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입시치루신 선배맘님 조언구해요

마모스 조회수 : 1,937
작성일 : 2016-06-10 13:28:29
6월모평결과 연고대공대는 아무데나
넣어볼수 있는 점수가 나왔네요..

지금까지 모의고사결과들을 보면
연고대공대 최초합수준으로
나오는듯 해요..
그렇다면 수시6장을 어떻게 해야할지요..
아이는 의대를 원하는데 6장 모두
의대논술전형으로 지르는게 맞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의대를 생각해서 논술준비는
했지만 워낙 로또전형이라 일단 이렇게 질러놓고
결국 수능으로 가야되는거겠지요?
그렇다면 우문이긴 히지만 수능때 대부분
모의고사점수 처럼 나오긴 할까요?
아니면 아직 반수생 재수생들이 모두
합류하는 수능땐 성적이 지금 보다 많이 하락하나요?
고3맘 아무생각 없다가 요새 이것저것 결과나오면서
심란 심란 합니다....
IP : 115.136.xxx.13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6.10 1:36 PM (49.142.xxx.181)

    다른건 뭐 너무 중요한문제들이라 제가 뭐라 말씀 못드리겠고요..

    수능점수가 모의고사 점수만큼 나오는건 거의 엄청난 대박운입니다.
    재수생 반수생 혹시나 한번 더 보는 명문대생 등등 해서 한등급씩 떨어지는게 보통이죠.

  • 2.
    '16.6.10 1:41 PM (58.120.xxx.108)

    최상위권은 별 변화없는 경우가 많지만
    언제 모든 일에는 예외와 변칙상황이 생기므로
    모든 가능성을 열고 봐야해요.
    우리 아이도 3년내내 거의 올1등급이었는데
    겨우겨우 맞추기는 했으나 예상못한 상황에 많이 당황했어요.
    그냥 일년 편균 점수 나온다 보면 될거 같아요.
    근데 의대를 논술로 가기란....
    얼인하김 6장이 좀 아깝네요.정시러 연고대 공대 갈 생각이 있으면 수시에도 쓰는걸 추천 드려요.
    정시까지 의대갈 성적이 나오는거 아니라면요.

  • 3. 마르샤
    '16.6.10 1:42 PM (58.120.xxx.108)

    ㅎ 오타.
    얼힘하긴-올인하긴

  • 4. ㅇㅇ
    '16.6.10 1:49 PM (222.101.xxx.103)

    의대 논술 작년 경쟁율 한번 보세요 뽑는 인원도 적고 엄청나죠 의대중 그나마 좀 낮은 지방의대, 치대도 쓰고 공대도 갈 맘 있다면 좋은과로 공대도 쓰세요 정시로 의대갈 정도나오면 공댄 논술보러 안가면 되니까요
    지금은 핑크빛 생각만 들겠지만 최악의 경울 대비하는게 좋아요

  • 5. ..
    '16.6.10 1:53 PM (175.121.xxx.70)

    수능 대박 가능성을 고려해서 연대 공대는 논술 쓰지 마시고
    공대도 붙으면 갈 생각임 고대 공대 논술 쓰시고
    의대 논술도 쓰시고 학종으로 의대 가능성 있으면 학종도 쓰세요.
    경험상 의대 목표였다가 공대 가면 거의 다 재수나 반수 하더라구요.

  • 6. ...
    '16.6.10 2:00 PM (210.90.xxx.6) - 삭제된댓글

    말그대로 모평입니다.
    수능날 잘 봐야죠.
    저희 아이 경우 3년내내 다 맞거나 한두개 틀렸는데 수능때 5개 틀렸어요.
    최상위권은 변동 없다해도 장담할 수 없어요.
    4장은 의대논술, 한두장은 연고대 쓰고 수능 잘 나오면 안 가면 됩니다.
    재수해도 의대 가겠다 하면 6장 다 의대 쓰고요.
    저희 아이도 재수해서 원하던 대학 갔어요. 한두해 늦는거 별거 아닙니다.

  • 7. 1등급은 기본이라치고
    '16.6.10 2:53 PM (211.245.xxx.178) - 삭제된댓글

    정시에서 등급은 소용없으니, 표점이 어떻게 나오나요? 의대 대부분 과탐은 백분위만 보니까 백분위 확인하시고, 일단은 의대를 생각하신다면(논술 생각하시는거보니 내신은 어렵다치고) 정시라고 생각하고 달리세요.
    수시는, 논술로 의대 가는 애들도 뭐 논술 전형 뽑는 만큼 가니까 없다고는 말 못하지만, 사실 제 생각엔 정시가 오히려 논술보다 쉬울거같아요.
    연고대 공대 최초합 나올정도면 점수가 아주 나쁜것도 아니구요.
    작년에 제가 아이 정시로 의대 가겠다고 생각하고 수시를 다 논술을 넣은거예요.
    지금 생각해보면 등에 땀 나는 상황이었더라구요.
    만약에 지금 제가 원서를 다시 쓴다면, 정시로 의대를 가겠다 맘 먹고(최저떄문에 의대는 수시건 논술이건 학종이건 수능은 무조건 잘봐야하니까 수능 준비는 늘 철저)
    카이스트 서울대 고대 공대 원서 넣을거예요. 수능이 평소 모의대로만 나와도 정시로 의대 무난히 갈만한 성적이었기에 안일하게 원서 썼는데, 지금이라면 정시 염두에 두고, 수능 결과보고, 서울대는 면접을 안가면 되고 다른 공대는 논술을 안가면 되니까요.
    그나마 의대는 정시로 많이 가니, 그나마 상황이 좀 나아요. 그리고 올해는 정원도 더 늘어나니까요.
    막상 수시쓸때 원서 낮춰쓰기 쉽지않지만,그래도 떨어지는거보다는 붙는게 낫고, 재수도 생각하면되니까 마음 넉넉히 편하게 가지세요.
    그리고 의대도 추합 정신없이 돌아요.
    수시쓰고 마음 풀어지지않게 다잡는것도 중요하구요..

  • 8. ...
    '16.6.10 5:48 PM (183.98.xxx.95)

    공대 합격하면 갈건가요?
    아니라면 그냥 의대 쓰세요..
    재수를 해서라도 의대 갈 거죠?
    그럼 의대 다 쓰시는게 맞아요..정시에 수능 점수 안나오면 그에 맞춰서 공대라도 갈거면 몰라도
    아니라면 다 의대 쓰는겁니다
    논술 학종 정시 ..의대는 뭐든 어려워요
    우선은 학교 선생님과 의논하시고 아이와도 충분히 대화를 나누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3745 강남역이나 성모병원 앞에 무슬림 여자들 왤케 많아요?? 16 두건쓴 여자.. 2016/09/08 3,417
593744 바디크림 핸드크림 풋크림 성분 거의 비슷하겠죠? 5 질문 2016/09/08 1,806
593743 내 주변엔 다 아픈사람들만. 숨막혀요 5 aliceI.. 2016/09/08 2,471
593742 [조언구합니다]집 앞에 물건 쌓아놓는 이웃 해결방법 5 민이네집 2016/09/08 2,146
593741 남편 외도알고난후 시댁 가기싫어요.. 38 명절 2016/09/08 18,182
593740 공기청정기는 계속 켜두는 건가요? 3 시저 2016/09/08 2,938
593739 초등학생 아이둘과 서유럽,vs크로아티아 ? 2 고민 2016/09/08 831
593738 진주맛집 진주 2016/09/07 918
593737 동서가 하는 말 4 아하하하하 2016/09/07 2,897
593736 호칭문제 보통 남자가 자기 남동생 여친을 부를때 아가씨라고 하는.. 6 .... 2016/09/07 903
593735 서초 도곡 역삼 쪽 아파트 매매 문의드려요 16 나나 2016/09/07 5,216
593734 치약이 잇몸에 닿으니 너무 시린데요 2 .. 2016/09/07 758
593733 30대 초반 미시분들~ 원피스 가을꺼나 겨울거 브랜드 추천좀요 2 추천부탁 2016/09/07 1,789
593732 테일러 스위프트는 왜 비호감이 된거죠? 7 .. 2016/09/07 3,374
593731 김구라는 왜 끊임없이 나올까요? 49 111 2016/09/07 5,796
593730 소원 들어주는 82 9 *-* 2016/09/07 1,132
593729 시어머님들... 5 00 2016/09/07 1,703
593728 미국에서 아기 맡기는 비용 1 아이 2016/09/07 627
593727 리브로피아 앱 , 노트 원에서는 실행이 안되나요? 3 어려워 2016/09/07 374
593726 베란다 탄성코팅 비용 2 샤방샤방 2016/09/07 4,888
593725 요즘 설경구 영화요 5 모카 2016/09/07 1,895
593724 편안한 신발 어떤게 있을까요? 3 신발 2016/09/07 1,428
593723 청국장을 끓였는데 맛이 안나요 4 한라 2016/09/07 1,283
593722 광주광역시 상견례 장소 추천해 주세요~ 다함께퐁퐁퐁.. 2016/09/07 1,142
593721 다세대(빌라) 거주 고려중인데요 아파트 랑 어떤게 다르나요? (.. 6 다세대 2016/09/07 2,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