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프랑스나 남유럽 음식도 손이 많이 가나요?

푸른 조회수 : 934
작성일 : 2016-05-31 15:36:41

  결혼해서 한식 집밥을 해 보니, 한식 나물반찬이나 김치 종류들이 손이 많이 간다는 걸

  몸으로 느끼게 되네요.

   가사일을 별로 안 해 본 대학 때 , 독일에서 생활해 본 페미니즘 여성이 쓴 책을 읽었는데

 (제목은 가물가물~기억 안나요~)독일에선 아침은 갓 구워낸 빵집 빵이고 식생활이 간단해서

   여성들이 가사일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썼더라고요.

  

    그런데 프랑스나 이탈리아 남유럽 같은 곳은 음식문화가 발달해 있잖아요.

    집에서 만드는 음식이나 쨈, 소스들이 많을 것 같아요.

    외식도 별로 자주 안 할 것 같고....

    프랑스 여행 갔을 때, 거기서 국제결혼해서 오래 사신 한국여성분이(숙소 안주인셨음)

    프랑스 여자들이 한국여자들보다 더 대단하다는 뉘앙스로 말씀을 하셔서....

    집에서 요리나 음식 다 만들고 외모도 또 프랑스 여자들이 그렇게 가꾸더군요

    거기다 직장생활 하는 여자들도 많다고 하던데...


    남유럽에서 살아보신 분들, 음식 만드는 주부들 일이 많나요?

IP : 58.125.xxx.116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31 4:27 PM (95.232.xxx.177) - 삭제된댓글

    이탈리아 살고있어요. 여러 친척들 친구들 친구네 가족들 티비프로그램 등등 여태껏 보고 듣고 겪은 사실을 종합해 보자면 한국 주부들이 일이 더 많은거 같아요.

    이탈리아 아침은 워낙 간단해서 우유나 쥬스나 커피에 빵이나 비스켓 먹거든요. 아침에 요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아침이 간단하니 점심전에 간식시간 갖는 경우가 있고 점심도 간단히 먹어요. 직장인들은 회사식당에서 먹거나 주변 레스토랑에서 먹고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샐러드 하나로 한끼먹기도 해요. 집에서 준비해가는 경우도 각종 치즈랑 햄을 빵 사이에 끼워먹는 파니노 가져가니까 요리할 필요가 없죠.

    저녁은 대체로 집에서 먹는데 주부가 본격적으로 요리하는 시간이겠네요. 아주 전통적인 방법으로 요리를 하자면 두세시간 소스를 끓이고 밀가루 반죽을 해서 면을 만들고 고기나 생선도 오래 익혀서 변형시키고 각종 단 후식도 준비하고 오래 걸릴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생파스타, 건파스타, 라비올리 등등 맛있고 신선하게 종류별로 나온거 사다먹고 고기나 생선 간단히 구워서 익힌 야채나 샐러드랑 먹으면 끝이에요.

    저희 시어머니도 상당히 전통조리방법 지키시는 분이지만 밀가루나 쌀가루 헤이즐넛 가루 등등 분량 맞게 넣으면 식사 빵도 빵만드는 기계가 구워주고, 토마토 소스 같은경우 우기농 토마토 수확철에 대량으로 끓여서 냉동해두시고 과일쨈도 한철 만들어 두세요. 결국 식사 전체-프리모-세콘도-과일-단 후식-커피 순서로 차리셔도 손이 별로 안가요. 손님 초대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하시는데 재료만 준비되어 있으면 한시간 전부터 시작하면 충분하고도 남더라구요.

    물론 아주 남부 시골에 제가 아는분 할머니는 아침 6시부터 점심에 먹을 파스타 소스 끓이시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에요.

    글이 길어졌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 주부보다 이탈리아 주부들이 식사준비는 훨씬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한다고 생각해요. 아침 안하는 것만 해도 정말 편하잖아요.

  • 2. ...
    '16.5.31 4:29 PM (95.232.xxx.177)

    이탈리아 살고있어요. 여러 친척들 친구들 친구네 가족들 티비프로그램 등등 여태껏 보고 듣고 겪은 사실을 종합해 보자면 한국 주부들이 일이 더 많은거 같아요.

    이탈리아 아침은 워낙 간단해서 우유나 쥬스나 커피에 빵이나 비스켓 먹거든요. 아침에 요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아침이 간단하니 점심전에 간식시간 갖는 경우가 있고 점심도 간단히 먹어요. 직장인들은 회사식당에서 먹거나 주변 레스토랑에서 먹고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샐러드 하나로 한끼먹기도 해요. 집에서 준비해가는 경우도 각종 치즈랑 햄을 빵 사이에 끼워먹는 파니노 가져가니까 요리할 필요가 없죠.

    저녁은 대체로 집에서 먹는데 주부가 본격적으로 요리하는 시간이겠네요. 아주 전통적인 방법으로 요리를 하자면 두세시간 소스를 끓이고 밀가루 반죽을 해서 면을 만들고 고기나 생선도 오래 익혀서 변형시키고 각종 단 후식도 준비하고 오래 걸릴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생파스타, 건파스타, 라비올리 등등 맛있고 신선하게 종류별로 나온거 사다먹고 고기나 생선 간단히 구워서 익힌 야채나 샐러드랑 먹으면 끝이에요.

    저희 시어머니도 상당히 전통조리방법 지키시는 분이지만 밀가루나 쌀가루 헤이즐넛 가루 등등 분량 맞게 넣으면 식사 빵도 빵만드는 기계가 구워주고, 토마토 소스 같은경우 우기농 토마토 수확철에 대량으로 끓여서 냉동해두시고 과일쨈도 한철 만들어 두세요. 결국 식사 전채-프리모-세콘도-과일-단 후식-커피 순서로 차리셔도 손이 별로 안가요. 손님 초대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하시는데 재료만 준비되어 있으면 한시간 전부터 시작하면 충분하고도 남더라구요.

    물론 아주 남부 시골에 제가 아는분 할머니는 아침 6시부터 점심에 먹을 파스타 소스 끓이시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에요.

    글이 길어졌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 주부보다 이탈리아 주부들이 식사준비는 훨씬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한다고 생각해요. 아침 안하는 것만 해도 정말 편하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9725 문짝, 문고리 수리하려면 어디 연락해야 하나요? 2 속상해요 2016/08/26 1,174
589724 생리기간 끝나니 입에서 썩은내 덜하네요 2 왜그럴까 2016/08/26 1,555
589723 고놈 참 크게 될 놈일세 4 웃겨라 2016/08/26 1,164
589722 뭔가 좀 기본적 신상이 걸러진 게시판 없나요? 7 에고 2016/08/26 650
589721 성당이나 교회에서 새벽기도하는 방법, 7 궁금합니다 2016/08/26 4,807
589720 딤채 4룸 스탠드형 김치냉장고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4 엄마 사드릴.. 2016/08/26 2,083
589719 퍼미네이터 아세요 8 궁금 2016/08/26 1,355
589718 오늘 비가 와서 그런지 선풍기 트니 춥네요 1 ..... 2016/08/26 325
589717 세월호 유가족 “더민주는 쇼조차 하지 않는다”ㅡ펌 1 좋은날오길 2016/08/26 685
589716 추석이 다가오면 즐거워야 하는데 6 들리리리리 2016/08/26 1,393
589715 며느리만 일하는거 너무 부당하지 않나요 46 좀나 2016/08/26 6,619
589714 자궁근종인데 병원마다 적출하라는 말을... 12 ㅇㅇ 2016/08/26 4,966
589713 님들~~~날씨 좋아 오늘 아무데나 가고 싶어요 추천좀~ 6 휴가녀 2016/08/26 1,681
589712 대학입시결과 차이가 살면서 극복이 되나요 3 ㅇㅇ 2016/08/26 1,862
589711 주형환 ˝전기요금 걱정에 힘든 여름 보낸 국민에 송구˝ 2 세우실 2016/08/26 798
589710 성주군민들 “우리는 까아~딱 없다!” 2 성주화이팅 2016/08/26 1,209
589709 중국공장 가동 중단. 바로 미세먼지 없는거 보세요!! 15 사과 2016/08/26 3,757
589708 진상인지 봐주세요ㅡㅡ 21 ㅜㅜ 2016/08/26 4,489
589707 이제 걸어다니려고 해요 조깅화 추천해주세요 2 ... 2016/08/26 1,270
589706 구로쪽에 남자 혼자지내기 좋은곳 있을까요? 2 궁금 2016/08/26 691
589705 발사믹 소스 언제 써야 맛있어요? 4 frㅇㅇ 2016/08/26 1,070
589704 삼성 코엑스 안에 음식점 추천좀해주세요 2 주말 2016/08/26 1,109
589703 서울 강북..탱글한 컬이 잘나오게 펌해주는 미용실 디자이너 추천.. 2016/08/26 415
589702 목돈 청약통장에 다 넣어두는 거 9 ㅇㅇ 2016/08/26 2,845
589701 서른 중반 마흔 중반 커플 고민 21 정화 2016/08/26 4,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