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방바닥만 타일 깔아보신 분?

인테리어 힘들 조회수 : 5,502
작성일 : 2016-06-07 09:00:22
이번에 이사가면서 집을 살짝 손보려고 합니다.
전 집주인이 워낙에 손을 많이 본 집이라서 몇군데만 고칠 예정인데요.
그 중 하나가 주방바닥 포세린 타일 까는거에요.
손목 아프도록 검색해 보니까 거실에 마루깔고 주방에 포세린 까는 공사를 동시에 하지 않으면 바닥단차가 생긴다고 해서 고민이네요.
그냥 무시해도 되는 단점인지.. 아님 보기 싫을런지요.
혹시 주방 바닥만 타일 깔아보신 분 계시면 정보 좀 주세요.

그리고 타일공사는 어디가서 알아보나요?
도배는 방산시장에서 하려고 합니다. 추천해주실 곳 있으시면 부탁드려요.

IP : 211.36.xxx.34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포세린타일
    '16.6.7 9:25 AM (210.179.xxx.70)

    전 주방은 아니고,, 욕실과 현관에 포세린 타일을 깔았습니다.
    욕실에 포세린 타일을 까니...단가는 일반 타일보다 훨씬 비쌌지만 만족합니다...
    타일은 논현동 [윤*상재]에 가서 구입했고,, 공사는 타일 구입시 연결해달라고 하시면 해주기도 합니다.
    아니면,,집 주변 인테리어 가게에 가서 소개 시켜달라고 하셔도 될거구요~
    제가 아파트 전체 인테리어 공사를 1달간 대대적으로 해보니..
    타일하시는 분 인건비가 제일 비싸더라구요 ㅎ
    또 노련미가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도 되구요^^ 이쁘게 수리하세요

  • 2. ..
    '16.6.7 9:29 AM (180.64.xxx.195)

    근데 포세린 타일 때 잘 안지지 않나요?
    저는 무광 타일을 현관에 깔았더니.. 때가 잘 안져서..

  • 3. 저는
    '16.6.7 9:47 AM (199.65.xxx.4)

    올수리 하면서 부엌만 타일 (포쉐린인지 몬지는 모르겠어요 그냥 내 눈에 예쁜 수입타일로 골랐음) 깔았는데 마루하고 만나는 부분 단차없게 시공하려고 부엌쪽으오 가면서 마루를 아주 약간씩 바닥을 높여가며 시공했어요
    요즘 인테리어 사진보면 주방 타일 거실은 마루 이렇게 다들 하는것 같지만 의외로 시공하시는 분들은 깔끔하게 나오기 어렵다고 살짝 꺼리시는 것 같구요 (한 공간에 재료를 다르게 하는거) 그리고 종류마다 다소 다르겠지만 수입타일이 국산타일보다 두꺼운 경우가 많다고 하시더군요. 시공하시는 분을 불러서 먼저 집 상태를 보고 결정하시는게 좋을것 같고 더욱이 원래 마루를 그대로 살려서 쓸거라고 하시니. 그리고 만약 단차가 난다면 어른은 무시할 만한 수준일수도 있지만 발을 찧거나 이런 일이 있을구 있고 아이가 있는 집은 다칠 위험이 있어 (그게 1-2mm라도 엄청나요) 비추입니다.
    타일은 인테리어 맡길 분한테 얘기하면 가게를 추천해주실거구요 아님 타일먼저 고르고 가게에다 얘기하면 업자를 연결해주기도 하고
    윤* 상재 를 비롯 타일가게 논현동에 많구요 윤* 은 아주 예쁘고 고급스런 타일들이 많습니다
    예쁘게 수리하세요

  • 4. 와우
    '16.6.7 11:40 AM (210.112.xxx.139)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5. 어머나
    '16.6.7 11:52 AM (211.200.xxx.3)

    저는 얼마전에 부엌만 깐 집 봤어요
    제가 봤던 집은 정말 안 어울렸어요 나름 검은 싱크대에 맞춰서 블랙, 화이트로 바닥 타일 깔았는데...
    정말 생뚱맞았어요

    잘 어울리는것으로 잘 매치해보셔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7931 자궁근좀땜 얼마전 글올렸는데 심란하네요 31 왕심란 2016/09/20 6,595
597930 저보단 아들이 나은 인간인것 같아요 10 ㅇㅇ 2016/09/20 2,283
597929 주말부부 정말 좋네요 74 ... 2016/09/20 25,236
597928 정권 핵심과 '미르-K스포츠-최순실' 연루 의혹 (한겨레 사설).. 한겨레 2016/09/20 1,015
597927 지진 크게 올땐 현관문을 열어놓으랍니다 2 gjdj 2016/09/20 1,735
597926 지진이 무섭지만 아이고 2016/09/20 685
597925 제주도 롯데호텔 풀빌라 두돌아기랑 갈만할까요? 3 2016/09/20 2,109
597924 2016년 9월 20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2 세우실 2016/09/20 488
597923 강도 7 지진이 올 수 있다네요 26 …. 2016/09/20 23,430
597922 밤사이 여진이 20회 더 왔나봅니다 6 경주지진 2016/09/20 3,807
597921 저밑에 부엌데기 평등 의견을 보고 전업탈출만이 향후22세기 정답.. 12 부억데기탈출.. 2016/09/20 2,195
597920 이번에도 국민 안전처 홈피는 또 먹통 6 관심없나 2016/09/20 490
597919 작년에 담근 쑥 엑기스가 위에 곰팡이가 5 가을 2016/09/20 1,428
597918 진짜 용감한 무신론자 내지는 안티 개독이 한분 계시네.. 58 ... 2016/09/20 3,124
597917 몽쉘 녹차맛은 왜 광고만 해 놓고 오프라인에선 안팔아요? 3 .. 2016/09/20 1,983
597916 무대에서 집중할 수 있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2 집중력 2016/09/20 597
597915 맨날 자기 하소연하는 친구 어떠세요? 15 ㅇㅇ 2016/09/20 7,246
597914 경기남부인데 지금 지진있는거 아니죠? 7 2016/09/20 3,696
597913 6세 위인전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싱고니움 2016/09/20 1,727
597912 노후준비 5 2016/09/20 2,940
597911 이 게시판에서 종교 전도글을 신고하려면 어디에 해야 하나요?(내.. 65 ........ 2016/09/20 3,037
597910 경찰대출신 경찰 정도면 선자리 어떻게 들어오나요 ? 16 a 2016/09/20 11,441
597909 적양배추 농약 많이 주나요? 1 .. 2016/09/20 1,383
597908 오늘밤을 무사히 넘길 수 있겠죠? 6 괜찮겠죠 2016/09/20 2,257
597907 '할마 할빠'가 키운 아이, 어른 공경심 더 높다??? 11 zzz 2016/09/20 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