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프랑스나 남유럽 음식도 손이 많이 가나요?

푸른 조회수 : 947
작성일 : 2016-05-31 15:36:41

  결혼해서 한식 집밥을 해 보니, 한식 나물반찬이나 김치 종류들이 손이 많이 간다는 걸

  몸으로 느끼게 되네요.

   가사일을 별로 안 해 본 대학 때 , 독일에서 생활해 본 페미니즘 여성이 쓴 책을 읽었는데

 (제목은 가물가물~기억 안나요~)독일에선 아침은 갓 구워낸 빵집 빵이고 식생활이 간단해서

   여성들이 가사일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썼더라고요.

  

    그런데 프랑스나 이탈리아 남유럽 같은 곳은 음식문화가 발달해 있잖아요.

    집에서 만드는 음식이나 쨈, 소스들이 많을 것 같아요.

    외식도 별로 자주 안 할 것 같고....

    프랑스 여행 갔을 때, 거기서 국제결혼해서 오래 사신 한국여성분이(숙소 안주인셨음)

    프랑스 여자들이 한국여자들보다 더 대단하다는 뉘앙스로 말씀을 하셔서....

    집에서 요리나 음식 다 만들고 외모도 또 프랑스 여자들이 그렇게 가꾸더군요

    거기다 직장생활 하는 여자들도 많다고 하던데...


    남유럽에서 살아보신 분들, 음식 만드는 주부들 일이 많나요?

IP : 58.125.xxx.116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31 4:27 PM (95.232.xxx.177) - 삭제된댓글

    이탈리아 살고있어요. 여러 친척들 친구들 친구네 가족들 티비프로그램 등등 여태껏 보고 듣고 겪은 사실을 종합해 보자면 한국 주부들이 일이 더 많은거 같아요.

    이탈리아 아침은 워낙 간단해서 우유나 쥬스나 커피에 빵이나 비스켓 먹거든요. 아침에 요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아침이 간단하니 점심전에 간식시간 갖는 경우가 있고 점심도 간단히 먹어요. 직장인들은 회사식당에서 먹거나 주변 레스토랑에서 먹고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샐러드 하나로 한끼먹기도 해요. 집에서 준비해가는 경우도 각종 치즈랑 햄을 빵 사이에 끼워먹는 파니노 가져가니까 요리할 필요가 없죠.

    저녁은 대체로 집에서 먹는데 주부가 본격적으로 요리하는 시간이겠네요. 아주 전통적인 방법으로 요리를 하자면 두세시간 소스를 끓이고 밀가루 반죽을 해서 면을 만들고 고기나 생선도 오래 익혀서 변형시키고 각종 단 후식도 준비하고 오래 걸릴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생파스타, 건파스타, 라비올리 등등 맛있고 신선하게 종류별로 나온거 사다먹고 고기나 생선 간단히 구워서 익힌 야채나 샐러드랑 먹으면 끝이에요.

    저희 시어머니도 상당히 전통조리방법 지키시는 분이지만 밀가루나 쌀가루 헤이즐넛 가루 등등 분량 맞게 넣으면 식사 빵도 빵만드는 기계가 구워주고, 토마토 소스 같은경우 우기농 토마토 수확철에 대량으로 끓여서 냉동해두시고 과일쨈도 한철 만들어 두세요. 결국 식사 전체-프리모-세콘도-과일-단 후식-커피 순서로 차리셔도 손이 별로 안가요. 손님 초대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하시는데 재료만 준비되어 있으면 한시간 전부터 시작하면 충분하고도 남더라구요.

    물론 아주 남부 시골에 제가 아는분 할머니는 아침 6시부터 점심에 먹을 파스타 소스 끓이시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에요.

    글이 길어졌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 주부보다 이탈리아 주부들이 식사준비는 훨씬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한다고 생각해요. 아침 안하는 것만 해도 정말 편하잖아요.

  • 2. ...
    '16.5.31 4:29 PM (95.232.xxx.177)

    이탈리아 살고있어요. 여러 친척들 친구들 친구네 가족들 티비프로그램 등등 여태껏 보고 듣고 겪은 사실을 종합해 보자면 한국 주부들이 일이 더 많은거 같아요.

    이탈리아 아침은 워낙 간단해서 우유나 쥬스나 커피에 빵이나 비스켓 먹거든요. 아침에 요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아침이 간단하니 점심전에 간식시간 갖는 경우가 있고 점심도 간단히 먹어요. 직장인들은 회사식당에서 먹거나 주변 레스토랑에서 먹고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샐러드 하나로 한끼먹기도 해요. 집에서 준비해가는 경우도 각종 치즈랑 햄을 빵 사이에 끼워먹는 파니노 가져가니까 요리할 필요가 없죠.

    저녁은 대체로 집에서 먹는데 주부가 본격적으로 요리하는 시간이겠네요. 아주 전통적인 방법으로 요리를 하자면 두세시간 소스를 끓이고 밀가루 반죽을 해서 면을 만들고 고기나 생선도 오래 익혀서 변형시키고 각종 단 후식도 준비하고 오래 걸릴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생파스타, 건파스타, 라비올리 등등 맛있고 신선하게 종류별로 나온거 사다먹고 고기나 생선 간단히 구워서 익힌 야채나 샐러드랑 먹으면 끝이에요.

    저희 시어머니도 상당히 전통조리방법 지키시는 분이지만 밀가루나 쌀가루 헤이즐넛 가루 등등 분량 맞게 넣으면 식사 빵도 빵만드는 기계가 구워주고, 토마토 소스 같은경우 우기농 토마토 수확철에 대량으로 끓여서 냉동해두시고 과일쨈도 한철 만들어 두세요. 결국 식사 전채-프리모-세콘도-과일-단 후식-커피 순서로 차리셔도 손이 별로 안가요. 손님 초대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하시는데 재료만 준비되어 있으면 한시간 전부터 시작하면 충분하고도 남더라구요.

    물론 아주 남부 시골에 제가 아는분 할머니는 아침 6시부터 점심에 먹을 파스타 소스 끓이시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에요.

    글이 길어졌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 주부보다 이탈리아 주부들이 식사준비는 훨씬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한다고 생각해요. 아침 안하는 것만 해도 정말 편하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3872 인생향수를 찾았어요! ㅎㅎ 20 향기로움 2016/10/06 8,386
603871 기사)딸이 사라진 뒤 단 한번도 '대문'을 닫아본 적이 없어요 ㅇㅇ 2016/10/06 1,484
603870 헐 지금 남편 친구가 왔는데요..그 친구 보고 완전 깜놀 61 2016/10/06 33,808
603869 실시간 검색어 1위 김제동의 오늘 저녁 성남시청 강연을 생중계 .. 꿀잼 2016/10/06 1,164
603868 경조사문화 안없어질까요? 1 .. 2016/10/06 1,169
603867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라는 속담 안들어보셨나요?.. 8 똥묻은개 2016/10/06 948
603866 스피커폰 통화.. 4 노랑 2016/10/06 1,316
603865 중딩2 수학 중간고사,기말고사 어떤게 멘붕인가요? 6 ㅇㅇ 2016/10/06 2,136
603864 딸아이 학교에서 전화가 왔어요ㅠ어떻게 해야할까요? 150 ㅇㅇ 2016/10/06 30,567
603863 메갈리아는 일베와 싸울 수 있는 유일한 페미니스트들 14 저글링 2016/10/06 2,438
603862 보통 욕실 공사는 비용이 어느정도드나요? 7 2016/10/06 2,053
603861 통돌이 세탁기 하나 사려는데 6 세탁기 2016/10/06 1,791
603860 제가본 동안들 17 ㅇㅇ 2016/10/06 6,644
603859 상견례때 누구누구 나가나요? 11 2016/10/06 5,849
603858 어제 한전 전기세 고지서 받았어요 1 누리심쿵 2016/10/06 1,611
603857 대통령 퇴임후에 사저를 국민세금으로 해주는거 다른나라도 같나요?.. 5 국민세금 2016/10/06 1,132
603856 내일 막내 보러가요~~^^ 11 넷째 2016/10/06 2,689
603855 스피닝 가니 다들 비슷한 바지 입었더라구요 3 운동 2016/10/06 2,933
603854 아침에 지주막하출혈에 대해 물어본 9 사람인데요 2016/10/06 2,108
603853 부산 서면 숙박 1박 2일 코스 부산 2016/10/06 631
603852 오래된아파트 중앙난방서 개별로 2 아파트 2016/10/06 823
603851 전자렌지 위에 미니오븐.. 4 오븐 2016/10/06 2,351
603850 sky 라는 표현이 웃기다는 생각이 들어요. 45 mo 2016/10/06 5,164
603849 백민주화씨 발리에 있었던 이유 8 엠팍 2016/10/06 2,721
603848 포경수술은 다른나라애선 거의 안한다면서요? 25 사랑79 2016/10/06 5,723