/06/22 584
569145 밥을 먹으면 숨이 차요 1 휴우 2016/06/22 12,853
569144 염색 대신 임시로 크래용? 같은 걸로 색칠하는 거 뭐죠? 3 혹시 2016/06/22 1,200
569143 대학생 아들녀석 인턴면접가는데요...? 8 고민 2016/06/22 1,701
569142 공기청정기 쓰시는분? 1 청정기 2016/06/22 2,086
569141 자상한 선생님인 남편 집에서 악마였다 3 두살애기도 .. 2016/06/22 1,966
569140 세컨카로 중고차 한대사고픈데 어디가 괜찮을까요? 4 중고차 2016/06/22 1,185
569139 영국유학을 가고 싶어하는 중1 아들...조언 부탁드려요... 8 배려와존중 2016/06/22 2,425
569138 영어능력자분들~ 해석 좀 부탁드려요.. 4 d라인 2016/06/22 720
569137 꾸준한 오이지 8 우르르 2016/06/22 1,714
569136 불가리 반지 유럽이 더 싼가요? 1 .. 2016/06/22 2,276
569135 부추를 가열해서 먹는법 알려주세요 7 야채 2016/06/22 1,909
569134 헛개나무열매즙과 헛개나무차? 참맛 2016/06/22 470
569133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하려면 세무사 사무실 가야 하나요.. 9 ㅇㅇ 2016/06/22 1,580
569132 국정충들은 시급으로 받나요? 6 버러지들 2016/06/22 555
569131 대학생 아들 가방 어떤것 사용하나요? 5 외동맘 2016/06/22 1,137
569130 요즘 수박 맛있어요? 6 ㅡㅡ 2016/06/22 1,705
569129 양념할 때 햇마늘과 저장용 마늘 맛의 차이가 있나요? 6 마늘이요 2016/06/22 1,432
569128 IS가 우리나라 테러할거라하고 특정 민간인 정확하게 지목했다면서.. 14 무서운데요 2016/06/22 2,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