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프랑스나 남유럽 음식도 손이 많이 가나요?

푸른 조회수 : 939
작성일 : 2016-05-31 15:36:41

  결혼해서 한식 집밥을 해 보니, 한식 나물반찬이나 김치 종류들이 손이 많이 간다는 걸

  몸으로 느끼게 되네요.

   가사일을 별로 안 해 본 대학 때 , 독일에서 생활해 본 페미니즘 여성이 쓴 책을 읽었는데

 (제목은 가물가물~기억 안나요~)독일에선 아침은 갓 구워낸 빵집 빵이고 식생활이 간단해서

   여성들이 가사일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썼더라고요.

  

    그런데 프랑스나 이탈리아 남유럽 같은 곳은 음식문화가 발달해 있잖아요.

    집에서 만드는 음식이나 쨈, 소스들이 많을 것 같아요.

    외식도 별로 자주 안 할 것 같고....

    프랑스 여행 갔을 때, 거기서 국제결혼해서 오래 사신 한국여성분이(숙소 안주인셨음)

    프랑스 여자들이 한국여자들보다 더 대단하다는 뉘앙스로 말씀을 하셔서....

    집에서 요리나 음식 다 만들고 외모도 또 프랑스 여자들이 그렇게 가꾸더군요

    거기다 직장생활 하는 여자들도 많다고 하던데...


    남유럽에서 살아보신 분들, 음식 만드는 주부들 일이 많나요?

IP : 58.125.xxx.116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31 4:27 PM (95.232.xxx.177) - 삭제된댓글

    이탈리아 살고있어요. 여러 친척들 친구들 친구네 가족들 티비프로그램 등등 여태껏 보고 듣고 겪은 사실을 종합해 보자면 한국 주부들이 일이 더 많은거 같아요.

    이탈리아 아침은 워낙 간단해서 우유나 쥬스나 커피에 빵이나 비스켓 먹거든요. 아침에 요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아침이 간단하니 점심전에 간식시간 갖는 경우가 있고 점심도 간단히 먹어요. 직장인들은 회사식당에서 먹거나 주변 레스토랑에서 먹고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샐러드 하나로 한끼먹기도 해요. 집에서 준비해가는 경우도 각종 치즈랑 햄을 빵 사이에 끼워먹는 파니노 가져가니까 요리할 필요가 없죠.

    저녁은 대체로 집에서 먹는데 주부가 본격적으로 요리하는 시간이겠네요. 아주 전통적인 방법으로 요리를 하자면 두세시간 소스를 끓이고 밀가루 반죽을 해서 면을 만들고 고기나 생선도 오래 익혀서 변형시키고 각종 단 후식도 준비하고 오래 걸릴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생파스타, 건파스타, 라비올리 등등 맛있고 신선하게 종류별로 나온거 사다먹고 고기나 생선 간단히 구워서 익힌 야채나 샐러드랑 먹으면 끝이에요.

    저희 시어머니도 상당히 전통조리방법 지키시는 분이지만 밀가루나 쌀가루 헤이즐넛 가루 등등 분량 맞게 넣으면 식사 빵도 빵만드는 기계가 구워주고, 토마토 소스 같은경우 우기농 토마토 수확철에 대량으로 끓여서 냉동해두시고 과일쨈도 한철 만들어 두세요. 결국 식사 전체-프리모-세콘도-과일-단 후식-커피 순서로 차리셔도 손이 별로 안가요. 손님 초대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하시는데 재료만 준비되어 있으면 한시간 전부터 시작하면 충분하고도 남더라구요.

    물론 아주 남부 시골에 제가 아는분 할머니는 아침 6시부터 점심에 먹을 파스타 소스 끓이시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에요.

    글이 길어졌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 주부보다 이탈리아 주부들이 식사준비는 훨씬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한다고 생각해요. 아침 안하는 것만 해도 정말 편하잖아요.

  • 2. ...
    '16.5.31 4:29 PM (95.232.xxx.177)

    이탈리아 살고있어요. 여러 친척들 친구들 친구네 가족들 티비프로그램 등등 여태껏 보고 듣고 겪은 사실을 종합해 보자면 한국 주부들이 일이 더 많은거 같아요.

    이탈리아 아침은 워낙 간단해서 우유나 쥬스나 커피에 빵이나 비스켓 먹거든요. 아침에 요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아침이 간단하니 점심전에 간식시간 갖는 경우가 있고 점심도 간단히 먹어요. 직장인들은 회사식당에서 먹거나 주변 레스토랑에서 먹고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샐러드 하나로 한끼먹기도 해요. 집에서 준비해가는 경우도 각종 치즈랑 햄을 빵 사이에 끼워먹는 파니노 가져가니까 요리할 필요가 없죠.

    저녁은 대체로 집에서 먹는데 주부가 본격적으로 요리하는 시간이겠네요. 아주 전통적인 방법으로 요리를 하자면 두세시간 소스를 끓이고 밀가루 반죽을 해서 면을 만들고 고기나 생선도 오래 익혀서 변형시키고 각종 단 후식도 준비하고 오래 걸릴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생파스타, 건파스타, 라비올리 등등 맛있고 신선하게 종류별로 나온거 사다먹고 고기나 생선 간단히 구워서 익힌 야채나 샐러드랑 먹으면 끝이에요.

    저희 시어머니도 상당히 전통조리방법 지키시는 분이지만 밀가루나 쌀가루 헤이즐넛 가루 등등 분량 맞게 넣으면 식사 빵도 빵만드는 기계가 구워주고, 토마토 소스 같은경우 우기농 토마토 수확철에 대량으로 끓여서 냉동해두시고 과일쨈도 한철 만들어 두세요. 결국 식사 전채-프리모-세콘도-과일-단 후식-커피 순서로 차리셔도 손이 별로 안가요. 손님 초대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하시는데 재료만 준비되어 있으면 한시간 전부터 시작하면 충분하고도 남더라구요.

    물론 아주 남부 시골에 제가 아는분 할머니는 아침 6시부터 점심에 먹을 파스타 소스 끓이시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에요.

    글이 길어졌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 주부보다 이탈리아 주부들이 식사준비는 훨씬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한다고 생각해요. 아침 안하는 것만 해도 정말 편하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4214 오션월드 파도풀이 너무 좋은데 7 ㅇㅇ 2016/09/09 1,764
594213 운동하시는 분들 pt나 헬스는 일주일에 몇시간하세요? 8 초보 2016/09/09 7,812
594212 접혀진 종이로 액자를 만들고 싶은데요 1 액자 2016/09/09 335
594211 코스트코 굴비 어떤가요? 2 ... 2016/09/09 1,312
594210 고추가루 이정도면 비싼가요? 4 2016/09/09 1,757
594209 쫀득한 쿠키는 어떤 재료로 그리되는건가요? 8 ㅇㅇ 2016/09/09 2,003
594208 학원에 추석선물 하나요? .. 2016/09/09 720
594207 몸이나 옷에서 쉰내나는 사람들은 본인은 모르나요? 15 나도 그럴까.. 2016/09/09 11,952
594206 우리나라 식문화 언제나 바뀔까요 31 ... 2016/09/09 5,811
594205 구르미 재미있다고 해서 3회까지 봤는데 전 별로네요 50 별로 2016/09/09 3,461
594204 새집으로 이사가는데 비데 달아야 할까요? 라일락 2016/09/09 373
594203 그 유명한 토리노의 수의 사본 전시하네요... 2016/09/09 674
594202 송윤아 심경 고백에 절친 엄지원·윤현숙 응원 10 .. 2016/09/09 6,920
594201 영어번역 7 ㄱㄱㄱ 2016/09/09 592
594200 msm도움주신분 한번만더확인부탁드려요 8 쵸코파이 2016/09/09 2,276
594199 송편 어떻게 보관해야 가장 맛있을까요? 8 라희라 2016/09/09 1,644
594198 인스타그램 2 .. 2016/09/09 2,414
594197 고등아이 과외선생님 명절 선물 4 ^^ 2016/09/09 4,244
594196 중고교 자녀와 매일 감정소모 하는게 일반적인가요? 4 ... 2016/09/09 1,217
594195 나혜석씨의 아버지도 친일인명사전에... 2 역시 2016/09/09 1,278
594194 식기세척기 스텐 제품도 잘 되나요? 6 식기 2016/09/09 6,548
594193 추석연휴 5일동안의 상행선 2 교통마비 2016/09/09 561
594192 오늘 미세먼지 어떤가요? 3 미세먼지 2016/09/09 964
594191 오*기 옛날국수 애정했는데‥이게 뭔가요ㅠ 8 루비 2016/09/09 3,582
594190 돈벌기 결코 쉽지 않네요..... 7 아네모네 2016/09/09 3,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