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 많이 읽는거에 비해 글쓰기 실력이 별로인 아이

도레미 조회수 : 1,424
작성일 : 2016-06-07 12:58:46

이런 아이는 어떻게 해줘야 글쓰기 실력이 늘어날까요?

책은 정말 틈만 나면 앉아서 보는 그런 아이입니다

그런데 글쓰기하라고하면 단순한 열거 나열식이거나

방향을 잘못잡고 뭐라써야할지 모르겠다고 고민하면서 시간보내고 그러네요

IP : 183.109.xxx.8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글
    '16.6.7 1:27 PM (59.187.xxx.29)

    글쓰기는 어느 정도 타고 나는 거라 노력한다고 크게 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그래도 걱정되시면 많이 써 보게 하세요.
    일기, 편지, 독후감, 좋아하는 책 필사 등이요.

  • 2. 일단
    '16.6.7 1:34 PM (222.102.xxx.78)

    날마다 일기를 쓰는 습관도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책만 읽지 말고 필히 독후감도 쓰는 게 좋아요.
    책만 읽는다고 글 잘 쓰는 것도 말 잘 하는 것도 아니거든요. 말이 터지려면 말을 자주 해봐야 하고 글빨이 터지라면 글을 많이 써봐야 합니다.
    심윤경 작가였나 어느 작가였나 헛갈리는데, 이 작가 인터뷰 보니 전공도 아닌데 어떻게 글실력이 늘었냐 물었더니, 본인은 어릴 때부터 글쓰기라고는 일기밖에 쓴 게 없다고 했던 인터뷰가 기억나네요. 어느 정도 타고난 것도 있겠지만 일기는 분명 도움이 됩니다.
    생각해보니 저도 어릴 때부터 일기나 편지 같은 것은 꾸준히 썼어요. 그래선지 학교 다닐 때 작문 과제나 시 제출할 때 점수가 좋았던 편이었어요.

  • 3. ....
    '16.6.7 1:53 PM (211.178.xxx.68) - 삭제된댓글

    몇 학년인가요?

  • 4. 표현력
    '16.6.7 2:14 PM (175.121.xxx.16) - 삭제된댓글

    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대개 그렇죠.
    모방이라도 하면 좀 느는것 같아요.
    좋아보이는 사람을 따라하다 보면 좀 실력이 늘기도 하는 것처럼.

  • 5. 123
    '16.6.7 3:14 PM (211.108.xxx.216)

    책 읽고 나면 아이와 간단하게 대화를 나눠주세요.
    기억에 제일 남은 게 뭔지, 뭐가 제일 좋았는지, 지은이와 생각이 다른 부분이 있다면 뭔지.. 이런 것들이요.
    책 읽은 뒤 엄마와 아이가 어떤 주제로 이야기 나눠보라고 권해주는 자료가 많아요.
    동화책이며 이야기거리 추천해주는 블로그나, 독서교사 지도자료 같은 것도 많고요.
    엄마가 그런 걸 읽어보시고, 아이가 책 읽고 나면 옆에서 대화를 나눠보세요.
    혼자서는 아무런 감도 안 잡히다가도
    옆에서 물어보는 거에 대답을 하다 보면 자기 생각이 정리가 되잖아요.
    일방적인 취조가 되지 않고 대화가 되려면 엄마도 그 책을 함께 읽고 엄마 생각도 이야기해야 하겠지요.
    함께 읽고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엄마가 되어주세요~

  • 6. ..
    '16.6.7 3:26 PM (61.81.xxx.22)

    써봐야 늘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7864 이준기....하...ㅠㅠ 30 .... 2016/09/19 5,986
597863 Ytn 보니까 영남지역 이쪽이 앞으로도 불안하겠네요 3 40줄 2016/09/19 2,761
597862 aeg 하이라이트 사용법 질문 드려요 2 혹시 2016/09/19 615
597861 지진이 인생을 흔드네요 20 .... 2016/09/19 16,804
597860 이 와중에 죄송한데요?? 2 안경 2016/09/19 652
597859 여진 인건지 전진인건지 알수없는거 아닌가요...? 3 아무셔 2016/09/19 1,457
597858 머리가 미친듯 가려운데 왜 그런가요 6 엉엉 2016/09/19 2,253
597857 구르미 중전을 댓글중 누굴 닮았다했는데 8 이 노무 머.. 2016/09/19 2,482
597856 육아 조언 부탁드립니다 7 Sk 2016/09/19 924
597855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좋은 책 2016/09/19 1,714
597854 며느리는 아랫것이라는 인식은 왜 안 바뀌는걸까요? 66 답답 2016/09/19 7,141
597853 지진은 평생 한번이라던 분들 1 ㅇㅇ 2016/09/19 1,525
597852 새차구매vs장기렌트카 3 케로로 2016/09/19 1,157
597851 댓글중에 23일경 큰 지진 예고한다는거 봤는데 8 건강최고 2016/09/19 5,265
597850 사직야구장의 지진 1 ㅇㅇ 2016/09/19 2,020
597849 원전땜에 불안해미치겠어요ㅠ 원전터지면 대피 방법은~? 7 부산댁 2016/09/19 3,403
597848 지진나서 집 무너지면 집 계약은 어떻게....? 5 아리송 2016/09/19 3,225
597847 작곡가 이건희, 이영훈 기억하시나요? 3 대중가요 2016/09/19 1,424
597846 혹시 오늘 송파에서 UFO같은거 보신분 계신가요? 11 ... 2016/09/19 4,300
597845 이 상황에 원전 작동하는게 말이 되나요?? 불안 2016/09/19 342
597844 58키로에서 55키로로 뺐는데 더 뺄까요? 16 다이어터 2016/09/19 5,637
597843 지난번 부산 울산 가스냄새가 지진 전조증상일수 있다네요 1 셰일가스 2016/09/19 2,869
597842 지금 KBS 속보보세요 29 ㅇㅇ 2016/09/19 31,084
597841 요즘 미세하게 땅이 계속 흔들리고 있는것 같네요 6 ㅇㅇ 2016/09/19 2,270
597840 모낭염 치료 시 주의점 좀 알려주세요. 2016/09/19 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