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착촌이란 어떤 형태를 말하나요?

자세히 조회수 : 679
작성일 : 2016-06-02 09:19:29

아이가 읽는 책에 정착촌이란 말이 여러번 나와요.

팔레스타인 아이가 주인공인 책이네요.

뜻이 뭐냐 물어보는데

일정지역에 자리를 잡고 머물러 있는것이라 설명해 놓구 사전과 네이버에 찾아보니 없네요?

정착촌은 마을이 형성되기 전 형태를 말하나요?


딴지 거는 댓글 사양합니다.~~

IP : 121.160.xxx.168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래
    '16.6.2 9:24 AM (210.0.xxx.231) - 삭제된댓글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유목민들이었어요.
    사막을 떠돌며 살았더랬죠.
    유럽의 유태인들이 2천년 전의 인연을 이유로 들이닥치면서 그들을 강제로 한 곳에 정착시켜 살게 한 곳이 정착촌입니다.

  • 2. 제제
    '16.6.2 9:25 AM (119.71.xxx.20)

    정착은 고정된거 아닌가요?
    이주민들이 모여서 만든 마을.
    꽤 많은 사람들이 살게 되어 논,밭경작하고 어느정도의 경제적 활동이 가능한 곳..
    팔레스타인 지구내 이스라엘 정착촌 말하는 거 아닌가요?

  • 3. 원래
    '16.6.2 9:25 AM (210.0.xxx.231)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유목민들이었어요.
    사막을 떠돌며 살았더랬죠.
    유럽의 유태인들이 2천년 전의 인연을 이유로 들이닥치면서 그들을 강제로 한 곳에 정착시켜 살게 한 것이 정착촌입니다.

  • 4. 안나파체스
    '16.6.2 10:45 AM (49.143.xxx.205) - 삭제된댓글

    원래 사람이 살지 않던 땅에 대규모의 인구가 이주하면서 생긴 마을이라고 하면 될 거예요.
    기후나 정치상황 때문에 강제로 이주하던 자의로 옮기던.....

  • 5. 안나파체스
    '16.6.2 10:48 AM (49.143.xxx.205) - 삭제된댓글

    원래 사람이 살지 않던 땅에 대규모의 인구가 이주하면서 생긴 마을이라고 하면 될 거예요.
    기후나 정치상황 때문에 강제로 이주하던 자의로 옮기던.....
    급조한 형태라서 수도나 도로, 관공서, 병원 등의 편의 시설이 부족하고 원래 인간이 살지 않던 땅이거나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이었으니 자연환경도 그다지 좋지 않은 곳이죠..

  • 6. 안나파체스
    '16.6.2 10:50 AM (49.143.xxx.205) - 삭제된댓글

    원래 사람이 살지 않던 땅에 대규모의 인구가 이주하면서 생긴 마을이라고 하면 될 거예요.
    기후나 정치상황 때문에 강제로 이주하던 자의로 옮기던.....
    급조한 형태라서 주택자체의 상황이 열악하고 수도나 도로, 관공서, 병원 등의 편의 시설도 부족하고 원래 인간이 살지 않던 땅이거나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이었으니 자연환경도 그다지 좋지 않은 곳이죠.
    농경이나 목축등의 경제활동 하기도 여의치 않은 곳이 많고요.

  • 7. 안나파체스
    '16.6.2 10:59 AM (49.143.xxx.205) - 삭제된댓글

    원래 사람이 살지 않던 땅에 대규모의 인구가 이주하면서 생긴 마을이라고 하면 될 거예요.
    기후나 정치상황 때문에 강제로 이주하던 자의로 옮기던.....
    급조한 형태라서 주택자체의 상황이 열악(가족수에 비해 좁은 가옥. 기능별로 분리되지 않은 실내공간)하고 수도나 도로, 관공서, 병원 등의 편의 시설도 부족하고 원래 인간이 살지 않던 땅이거나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이었으니 자연환경도 그다지 좋지 않은 곳이죠.
    농경이나 목축등의 경제활동 하기도 여의치 않은 곳이 많고요.
    도로망 미비로 인한 상시적인 고립과 자원과 물자의 부족....정치적인 강제 이주였다면 자유도 억압되었을거구요.

  • 8. 안나파체스
    '16.6.2 11:01 AM (49.143.xxx.205)

    원래 사람이 살지 않던 땅에 대규모의 인구가 이주하면서 생긴 마을이라고 하면 될 거예요.
    기후나 정치상황 때문에 강제로 이주하던 자의로 옮기던.....
    급조한 형태라서 주택자체의 상황이 열악(가족수에 비해 좁은 가옥. 기능별로 분리되지 않은 실내공간)하고 수도나 도로, 관공서, 병원 등의 편의 시설도 부족하고 원래 인간이 살지 않던 땅이거나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이었으니 자연환경도 그다지 좋지 않은 곳이죠.
    농경이나 목축등의 경제활동 하기도 여의치 않은 곳이 많고요.
    도로망 미비로 인한 상시적인 고립과 천연자원과 물자의 부족....정치적인 강제 이주였다면 자유도 억압되었을거구요.

  • 9. 안나파체스
    '16.6.2 11:10 AM (49.143.xxx.205) - 삭제된댓글

    경제적으로 고림된 마을이라서 외부의 지원(강제이주라면 정부의 코딱지만한 굶어죽지 않을 만큼의 지원이 있겠죠)이 있어야 마을이 유지되고요....외부와의 관계가 단절되면 오래 유지되지 못하고 소멸하기도 해요.

    주로 신대륙 개척기나 SF소설같은 곳에 정착촌이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죠.
    최근에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이나 구소련의 고려인 정착촌이 있고요.
    인간답게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자유롭게 살기에는 불가능한 환경이죠.
    긍정적인 면을 찾는다면 인간이 살지않던 새로운 땅을 개척한다, 주민들간의 환경이 유사하기에 공동체의식이 발달한다는 정도겠죠.

  • 10. 안나파체스
    '16.6.2 11:15 AM (49.143.xxx.205)

    경제적으로 고립된 마을이라서 외부의 지원(강제이주라면 정부의 코딱지만한 굶어죽지 않을 만큼의 지원이 있겠죠)이 있어야 마을이 유지되고요....외부와의 관계가 단절되면 오래 유지되지 못하고 소멸하기도 해요.

    주로 신대륙 개척기나 SF소설같은 곳에 정착촌이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죠.
    최근에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이나 구소련의 고려인 정착촌이 있고요.
    인간답게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자유롭게 살기에는 불가능한 환경이죠.
    긍정적인 면을 찾는다면 인간이 살지않던 새로운 땅을 개척한다, 주민들간의 환경이 유사하기에 공동체의식이 발달한다는 정도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8036 수시학교 비교좀해주세요. 29 푸른바다 2016/09/20 2,752
598035 명절 전날 늦는걸로 매번 집안이 살벌해요 34 mm 2016/09/20 6,757
598034 이 와중에도 웃을일은 있네요 2 지진 2016/09/20 850
598033 이런 아이는 2 기대 2016/09/20 495
598032 가사도우미를처음시작하려고하는데요. 7 가사도우미 2016/09/20 1,830
598031 중딩아들의 사회성 3 2016/09/20 1,237
598030 결혼해서 좋은점 나쁜점 3 결혼25년차.. 2016/09/20 903
598029 그릇 고수님들, 결혼 선물 좀 골라주세요~~ 9 데이지 2016/09/20 1,583
598028 지진 정말 이대로 괜찮은건지 ;;; 4 지진 2016/09/20 1,315
598027 지진 겪고는 싱크대 상부장의 무거운 물건들을 다 내다버리려고 꺼.. 6 대구.. 2016/09/20 2,199
598026 알레르기 비염에 좋은 게 작두콩. 유근피인가요?? 5 .. 2016/09/20 2,119
598025 붙박이장과 일반장중에 6 고민 2016/09/20 1,904
598024 폭식증 고치신 분 도움이 필요해요 3 폭식 2016/09/20 1,199
598023 참여정부위기관리대응 매뉴얼 중국도 벤치마킹해갔었네요. 7 ㄹㄹ 2016/09/20 763
598022 이문열 소설읽다가 의아한점 23 ㅇㅇ 2016/09/20 3,038
598021 직장맘 이사갈 동네 고민입니다. 6 엄마 2016/09/20 1,172
598020 방금전 여진 또 있었대요.. 1회추가 되서 401회 1 경주지진특보.. 2016/09/20 1,560
598019 큰 지진 오면요 1 . 2016/09/20 971
598018 미니백 추천해주세요~~ 5 Mini 2016/09/20 1,950
598017 거짓말하는 남편 어떻게 할까요... 2 도움절실 2016/09/20 1,590
598016 어제 지진 이후 아파요.. 1 .. 2016/09/20 703
598015 아기 키우는 친구집에 방문할 때... 4 고민 2016/09/20 1,045
598014 추석선물 받거나 선물하신것중 5만원선 먹거리 추천부탁이요 9 2016/09/20 1,125
598013 비정상 회담을 주행하고 있는데 6 ㅇㅇ 2016/09/20 1,339
598012 50이후에 새로운걸 배우는분들 계신가요? 7 인사동카페 2016/09/20 2,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