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부동산 분위기 어떤가요

조회수 : 6,355
작성일 : 2016-06-04 12:42:32
실수요자이구요.
무슨 배짱인지 일에 바빠서, 또 거시경제 흐름이 좋지 않다는 생각에 부동산을 눈여겨 봐오진 않았더랬어요.
최근 일 쉬면서 이것저것 기사 읽고, 인터넷 글 읽고,
포털에 부동산 섹션도 가보고 하는데,
분위기 파악이 잘 안되네요.
예전엔 부동산 폭락이다, 마지막 폭탄 돌리기다. . 그런 글만 눈에 들어오더니, 요새는 집 샀다는 사람들 왜이리 많은걸까요.
제가 사는 동네만 해도 최근 1-1.5년 사이에 1억 이상 오른 것 같은데. . 이게 일시적인 거겠지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지금 집 안사면 괜찮은? 지역에 들어가긴 쉽지 않겠구나 생각도 드네요.
재건축 중심으로 좀 들썩인다는 생각도 들고,
강남, 목동, 잠실 등 선호 주거지?? 암튼 그런 지역들은 부동산 폭락해도 내릴 것 같지 않고. .
뭔가 요즘이 큰 흐름이 새로 시작되기 직전 같다는 막연한 느낌도 들고 하는데. . .
제가 선택적으로 보고싶은 것만 보고 있는건지. . .
생각정리가 잘 안되네요.
IP : 221.151.xxx.81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각자
    '16.6.4 12:44 PM (59.22.xxx.45)

    알아서 판단.
    이런 사이트에서 조차 집값 분위기 띄우는 글이 많아서요.
    항상 그 글엔 그래요.
    집값이 1억은 올랐더라..

  • 2. 서울
    '16.6.4 12:46 PM (49.174.xxx.158)

    서울은 오르고 있고 지방은 내려가는 분위기에요.
    선호하는 주거지는 가격폭락은 없지 싶네요..

  • 3. ㅡㅡ
    '16.6.4 12:50 PM (39.118.xxx.2) - 삭제된댓글

    지방 집값 안내려가던데요..
    여기 주변은 전세 5~7천 올랐어요
    1년 사이에..

  • 4.
    '16.6.4 12:53 PM (221.151.xxx.81)

    그쵸. . 부동산 까페 가보면 정말 이 사람들이 다 일반인일까 싶을 정도로 상승을 점치고 굳게 그렇게 믿는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그냥 그 사람들 글을 액면가대로 믿을 건 아니다 싶어서요.
    넋놓고 있다가 집값만 올랐고. . 전세는 인상분을 월세로 받겠다 하고. . 지금 사는 아파트는 살 돈이 있지만 좀 대출받아도 투자가치 있는 데다 샀음 싶고 그러네요.

  • 5. 경기도남부
    '16.6.4 12:54 PM (223.62.xxx.61)

    5천에서 1억정도 올랐어요 작년에 비해서

  • 6. ㅡㅡ
    '16.6.4 12:55 PM (39.118.xxx.2) - 삭제된댓글

    경기도 남부님 지역이 어딘가요?
    저희도 경기도 남부에요. ㅋㅋ
    같은 지역이 아닐까..란 생각이드네요.

  • 7. 범보
    '16.6.4 1:00 PM (223.62.xxx.121)

    하락 분위기에서 살짝 받혀주는 기사들이 등장 중입니다. 예를들면 중국인들이 서울쪽도 손대고 있다 같은...

  • 8. 집값
    '16.6.4 1:03 PM (59.22.xxx.45)

    오르셨다고 댓글 다시는 분들 혹은 내렸다고 댓글 다시는 분들
    정확히 어느 동네인지 아파트 이름까지는 아니더라도
    밝혀 주셔야 믿지 안그럼 못믿겠던대요.
    경기도는 서울 떠난 사람들이 이주하느라 전세값이 많이 올랐다고..

  • 9. 저희
    '16.6.4 1:05 PM (175.209.xxx.57)

    집 팔까 알아봤더니 한두달 사이에 또 1억 이상 올랐어요. 강남 재건축요.

  • 10. 오름세
    '16.6.4 1:06 PM (223.62.xxx.101)

    강남재건축중심으로 오르고있습니다
    인천도재개발난리구요
    분양권은 피가 오천씩도붙고있어요
    팩트만알려드리는거예요

  • 11. 간단한 방법
    '16.6.4 1:20 PM (218.152.xxx.179)

    부동산실거래 사이트 들어가서 일년치 뽑아보면 올랐는지 안 올랐는지 금방 알텐데...주먹구구로 안 올랐네는 또 뭔지. 정신승리인가...

  • 12.
    '16.6.4 1:23 PM (117.111.xxx.106)

    마지막고점아닐까요
    끌다가끌다가서서히추락하겠지요 근데 한삼년까지는 내리는체감은 더딜것같아요

  • 13. ㅇㅇㅇ
    '16.6.4 1:29 PM (175.223.xxx.133)

    저도 살 기회만 보다 돈도 없고 해서 못샀는데
    더더 오르는 것 같아서ㅠ
    진짜 망했어요.
    서울 선호 지역은 더 오를 것 같아요.

  • 14. 불변의진리
    '16.6.4 1:52 PM (39.7.xxx.15)

    각 도시의 좋은지역( 주로 학군 좋고 편리하고 거주자들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은 절대로 안떨어져요. 전라도 광주 봉선동 같은곳만 제외하면... 누구나 살고싶어하는 지역에 투자하세요.

  • 15. ㅇㅇㅇ
    '16.6.4 1:56 PM (175.223.xxx.137) - 삭제된댓글

    2006년도짝 날까바 그러는건지
    정부에서 대출규제도 하고
    행복주택 뉴스테이 민간분양등등
    분양물량이 폭탄급이라
    힘있게 못오르고 살살 오르는듯

  • 16. 부동산
    '16.6.4 3:08 PM (121.163.xxx.196)

    강남에 재건축 아파트 갖고 있는데 8억에서 10억정도로 올랐구요
    (실거래가 기준.2년전에 비해)

    일산 낡은 아파트 기준으로는 33평 3억초반이 3억 후반된거 같구요
    미사, 삼송 같은 곳은 33평 기준으로 한 1억 오른거 같습니다

    내년초쯤 고점 찍고 2018년은 공급과잉으로 내릴거 같아요

  • 17. ..
    '16.6.4 3:44 PM (223.62.xxx.121)

    실수요자면 살고 싶은 곳에 능력 되심 대출 받아 사세요
    님이 살고 싶은 곳 다른 사람도 살고 싶어하면 안내려요
    2006년 폭락한 지역은 경기도 대형 평수지 서울 역세권은
    다 회복하고 전고점 돌파했구요
    연봉 되는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동네는 안내린다고 보심돼요. 예를 들어 마포가 왜 올랐겠어요? 여의도 광화문
    출퇴근 고연봉 맞벌이들이 수요를 탄탄히 받쳐주기 때문이에요. 저도 개인적으로는 대세 상승장이 곧 오리라
    생각합니다.

  • 18. 은행...
    '16.6.4 4:10 PM (1.237.xxx.219) - 삭제된댓글

    은행이 문제인 것 같아요.
    안 그래도 지금 거래 절벽이 온 게 은행 대출을 규제해서 그런건데...
    (그래서 대출 규제를 피할 수 있는 신규 분양으로 사람들이 많이 몰렸죠.
    중도금 집단대출은 규제를 따로 받지 않았으니까...)
    지금 은행이 조선 건설 업종에 대출해주고 떼이게 생긴 돈이 어마어마하거든요.
    그야말로 완전히 매몰비용되게 된 건데...
    그렇게 되면 은행도 재무 건전성 생각해서 앞으로 자기 살길 도모하는 방법밖에는 없거든요.
    대출은 줄이고 기존 대출 회수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지 싶어요.
    워낙 천문학적인 금액을 날리게 생겨서 방법이 없을 듯해요

  • 19. ㄴㄴㄴ
    '16.6.4 5:09 PM (42.82.xxx.3)

    입지 좋은 곳은 돈 가진자들이 장악해요.
    서민들 이것저것 고르는 사이 어느새 훽!?! 채갑니다.
    인플레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구요. 한국 돈이 워낙 가치가 없으니 실물 자산 확보해 놓으려고들 하죠.
    전반적으로 아파트는 서서히 내려가거나 보합 또는 입지 좋은 곳은 약간의 상승이지만 땅값은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 20. 어제
    '16.6.4 5:54 PM (152.99.xxx.239) - 삭제된댓글

    이런 분야 전문가 강의 고려대에서 듣고 왔는데요
    집값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강남3구 자기네끼리 쉴드치며 수성하고 있지만 그거 웃기는거다.
    결국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걸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근거를 대며 설명해주시더군요

    어제 강의 듣던 분들 평균 연령이 50세 정도 되었는데
    나름 다들 어느 정도는 노후가 보장되었다는
    사람들이지만 충격적으로 피부에 와 닿더군요.

    이제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지났어요
    일단 인구구조 때문에 그렇습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대를 넘는 시대는 이제 오지 않는다해요
    왜요? 그것도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인구구조가 주요 원인입니다.

  • 21.
    '16.6.4 6:45 PM (119.70.xxx.204)

    그전문가 혹시 선대인은 아니겠죠
    그사람 돈벌고싶음 집팔고 주식하라는사람이예요
    서민들이 돈벌길은 그거밖에없다고
    진짜욕나옴

  • 22. ...
    '16.6.4 6:57 PM (211.202.xxx.30)

    실수요자로 일년넘게 알아보다 며칠전 강남3구중 한곳 계약했어요. 한동네 주시하고 계속 집보러다니다 급매나와서 그날 바로 계약했어요. 떨어져도 우리가 살아도 되겠단 곳으로 요. 마흔넘어서 집한채 없으니 불안하더라구요.

  • 23. ..
    '16.6.4 8:06 PM (39.118.xxx.106)

    저희도 경기 남부인데 집값 많이 올랐어요.
    꾸준히 오르고 있다 봐야죠.

  • 24. 일시적인거,,,
    '16.6.9 11:28 PM (211.193.xxx.250) - 삭제된댓글

    말씀하신대로 개포, 과천 재건축 등으로 전세난 때문에 전세가가 좀 올랐구요. 덩달아 매매가도 좀 올랐죠,,,, 하지만, 그들이 입주하는 내년, 내후년은 어찌될지,,,ㅋ
    아파트는 사고난 뒤부터 꾸준히 내리고 0으로 수렴하는 소모품이랍니다. 우리나라의 이런 비정상적인 거품이 언제 꺼질지 조마조마한 시점이에요. 마지막으로 털고 나오실 기회이기도 하구요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0290 편의점 얼음 타먹는 음료 맛있는거 좀 알려주세요. 아이스티 2016/07/28 376
580289 카누를 진하게 타서 얼음 넣고~ 우유 넣어 먹는게 너무 맛있어요.. 6 두딸맘 2016/07/28 3,278
580288 철면피 부부를 봤어요 27 참내 2016/07/28 20,168
580287 상황 보시고 댓글좀부탁드립니다 아이와 문제.. 54 ㅡㅣ 2016/07/28 5,849
580286 부황 멍들었는데 태닝해도 괜찮나요? 1 루미에르 2016/07/28 2,266
580285 소비자가 뽑은 **부문 대상 1 여름 2016/07/28 490
580284 김영란법 통과 -49,900원짜리 상품권. 2 .... 2016/07/28 1,990
580283 튜브 바람 넣는 에어펌프 어디서 구입할수있나요?(급) 4 급해요 2016/07/28 574
580282 괌 4박 온워드 에어텔 290만원. 10월말 요금인데 어떤가요?.. 13 아들둘 2016/07/28 1,959
580281 .. 1 .... 2016/07/28 680
580280 헌법재판소에 이것도 맡기면 어떨까요? 2 아마 2016/07/28 439
580279 노래를 들으면서 이런 느낌이 들긴 또 처음이네요... 4 ... 2016/07/28 1,008
580278 영어 다시 봐주세요 10 한번 2016/07/28 967
580277 가슴이 너무답답해서 숨쉬기가 힘들어요 7 답답 2016/07/28 1,886
580276 일드 또 뭘 볼까요? 10 추천좀 2016/07/28 1,963
580275 김영란법 합헌결정되었네요 9 00 2016/07/28 1,731
580274 1956년생이 올해 회갑? 환갑 맞나요 4 질문요 2016/07/28 7,449
580273 부산행 봤어요 6 나여라 2016/07/28 1,872
580272 신문광고 복부벨트형 운동기구사용하시는분 2 ems 2016/07/28 520
580271 시부모님이 둘째안낳을 거면 이혼하라고 하셨나봐요 33 ㅇㅇㄱ 2016/07/28 16,552
580270 홋카이도 여행 궁금해서요 마인 2016/07/28 598
580269 벽걸이 에어컨 추천 좀 부탁드려요. 7 다시시작1 2016/07/28 10,774
580268 테크하고 비트 세정력 어디가 좋은가요? 2 ^^* 2016/07/28 1,197
580267 작년에 다녀온 러시아가 눈에 밟혀요 19 여행중독 2016/07/28 4,683
580266 한복 빌려보신 적 있나요? 7 올림 2016/07/28 1,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